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습 공동체와 국어 교사의 실천적 지식-‘배움의 공동체 연구회’를 중심으로- = Learning Communities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Focusing on the ‘School as Learning Commu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6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이 연구는 교사 학습 공동체로서 ‘배움의 공동체’를 실천하는 국어 교사들의 배움의 공동체 실천과 그 실천에 통합되어 있는 지식을 탐구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배움의 공동체와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하여 검토하고 4명의 국어 교사와의 면담, 배움의 공동체 연구회 참여 관찰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이들의 배움의 공동체 실천은 자신의 수업 실천을 중심으로 학교, 지역, 전국연구회, 외부 강의와 수업 연구 컨설팅으로 중층화되어 있었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교사의 지식을 강화해가고 있다. 이러한 실천 속에 교사 자신, 교육과정, 교과 내용, 교수·학습, 학교 교육환경에 대한 지식이 ‘원리’의 형태로 내면화되어 있었다. 특히 수업 활동지와 수업 영상은 교사 개인의 실천을 공동체적 실천으로 연결하고 확장하는 매개로 기능하고 있다. 결론: 이들은 공공성을 바탕으로 개별 교사, 교과의 경계를 넘어 교사의 실천에 담긴 지식을 공동체의 지식과 신념으로 확장해 감으로써 한국 사회의 오랜 개인주의적인 교직 문화를 바꾸어 가기 위해 도전하고 있다.
      번역하기

      목적: 이 연구는 교사 학습 공동체로서 ‘배움의 공동체’를 실천하는 국어 교사들의 배움의 공동체 실천과 그 실천에 통합되어 있는 지식을 탐구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배움의 공동...

      목적: 이 연구는 교사 학습 공동체로서 ‘배움의 공동체’를 실천하는 국어 교사들의 배움의 공동체 실천과 그 실천에 통합되어 있는 지식을 탐구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배움의 공동체와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하여 검토하고 4명의 국어 교사와의 면담, 배움의 공동체 연구회 참여 관찰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이들의 배움의 공동체 실천은 자신의 수업 실천을 중심으로 학교, 지역, 전국연구회, 외부 강의와 수업 연구 컨설팅으로 중층화되어 있었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교사의 지식을 강화해가고 있다. 이러한 실천 속에 교사 자신, 교육과정, 교과 내용, 교수·학습, 학교 교육환경에 대한 지식이 ‘원리’의 형태로 내면화되어 있었다. 특히 수업 활동지와 수업 영상은 교사 개인의 실천을 공동체적 실천으로 연결하고 확장하는 매개로 기능하고 있다. 결론: 이들은 공공성을 바탕으로 개별 교사, 교과의 경계를 넘어 교사의 실천에 담긴 지식을 공동체의 지식과 신념으로 확장해 감으로써 한국 사회의 오랜 개인주의적인 교직 문화를 바꾸어 가기 위해 도전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actices and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practicing ‘School as Learning Community’. Method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on School as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terviewing fou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observing their participation in a School as Learning Community study group. Results: Their School as Learning Community practices were layered around their own classroom practices, and included school, regional, and national research conferences, external lectures, and lesson study consulting. Each of these practices feeds into the other and strengthens teachers’ knowledge. In particular, classroom activity sheets and classroom videos have served as a medium for connecting and expanding individual teachers’ practices into collective practices. In these practices, teachers’ knowledge of ‘self’, ‘curriculum’, ‘subject matter’, ‘instruction’, and ‘the milieu of schooling’ were internalized in the form of ‘practical principle’. Conclusion: The teachers are challenging to change the long- standing individualistic culture of teaching profession in Korean society by expanding the knowledge contained in teachers’ practices beyond the boundaries of individual teachers and departments into the knowledge and beliefs of the community based on publicness.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actices and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practicing ‘School as Learning Community’. Method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on School as Learning Commu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actices and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practicing ‘School as Learning Community’. Method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on School as Learning Community an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terviewing fou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observing their participation in a School as Learning Community study group. Results: Their School as Learning Community practices were layered around their own classroom practices, and included school, regional, and national research conferences, external lectures, and lesson study consulting. Each of these practices feeds into the other and strengthens teachers’ knowledge. In particular, classroom activity sheets and classroom videos have served as a medium for connecting and expanding individual teachers’ practices into collective practices. In these practices, teachers’ knowledge of ‘self’, ‘curriculum’, ‘subject matter’, ‘instruction’, and ‘the milieu of schooling’ were internalized in the form of ‘practical principle’. Conclusion: The teachers are challenging to change the long- standing individualistic culture of teaching profession in Korean society by expanding the knowledge contained in teachers’ practices beyond the boundaries of individual teachers and departments into the knowledge and beliefs of the community based on publicn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명숙 ; 홍재영 ; 임경원, "활동중심 국어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303-321, 2014

