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박물관교육 연구에서 바라본 문화적 역량 = Cultural Competencies in Museum Education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89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seum is the educational space with the public interest which transmits cultural memori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For this, it provides lots of opportunities for the citizens to understand such cultural memorie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through various objet d'arts. Hence, it has a mission to appropriate cultural competencies for the citizens by establishing the arena of public opinion to transmit and to understand Planning to understand cultural memories in public is to foster specific competencies among the citizens. For matters related to establishing and organizing the museum and to making programs, however, it lacks discussions on carrying out educational missions after considering cultural competencies and its constituent in particular. Key tasks that the museum should carry out are as follows: What kind of cultural competencies need to be raised for students and citizen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 particular museum? How exhibition and management of the museum needs to be organized to promote such cultural competencies? Key competencies of the museum can be summarized as duty to collect and preserve, duty to study, duty to exhibit and interpret, and duty to deliver and educate. Specific cultural competencies that are appropriated through the museum include competency of observation and recognition, competency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competency of exhibition and reproduction, and competency of public opinion and discussion. Cultural competencies that need to be appropriated at the museum are linked with the goals of establishing the museum, which is achieved throug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s.
      번역하기

      Museum is the educational space with the public interest which transmits cultural memori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For this, it provides lots of opportunities for the citizens to understand such cultural memorie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thr...

      Museum is the educational space with the public interest which transmits cultural memori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For this, it provides lots of opportunities for the citizens to understand such cultural memories of the past and the present through various objet d'arts. Hence, it has a mission to appropriate cultural competencies for the citizens by establishing the arena of public opinion to transmit and to understand Planning to understand cultural memories in public is to foster specific competencies among the citizens. For matters related to establishing and organizing the museum and to making programs, however, it lacks discussions on carrying out educational missions after considering cultural competencies and its constituent in particular. Key tasks that the museum should carry out are as follows: What kind of cultural competencies need to be raised for students and citizen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 particular museum? How exhibition and management of the museum needs to be organized to promote such cultural competencies? Key competencies of the museum can be summarized as duty to collect and preserve, duty to study, duty to exhibit and interpret, and duty to deliver and educate. Specific cultural competencies that are appropriated through the museum include competency of observation and recognition, competency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competency of exhibition and reproduction, and competency of public opinion and discussion. Cultural competencies that need to be appropriated at the museum are linked with the goals of establishing the museum, which is achieved throug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박물관은 문화적 기억을 전승하는 공공성을 띈 교육공간이다. 따라서 박물관은 전달과 소통의 공론장을 형성하며 시민들에게 문화적 역량을 전유해야할 미션을 가지고 있다. 박물관의 핵심역량은 수집·보존의 책무성, 연구의 책무성, 전시·해석의 책무성, 전달·교육의 책무성의 네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핵심과업을 가진 박물관을 통해서 전유되는 특유의 문화적 역량에는 관찰·인식역량, 이해·해석역량, 전시·재현역량, 공론화·담론역량이 있다. 박물관에서 전유되어야 할 문화적 역량은 박물관의 설립목적과 연관되며, 박물관이 가지는 성격을 고려할 때 가능하다.
      번역하기

      박물관은 문화적 기억을 전승하는 공공성을 띈 교육공간이다. 따라서 박물관은 전달과 소통의 공론장을 형성하며 시민들에게 문화적 역량을 전유해야할 미션을 가지고 있다. 박물관의 핵심...

      박물관은 문화적 기억을 전승하는 공공성을 띈 교육공간이다. 따라서 박물관은 전달과 소통의 공론장을 형성하며 시민들에게 문화적 역량을 전유해야할 미션을 가지고 있다. 박물관의 핵심역량은 수집·보존의 책무성, 연구의 책무성, 전시·해석의 책무성, 전달·교육의 책무성의 네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핵심과업을 가진 박물관을 통해서 전유되는 특유의 문화적 역량에는 관찰·인식역량, 이해·해석역량, 전시·재현역량, 공론화·담론역량이 있다. 박물관에서 전유되어야 할 문화적 역량은 박물관의 설립목적과 연관되며, 박물관이 가지는 성격을 고려할 때 가능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1) 왜 박물관은 역량연구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 2) 박물관연구는 어떠한 측면에서 역량연구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 2. 박물관의 핵심 역량 (Key competence)
      • 요약
      • 1. 서론
      • 1) 왜 박물관은 역량연구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 2) 박물관연구는 어떠한 측면에서 역량연구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 2. 박물관의 핵심 역량 (Key competence)
      • 1) 수집 (Collection; Sammelung)
      • 2) 연구 (Research; Forschung)
      • 3) 전시 (Display; Ausstellung)
      • 4) 교육 (Education; Pädagogik)
      • 3. 박물관연구에서 바라보는 문화적 역량
      • 1) 박물관과 문화적 역량과의 연관성
      • 2) 박물관에서 전유되는 특유의 문화적 역량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여성, "사회체계이론 1" 한길사 2007

      2 이보아, "박물관학 개론" 김영사 2000

      3 이병준, "박물관교육의 철학과 실천모형에 대한 역사적 연구-미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 : 135-170, 2006

      4 이병준, "미술관교육의 이론적 모형"

      5 위미나, "문화적 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6 이병준, "문화교육으로서의 박물관 교육:이론과 실천모형" 국립중앙박물관 2007

      7 세로타, "경험인가 해석인가. 큐레이터의 딜레마" 조형교육 2000

      8 Waidacher,F, "Museologie-knapp gefasst" Böhlau Verlag 2005

      9 Schmidt,S, "Lernen,Wissen,Kompetenz,Kultur" Carl-Auer Verlag 2005

      10 Prange,K, "Formen der pädagogischen Handelns" Kohlhammer 2005

      1 박여성, "사회체계이론 1" 한길사 2007

      2 이보아, "박물관학 개론" 김영사 2000

      3 이병준, "박물관교육의 철학과 실천모형에 대한 역사적 연구-미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 : 135-170, 2006

      4 이병준, "미술관교육의 이론적 모형"

      5 위미나, "문화적 역량의 개념 및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6 이병준, "문화교육으로서의 박물관 교육:이론과 실천모형" 국립중앙박물관 2007

      7 세로타, "경험인가 해석인가. 큐레이터의 딜레마" 조형교육 2000

      8 Waidacher,F, "Museologie-knapp gefasst" Böhlau Verlag 2005

      9 Schmidt,S, "Lernen,Wissen,Kompetenz,Kultur" Carl-Auer Verlag 2005

      10 Prange,K, "Formen der pädagogischen Handelns" Kohlhammer 2005

      11 Klein,A, "Expositum. Zum Verhältnis von Ausstellung und Wirklichkeit" Bielefeld 2004

      12 Schmitz,E, "Erwachsenenbildung als lebensweltbezogener Erkenntnisprozess. In Erwachsenenbildung" Klett- Cotta 95-123, 1984

      13 Schärer,M.R, "Die Ausstellung-Theorie und Exempel" Verlag Dr.Müller- Straten 2003

      14 Freymann, T.v., "Am Beispiel erkärt. Aufgaben und Wege der Museumpädagogik" Hildesheim/Zürich/New York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1 1.13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