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6055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대체로 인간관계에서는 만족한 편이고, 경력은 5년 정도부터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가 대체로 많이 있음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이 몬테소리 유치원의 적응기간이 지나 교사 갱신기, 성숙기로 들어가면서 정체감이 확립되어 보다 현실적인 보수 및 원만하고 치밀한 인간관계 수립에 대한 욕구가 높아져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김명자(1991)의 연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유아교육기관의 질과는 별로 상관이 없다는 것과는 대조적인 결과이다. 조사된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들의 교육경력이 대체로 1-3년 미만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근무주기가 짧은 요인으로는 근무여건이 설립 형태마다 다르고, 주관적이기 때문에 몬테소리 교육 경험이 풍부한 교사가 현장에서 남아서 질적으로 우수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유치원의 조직적 특성은 유치원 교사들의 직무에 대한 불만족과 만족의 요소가 깔려있다. 이러한 특성은 몬테소리 유치원들도 배제할 수 없는 사항들이다. 교사의 교직 주기가 짧은 사유로 인하여 교사로서의 충분한 능력을 신장시키기 어려우며, 결혼을 하거나 오래 근무를 하게 되면 무언의 압력을 받기 때문에 유아교사의 이직률이 높은 점(박은혜, 2003)은 앞으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서 교사들의 자질함양에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2.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직무만족도가 대체적으로 높은 교사들은 유아들의 발달과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주는 상호작용을 더 중점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 직무만족도의 하위 요인 가운데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유치원에 대한 느낌’ 이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나타난 직무만족도의 유치원에 대한 느낌은 교사가 직무에 대해 만족과 보람을 느끼며 작업을 가치 있게 느낄수록 교사의 정서적 안정감을 갖게 되고 직무수행에 있어 능동적이고 의욕적인 자세가 되어 효과적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정다워(2007)의 연구와 일치되는 결과이다. 또한 이진화(2007)의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에서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직무만족도와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므로 정서지능을 함양하고 개발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 방안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유치원의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의 제 변인에 관한 연구를 하였던 최미애(2000)가 사용한 측정도구를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로 수정하여, 교사자기 평가방법으로 측정하였으므로 연구의 결과는 일반화가 어렵고 한계점이 있다고 보겠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관찰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객관성을 갖기가 어렵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직접관찰, 면접과 같은 객관적인 평정을 할 수 있는 연구와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 직무만족도에 또 다른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서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의 근무개선에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하여 본다. 앞으로 시대적 배경과 요구에 따라서 다양하고 체계적인 몬테소리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국내연구들이 몬테소리 교육현장에서 충분히 논의되어지고, 재정비가 이루어져 우리나라 유아들의 발달에 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우수한 유아교육 프로그램으로 거듭나도록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대체...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대체로 인간관계에서는 만족한 편이고, 경력은 5년 정도부터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가 대체로 많이 있음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이 몬테소리 유치원의 적응기간이 지나 교사 갱신기, 성숙기로 들어가면서 정체감이 확립되어 보다 현실적인 보수 및 원만하고 치밀한 인간관계 수립에 대한 욕구가 높아져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김명자(1991)의 연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유아교육기관의 질과는 별로 상관이 없다는 것과는 대조적인 결과이다. 조사된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들의 교육경력이 대체로 1-3년 미만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근무주기가 짧은 요인으로는 근무여건이 설립 형태마다 다르고, 주관적이기 때문에 몬테소리 교육 경험이 풍부한 교사가 현장에서 남아서 질적으로 우수한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유치원의 조직적 특성은 유치원 교사들의 직무에 대한 불만족과 만족의 요소가 깔려있다. 이러한 특성은 몬테소리 유치원들도 배제할 수 없는 사항들이다. 교사의 교직 주기가 짧은 사유로 인하여 교사로서의 충분한 능력을 신장시키기 어려우며, 결혼을 하거나 오래 근무를 하게 되면 무언의 압력을 받기 때문에 유아교사의 이직률이 높은 점(박은혜, 2003)은 앞으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서 교사들의 자질함양에 도움이 되어야 할 것이다.