      2 한영욱 ; 김미숙, "혁신학교의 수업공개연구와 학생들의 학습 경험 탐색" 한국교육사회학회 30 (30): 105-134, 2020

      3 홍제남, "혁신학교 수업연구회를 통한 교사 수업전문성 사례 연구- 다양한 교과 교사들이 함께 하는 수업연구회 탐색 -"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175-204, 2017

      4 신헌재 ; 반윤희, "초등학교 문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임교사의 실천적 지식 변화 양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8) : 285-318, 2008

      5 이보미, "초등학교 경력교사와 초임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7

      6 한국배움의공동체연구회, "제39회 한국배움의 공동체연구회 전국운영위원 워크숍 자료집"

      7 한국배움의공동체연구회, "제14회 사토마나부교수와 함께하는 배움의 공동체전국세미나 자료집"

      8 박상철, "실천적 지식의 ‘정향’을 통한 문학 수업 재구성에 관한 사례 연구" 국어교육학회 49 (49): 361-396, 2014

      9 양수연, "실천적 지식으로서 국어 교사의 신념에 관한 사례 연구" 국어교육학회 56 (56): 119-164, 2021

      10 Wenger, E., "실천공동체 : 지식창출의 사회생태학" 학지사 2007

      1 김명숙 ; 홍재영 ; 임경원, "활동중심 국어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303-321, 2014

      2 한영욱 ; 김미숙, "혁신학교의 수업공개연구와 학생들의 학습 경험 탐색" 한국교육사회학회 30 (30): 105-134, 2020

      3 홍제남, "혁신학교 수업연구회를 통한 교사 수업전문성 사례 연구- 다양한 교과 교사들이 함께 하는 수업연구회 탐색 -"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175-204, 2017

      4 신헌재 ; 반윤희, "초등학교 문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임교사의 실천적 지식 변화 양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8) : 285-318, 2008

      5 이보미, "초등학교 경력교사와 초임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7

      6 한국배움의공동체연구회, "제39회 한국배움의 공동체연구회 전국운영위원 워크숍 자료집"

      7 한국배움의공동체연구회, "제14회 사토마나부교수와 함께하는 배움의 공동체전국세미나 자료집"

      8 박상철, "실천적 지식의 ‘정향’을 통한 문학 수업 재구성에 관한 사례 연구" 국어교육학회 49 (49): 361-396, 2014

      9 양수연, "실천적 지식으로서 국어 교사의 신념에 관한 사례 연구" 국어교육학회 56 (56): 119-164, 2021

      10 Wenger, E., "실천공동체 : 지식창출의 사회생태학" 학지사 2007

      11 이혁규 ; 김남균 ; 김향정 ; 김병수 ; 김민조, "수업혁신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28 (28): 219-248, 2020

      12 佐藤學,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에듀케어 2003

      13 佐藤學, "사토마나부, 학교개혁을 말하다" 에듀니티 2016

      14 손우정, "배움의 공동체" 해냄 2012

      15 백혜선 ; 방상호, "국어교사의 신념과 읽기 수업 실행 양상" 한국어교육학회 (174) : 203-231, 2021

      16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별책 5]"

      17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5]"

      18 최인자, "국어과 교사의 실천적 지식 성찰을 위한 방법론적 탐색 -'성찰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21) : 77-111, 2006

      19 김은태, "국어 교사의 문학 수업에서의 실천적 지식 연구 - 국어 교사 집필 도서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소 (38) : 387-420, 2022

      20 손민호, "구성주의와 학습의 사회이론" 문음사 2005

      21 Hatch, J. A., "교육 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 학지사 2016

      22 엄훈, "교실 수업 공개와 참관을 통한 두 국어 교사의 변화와 성장의 체험" 국어교육학회 (19) : 359-418, 2004

      23 서경혜, "교사학습공동체" 학지사 2015

      24 홍미화, "교사의 실천적 지식으로 읽는 초등 사회과 수업"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25 佐藤學, "교사의 배움" 에듀니티 2014

      26 서경혜, "교사공동체의 실천적 지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121-148, 2010

      27 김영란, "고등학교 국어교사의 책읽기 수업에 관한 실천적 지식 탐구" 청람어문교육학회 (71) : 279-302, 2019

      28 손민호, "“Practicalness”에 대한 재고(再考) : 공적 행위로서의 실천적 지식과 제도적 범주로서의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학회 394-401, 2006

      29 Mezirow, J., "Transformation Theory and Social Action : A Response to Collard and Law" 39 (39): 169-175, 1989

      30 Elbaz, F., "The Teacher’s"Practical Knowledge"" 11 (11): 43-72, 1981

      31 Pajares, M. F.,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62 (62): 307-332, 1992

      32 Hudson, B., "Pedagogy and Assessment" SAGE 107-124,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