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수행, "null", 서울: 한길사, 1990
2 오창우, "사회적 자본으로서 PR",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한국사회과학연구, 35(1), 224-246, 2016
3 김욱동, "『미국 소설의 이해』", 소나무, 소나무, 2001년, 2001
4 이재열, 남은영, "한국인의 사회적 자본",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42(7), 178-214, 2008
5 박길성,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아세아연구, 45(2), 109-139, 2002
6 고상민, 황보환, 지용구, "SNS와 온라인 사회적 자본",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5(1), 103-118, 2010
7 배영, 이혜인, "스마트폰 이용과 사회자본", 한국정보사회학회, 정보사회와 미디어, (21), 35-71, 2011
8 전은식, 조인호,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자본",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언론학연구, 17(1), 175-210, 2013
9 오정연, "한 미 일 SNS 서비스 비교분석", IT 정책연구시리즈, (11), 2009
10 최영출, "지역의 사회자본측정지표 설정", 한국행정학회, 지방정부연구, 8, 119-144, 2004
11 김희연, 오주현, "국내외 SNS의 현황과 사회적 의미", <방송통신정책>, 24(12), 19-42, 2012
12 김상호, "맥루한 매체이론에서 인간의 위치",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언론과학연구, 8(2), 84-121, 2008
13 노기영, "뉴미디어의 의사소통성과 쌍방향성", 정보통신정책연구원, In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사회의 방송 통신 패러다임변화 연구 (pp. 08-15), 2008
14 이호규, "전체주의에서의 개인 커뮤니케이션",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4, 16-17, 2011
15 권혁수, 허정은, 최종혁, 안태숙, 김효정, 김형준, "대학생 연줄망 측정을위한 척도개발",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61(3), 283-3, 2009
16 소진광, "사회적 자본의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韓國地域開發學會,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6(1), 89-118, 2004
17 최영신, "교육평가용어사전, 한국교육평가학회", 학지사, 2004
18 배영,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사회자본",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 이론, 3(2), 54-81, 2007
19 김동윤, "사회자본의 개념화에 대한 탐색적 접근",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9(4), 38-64, 2009
20 김은미, 이준웅, 문태준, "사회적 자본 형성의 커뮤니케이션 기초", 한국언론학보, 49(3), 234-261, 2005
21 이호규, "페이스북의 정체성에 대한 탐색적 시론",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8(4), 29-172, 2011
22 하정혜, "감정 인식과 표현을 통한 심리적 안녕감", 한국독서치료학회, <한국독서치료학회>, 65-89, 2008
23 금희조, "소셜 미디어 이용과 다문화에 대한 관용",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5(4), 162-186, 2011
24 금희조, "미디어 이용과 환경 이슈에 관한 시민 참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6(4), 5-28, 2012
25 김영희, "커뮤니케이션 매체중심의 역사적 접근방법", 한국언론학회, 한국 언론학보, 45(1), 61-90, 2000
26 이은주,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트위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언론정보연구>, 48권 1호, 29-58, 2011
27 김광재, 박한우, 김효동,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따른 사회관계망 분석",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0(3), 83-123, 2006
28 김병희, 한상필, "탤레비전 광고의 창의성 척도개발과 타당화", 광고학 연구, 19(2), 7-42, 2008
29 권상희, 김효경, 김은미, "SNS에 대한 공감, 신뢰, 정치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138-141, 2012
30 금희조, 조재호, "스마트폰,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참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4(5), 348-371, 2010
31 김명아, "사이버 공간의 사회자본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사회학회, 정보사회와 미디어, (11), 25-59, 2007
32 김영주, 장용호, "사이버 공동체의 사회자본적 속성에 관한 연구", SBS문화재단, 미디어 경제와 문화, 2(3), 55-96, 2004
33 김동윤, "가상공간에서의 정치토론과 시민적 태도의 형성",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102-139, 2007
34 김상준, "부르디외, 콜만, 퍼트남의 사회적 자본 개념 비판",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38(6), 63-95, 2004
35 서순탁, "사회적 자본 증진을 위한 도시계획의 역할과 과제", 국토연구, 73-87, 2002
36 강미은(Mee-Eun Kang), "인터넷과 기존 매체 이용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방송연구, 50(5), 179~208, 2000
37 류석춘(Lew, Seok-Choon), 왕혜숙(Wang, Hye Suk), "“사회자본 개념으로 재구성한 한국의 경제발전”", 한국이론사회학회, 사회와이론, 12, 109-162, 2008
38 박성현(SungHyun Park), 최영(Young Choi),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가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5(2), 241-276, 2011
39 차경호,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호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18, 575-595, 1999
40 석승혜, 조성남, "SNS 이용자들의 유명인 이용 동기와 사회정체성 형성",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사회과학연구논총, 32(1), 119-158, 2016
41 이환수(Hwansoo Lee), 이나리(Nari Lee),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9), 153-163, 2014
42 이지호, 한영빈, 이현우, "사회자본(Social Capital) 특성이 지역주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45(2), 149-171, 2011
43 윤성준, "사회적 자본의 효과에 관한 네트워크적 접근 : Bonding vs", Bridging. e-비즈니스연구, 14(1), 203-224, 2013
44 김진성, 뢰정첩, 김종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사회적 자본 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시스템학회, 정보시스템연구, 21(3), 163-186, 2012
45 이재현(Jae-Hyun Lee), "───. "인터넷, 전통적 미디어, 그리고 생활시간 패턴"",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49(2), 224-254, 2005
46 이정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자기 노출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47 구철모, 정남호, 전유희,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동기와 성과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41(5), 1135-1156, 2012