      2.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직무만족도가 대체적으로 높은 교사들은 유아들의 발달과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주는 상호작용을 더 중점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 직무만족도의 하위 요인 가운데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유치원에 대한 느낌’ 이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나타난 직무만족도의 유치원에 대한 느낌은 교사가 직무에 대해 만족과 보람을 느끼며 작업을 가치 있게 느낄수록 교사의 정서적 안정감을 갖게 되고 직무수행에 있어 능동적이고 의욕적인 자세가 되어 효과적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정다워(2007)의 연구와 일치되는 결과이다. 또한 이진화(2007)의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에서는 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직무만족도와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므로 정서지능을 함양하고 개발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 방안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유치원의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의 제 변인에 관한 연구를 하였던 최미애(2000)가 사용한 측정도구를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로 수정하여, 교사자기 평가방법으로 측정하였으므로 연구의 결과는 일반화가 어렵고 한계점이 있다고 보겠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관찰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객관성을 갖기가 어렵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직접관찰, 면접과 같은 객관적인 평정을 할 수 있는 연구와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 직무만족도에 또 다른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서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의 근무개선에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하여 본다. 앞으로 시대적 배경과 요구에 따라서 다양하고 체계적인 몬테소리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국내연구들이 몬테소리 교육현장에서 충분히 논의되어지고, 재정비가 이루어져 우리나라 유아들의 발달에 질적인 영향을 미치는 우수한 유아교육 프로그램으로 거듭나도록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teacher's satisfaction and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are related through standardized self-assessments of working teachers. It also will show correlation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amount of persons being educated in their field. This study dealt with Montessori teachers and how their job satisfaction affected their interaction with students. This paper looks to highlight any inconsistencies in how instructors interact to improve overall teaching and the environment for both teachers and children. In this paper we will be dealing with two main questions:
      1. How much does the degree of teachers' satisfaction affect their overall quality of teaching? (teaching career, the number of being educated as teachers)
      1-1 Do teachers' careers affect their degree of job satisfaction?
      1-2 Does the number being educated in their field affect job satisfaction?
      2. Does job satisfaction a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were 237 working teachers across the country who are employed as Montessori Kindergarten teachers. The tool, created by Jorde-Bloom (1989) and translated by Lee Bun Ryuo (1998), was used to recogniz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in Montessori. Originally, a tool was used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he tool was modified into the Early Child Observation Instrument developed by Bredeamp and ECOI was created by Hollow and Reichart-Erikson (1998). Choi Mi Suk(1992) modified questions from these tools and Choi Mi Ae(2000) used the supplied questions from all these tools. So the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is paper took consolidated questions from these into 8 base questions for the subjects. The questions were given to the subjects to fill out and their answers were entered and ranked using SPSS 14 .OK for Windows with a degree of error of 0.05.
      First, all date used technical statistics like percentage, means and discrepancy.
      Second, MONOVA was used to tabulat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in educational backgrounds.
      Third, multifaceted analysis of the questions was used to verify the corela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nd help to show how much job satisfaction affects this relationship.
      The outcome is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of Montessori teachers differs depending on the teacher's qualifications. In terms of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teaching careers have with a lot more to do with'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agues',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s and teacher's feeling towards kindergarten'. On the contrary, 'payment and promotion', and working environment' don't seem to be factors in job satisfaction. Plus, usually teachers with high level of career success in Montessori Kindergarten show higher satisfaction in their job.
      Secondly, how much sub-categorized factors affecte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ould afftect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was investigated. From the multifaceted analysis, it was found that a teacher's feeling towards kindergarten dramatically affected their perception of job satisfaction. This was seen in the sub-categories dealing with 'teacher-children relationships', 'job satisfaction', 'groups satisfied with their roles as teachers', 'positive interactions', 'the promotion of socially acceptable behavior', and 'interaction promoting proper behavior according to the students' development level'. A group of teachers who felt a connection with their career felt they were more successful with regard to 'verbal interaction with their students' and 'in the promotion of socially accepted behavior' as well. Also, they had more success in controlling their classroom environment. Teachers who had god feelings about their job responded positively to questions dealing with affectionate behavior, student / teacher response, positive interaction, organization, developmental interaction and problem solving in the classroom. That is, the more satisfied the teachers are in their work while placing a high value and interest on their job, the more energetic and active they will be, to accomplish their work in that field, which coincidently was the same as the results of Jung Da Wao's(2007).
      This study was not done through direct observation and it could not be done objectively. Therefore, a more objective approach like direc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ll be required in any subsequent research. To cultivate more competent teachers in Montessori Kindergarten, the study of a teacher's qualification and other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teacher's satisfaction and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are related through standardized self-assessments of working teachers. It also will show correlation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teacher's satisfaction and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are related through standardized self-assessments of working teachers. It also will show correlation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amount of persons being educated in their field. This study dealt with Montessori teachers and how their job satisfaction affected their interaction with students. This paper looks to highlight any inconsistencies in how instructors interact to improve overall teaching and the environment for both teachers and children. In this paper we will be dealing with two main questions:
      1. How much does the degree of teachers' satisfaction affect their overall quality of teaching? (teaching career, the number of being educated as teachers)
      1-1 Do teachers' careers affect their degree of job satisfaction?
