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육 유무에 따른 다집단 분석 =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efficacy on multicultural acceptance: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taking a multicultural educ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multi-group analysis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efficacy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data responded by students attending the pre-school education and nursery school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 - metropolitan area was analyzed for intensive validity and identity.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was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by the bootstrap method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directly affect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indirectly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mediated by multicultural efficacy. Second, the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w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ake a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fficacy has a greater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than the teachers’ who did not take a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derived, and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establishing multicultural policy can be provid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multi-group analysis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efficacy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multi-group analysis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efficacy on multicultural accepta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data responded by students attending the pre-school education and nursery school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 - metropolitan area was analyzed for intensive validity and identity.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was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by the bootstrap method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directly affect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indirectly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mediated by multicultural efficacy. Second, the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w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take a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fficacy has a greater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than the teachers’ who did not take a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derived, and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establishing multicultural policy can be provi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다문화 교육 유무에 따라 다집단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및 비수도권 유아교육과와 보육과에 재학 중인 30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집중타당성과 동일성을 확인하였으며, 변인간의 관계는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고, Bootstrap 방법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후,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는 다문화 효능감과 다문화 수용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다문화 효능감을 매개로 다문화 수용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교육 유무에 따라 다집단 분석 결과 다문화 교육을 받은 예비유아교사는 그렇지 않은 예비유아교사에 비해 다문화 효능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의 내실화를 기하기 위한 함의점을 도출하였고, 다문화 정책 수립 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다문화 교육 유무에 따라 다집단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및 비수도권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다문화 교육 유무에 따라 다집단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및 비수도권 유아교육과와 보육과에 재학 중인 30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집중타당성과 동일성을 확인하였으며, 변인간의 관계는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고, Bootstrap 방법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후,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는 다문화 효능감과 다문화 수용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다문화 효능감을 매개로 다문화 수용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교육 유무에 따라 다집단 분석 결과 다문화 교육을 받은 예비유아교사는 그렇지 않은 예비유아교사에 비해 다문화 효능감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의 내실화를 기하기 위한 함의점을 도출하였고, 다문화 정책 수립 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모경환, "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인식에 대한 연구-수도권 국어사회과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79-100, 2007

      2 김혜진,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신념, 다문화교육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55-274, 2014

      3 최현정,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4 최현정,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15-338, 2012

      5 김현주,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117-128, 2008

      6 황성동,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125-150, 2012

      7 이세나, "다문화 경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태도,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95-124, 2013

      8 류정임, "고등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자아탄력성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9 최충옥, "경기도 초·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163-182, 2007

      10 Munroe, A., "The munro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 66 (66): 819-834, 2006

      1 모경환, "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인식에 대한 연구-수도권 국어사회과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79-100, 2007

      2 김혜진,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신념, 다문화교육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55-274, 2014

      3 최현정,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4 최현정,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15-338, 2012

      5 김현주,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117-128, 2008

      6 황성동,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125-150, 2012

      7 이세나, "다문화 경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태도,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95-124, 2013

      8 류정임, "고등학생의 공동체 의식과 자아탄력성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9 최충옥, "경기도 초·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163-182, 2007

      10 Munroe, A., "The munro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 66 (66): 819-834, 2006

      11 Guyton, E. M., "The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Development, item selection, and reliability" 7 (7): 21-29, 2005

      12 Horenczyk, G., "Teachers’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18 (18): 435-445, 2002

      13 Ciccehelli, T.,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s" 39 (39): 370-381, 2007

      14 Verkuyten, M., "Racist victimization among children in the Netherlands: The effect of ethnic group and school" 25 (25): 310-331, 2002

      15 Tucker, C. M., "Promoting teacher efficacy for working with culturally diverse students" 50 (50): 29-34, 2005

      16 Siwatu, K. O., "Preservice teachers’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beliefs" 23 (23): 1086-1101, 2007

      17 Villegas, A. M., "Preparing culturally responsive teachers: Rethinking the curriculum" 53 (53): 20-32, 2002

      18 Dilworth, P.,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Case studies from social studies classrooms" 32 (32): 153-186, 2004

      19 Pohan, P. A., "Measuring educators’ beliefs about diversity in personal and professional contests" 38 (38): 159-182, 2001

      20 Sleeter, C. E.,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iley 2003

      21 Smith, R., "How preservice teachers think about cultural diversity: A closer look at factors which influence their beliefs towards equality" 11 (11): 41-61, 1997

      22 Hansen, D. T.,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AREA 826-857, 2001

      23 Bennett, J. M., "Handbook of intercultural warning" Sage 2004

      24 Chang, I. S.,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teacher's ethnic identifications and attitudes toward language diversity: A recursive path analysi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2002

      25 Perkins, D. M., "Effica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36 (36): 497-512, 2005

      26 Landerholm, E., "Educa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global world" 174 (174): 593-606, 2004

      27 Ponterotto, J. G., "Development and initial score validation of the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 survey" 58 (58): 1002-1016, 1998

      28 Thomas, D. C., "Cultural intelligence: People skills for global business" Berrett-Koehler Publishers, Inc 2004

      29 Causey, V. E., "Cultural diversity is basically a foreign term to me: The challenges of diversity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16 (16): 33-45, 2000

      30 Bennett, C.,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Pearson 2007

      31 Sercu, L., "Assessing intercultural competence: A framework for systematic teat development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beyond" 15 (15): 73-90, 2004

      32 Bourhis, R. Y., "Acculturation orientations and social relations between immigrant and host community members in California" 40 (40): 443-467, 2009

      33 교육부, "2017년 다문화교육 지원 계획 발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1.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