48 김덕중(Deok-Jung Kim), 박진우(Jin-Woo Park),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와 신뢰성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韓國컴퓨터情報學會,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19(10), 207-219, 2014
49 정재열(Jaeyeol Jeong), 신동희(Dong-Hee Shin), "사회적 자본 형성 중심의 사회연결망서비스 평가 모델 연구", 한국HCI학회, 한국 HCI학회 학술대회, 1164-1167, 2014
50 김은미, 이준웅, 문태준, "사회적 자본과 커뮤니케이션 품질.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통권, (19), 135-172, 2006
51 배영, "사이버 커뮤니티의 경험적 분석을 이용한 사회자본의 유형화",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37(5), 161-186, 2003
52 오현숙(Oh, Hyun Sook), "여대생의 신체 불만족과 다이어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일어교육학회, 한국광고홍보학보, 17(3), 65-97, 2015
53 정낙원, "대학생들의 소셜 미디어 이용의 정치 참여 효과 메커니즘 분석",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4(2), 273-294, 2013
54 한상일, "사회적 자본의 유형과 공동체 참여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9-246, 2004
55 황하성, "사회적 현존감(Social Presence)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 구",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7(2), 529-561, 2007
56 이승민, "「스마트기기와 SNS활용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 구」", 한국문헌정보학회,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161-180, 2013
57 윤미선, 이종혁, "소셜미디어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사회자본에 대한 연구", 문화방송,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3(2), 5-44, 2012
58 김봉섭, "블로그 이용에 따른 사회적 연결망 유형과 사회적 자본 효과 연구", 언론과학연구, 10(2), 73-104, 2010
59 장일훈(Il Hoon Jang), 박은정(Eun Jung Park), 이성림(Seonglim Lee),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자본 유형이 소비자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1), 107-124, 2017
60 김명혜, "50대 중년남성의 모바일 소셜미디어 이용과 사회자본에 관 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30(1), 36-70, 2016
61 하승태, 이정교, "「미디어 이용량과 선호 콘텐츠 유형이 미디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5(1), 413-434, 2011
62 김진희, 최만규, "성별에 따른 아파트 주민의 음주,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연결망과의 관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1(1), 105-115, 2010
63 김영성, 박영목, "인터넷 및 스마트폰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인간 커뮤니케이션 특성 변화", 한국디자인학회 봄국제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30-131, 2010
64 최연태, "마이크로블로그의 정치적 이용이 참여적 사회자본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16(1), 297-329, 2012
65 김유정,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 페이스 북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미디어 젠더& 문화, 20, 71-105, 2011
66 박선희, "“인터페이스 감각양식이 사회적 현존감 및 온라인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4(4). 398-419, 2010
67 윤성준, 한희은, "사회적 자본이론에 근거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행동에 관한 비교문화적연구", 한국서비스경영학회, 서비스경영학회지, 14(2), 73-92, 2013
68 전종우, "감정 민감도와 자아 표현이 SNS 게임의 프레즌스 경험과 광고 회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광고연구, (113), 45-67, 2017
69 정지훈, "지역발전을 위한 사회적 자본 측정 및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 용인시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논총, 30, 139-172, 2014
70 김수진, 차희원, "결속형, 교량형 사회적 자본과 커뮤니케이션 행위 특성이 음주운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7(1), 187-215, 2013
71 이성식, "소셜네트워크서비스 (SNS) 상에서의 불법행동과 그 원인으로 사회적 자본과 그 쟁점", 형사정책연구, 261-290, 2013
72 최자영, 장은영, 이수원, "공적자기의식과 나르시시즘이 페이스북 브랜드 팬페이지의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마케팅연구, 28(2), 65-86, 2013
73 배진한,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가치관과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이동전화의 매체인식",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21호2, 87-113, 2003
74 곽규태, 최수건, 천영준, 이인성, 오신호, 김진우, "스마트폰 SNS 이용의 기술 사회적 환경요인이 스트레스 인지와 SNS 이용의도 저하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1(6), 1405-1434, 2012
75 한혜경, "고객이 지각하는 가치가 감정적 반응과 고객만족을 통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76 금희조(Heejo Keum), "온라인 소셜 미디어와 참여적 사회 자본-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연결적 vs. 결속적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4(5), 9-46, 2010
77 최은영, "패션 브랜드의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프로모션 사례연구 - 공감, 참여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한국복식학회, 62(1), 137-151, 2012
78 곽규태, 최세경, 이봉규,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스마트폰 SNS 애착이 SNS 상호작용과 이용 후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29(1), 159-200, 2012
79 김원형, "조직 동일시 , 조직 몰입 , 조직 내재화 변인들간의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6(1), 12-35, 1993
80 나은영, 최미경, "블로그 이용자의 자기표현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상호작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9(4), 163-193, 2015
81 배진한,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환경이 새로운 대인 커뮤니케이션 매체 이용에 미치는 영향:인터넷,이동전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47-77, 2003
82 신민철, 신재욱,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대인관계 의사소통 및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긍정적 영향의 연구", <사회과학연구>, 29(3), 329-360,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