      1-2 Does the number being educated in their field affect job satisfaction?
      2. Does job satisfaction a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were 237 working teachers across the country who are employed as Montessori Kindergarten teachers. The tool, created by Jorde-Bloom (1989) and translated by Lee Bun Ryuo (1998), was used to recogniz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in Montessori. Originally, a tool was used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he tool was modified into the Early Child Observation Instrument developed by Bredeamp and ECOI was created by Hollow and Reichart-Erikson (1998). Choi Mi Suk(1992) modified questions from these tools and Choi Mi Ae(2000) used the supplied questions from all these tools. So the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is paper took consolidated questions from these into 8 base questions for the subjects. The questions were given to the subjects to fill out and their answers were entered and ranked using SPSS 14 .OK for Windows with a degree of error of 0.05.
      First, all date used technical statistics like percentage, means and discrepancy.
      Second, MONOVA was used to tabulat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in educational backgrounds.
      Third, multifaceted analysis of the questions was used to verify the corela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nd help to show how much job satisfaction affects this relationship.
      The outcome is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of Montessori teachers differs depending on the teacher's qualifications. In terms of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teaching careers have with a lot more to do with' the relationships between colleagues',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s and teacher's feeling towards kindergarten'. On the contrary, 'payment and promotion', and working environment' don't seem to be factors in job satisfaction. Plus, usually teachers with high level of career success in Montessori Kindergarten show higher satisfaction in their job.
      Secondly, how much sub-categorized factors affected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ould afftect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was investigated. From the multifaceted analysis, it was found that a teacher's feeling towards kindergarten dramatically affected their perception of job satisfaction. This was seen in the sub-categories dealing with 'teacher-children relationships', 'job satisfaction', 'groups satisfied with their roles as teachers', 'positive interactions', 'the promotion of socially acceptable behavior', and 'interaction promoting proper behavior according to the students' development level'. A group of teachers who felt a connection with their career felt they were more successful with regard to 'verbal interaction with their students' and 'in the promotion of socially accepted behavior' as well. Also, they had more success in controlling their classroom environment. Teachers who had god feelings about their job responded positively to questions dealing with affectionate behavior, student / teacher response, positive interaction, organization, developmental interaction and problem solving in the classroom. That is, the more satisfied the teachers are in their work while placing a high value and interest on their job, the more energetic and active they will be, to accomplish their work in that field, which coincidently was the same as the results of Jung Da Wao's(2007).
      This study was not done through direct observation and it could not be done objectively. Therefore, a more objective approach like direc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ll be required in any subsequent research. To cultivate more competent teachers in Montessori Kindergarten, the study of a teacher's qualification and other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문제의 진술 = 1
      • 2. 연구의 중요성 = 4
      • 3. 용어의 정의 = 5
      • 4. 연구의 제한점 = 6
      • Ⅰ. 서론 = 1
      • 1. 연구문제의 진술 = 1
      • 2. 연구의 중요성 = 4
      • 3. 용어의 정의 = 5
      • 4. 연구의 제한점 = 6
      • 5. 연구의 기본가정 = 6
      •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의 고찰 = 7
      • 1. Montessori 교육의 특징 = 7
      • 2. Montessori 교사론 = 9
      • 3. Montessori 유치원 교사 직무만족도 = 12
      • 1) 직무만족도의 개념 = 12
      • 2) 직무만족도의 선행연구 = 13
      • 3) 직무만족도를 구성하는 요인 = 16
      • 4. Montessori 유치원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 = 18
      • 1)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의 개념 = 18
      • 2)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의 선행연구 = 19
      • 3)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 21
      • 5. 연구가설 = 22
      • Ⅲ. 연구방법 = 23
      • 1. 연구대상 = 23
      • 2. 측정도구 = 25
      • 3. 조사절차 = 27
      • 4. 자료분석 = 28
      • Ⅳ. 연구결과 = 29
      • 1.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몬테소리 교육경력, 교육 받은 횟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 29
      • 2.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에 따라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 35
      • Ⅴ. 논의 = 47
      • Ⅵ. 결론 및 제언 = 51
      • 참고문헌 = 53
      • 부록 질문지 = 5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