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소셜미디어시대의 사회적 자본유형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5183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59.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Exploring social capital in social media era

      • 형태사항

        vii, 143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국·영문초록수록
        지도교수: 이은선
        참고문헌: 장 127-139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reviews previous research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evolution in social capital in a way that adapts to the new social media environment. In the new social media environment, the borders of human relationship are dissipating except for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types, which were formed in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current study proposes a new type of social capital in these nascent conditions, moving on to provide a verification study to understand that social capital is an interactive relationship type regarding relationships between myself and others, rather than personal relationship type regarding an individual and other people. As a method of discovering new social capital in the age of social media, the current study begins with a review of literature on social capital and media, and progresses to develop a standard scale that can measure the possibility that new form of social capital may exist, in the same along with the two conventional social capital types (bonding and bridging). In building the scale, previous studies on social capital and social media were consulted, in addition to in-depth interviews to deduce standard scaling questions. The questions are used as a basis to study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including the new type of social capital) on mutual relationships on social media, as well as o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individual social media users.
      With fifty-five initial questions, developed vi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regarding the measurement of the new type of social capital, the researcher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calculate the validity. The results yielded a scale with nineteen items for measuring the new type of social capital: six questions were on trust, four on norms, three on self-presentation, three on network, and three on reciprocit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final nineteen questions resulted in significant reliability and validity. These tests indicate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ocial capital exists on social media; users of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continue to maintain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s formed in conventional offline and online relationships, while generating a new form of social capital appropriate for a new communication channel of social media. In conclusion, the new social capital is one in which social media users provide mutual self-presentation to form networks, in which they strengthen closeness and bond. In other words, the new social capital does not focus only on forming and expanding relationship. Rather, it aims to actively present one’s existence in the formed network, in order to increase the density of the relationship and enhance closeness. The current study provisionally defines this new form of social capital: displaying social capital.
      An analysis of interaction between the three social capitals (bonding, bridging, new type) on social media and offline friends revealed that only bonding social capital among the three influences the friendship with offline friends. As for the analysis of interaction between the social capitals social media friends, only the new type of social capital had very large impact. This is a positive indication that this new type of social capital may exist in the advent age of social media. Lastly, an analysis of social capital in the age of social media on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show that all three types of social capita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the new type of social capital is already influencing network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mechanism on social media. As such, the current study is significant for its empirical verification that diverse communication methods and new types of social capital can arise as new communication platforms and channels develop.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communication channels such as social media not only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use among people, but also have very significant impact on individual lives and psychological mechanisms. With this knowledge, the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continue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new forms of social capital in the age of evolving communication methods represented by social media.
      번역하기

      In this study reviews previous research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evolution in social capital in a way that adapts to the new social media environment. In the new social media environment, ...

      In this study reviews previous research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evolution in social capital in a way that adapts to the new social media environment. In the new social media environment, the borders of human relationship are dissipating except for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types, which were formed in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environment. The current study proposes a new type of social capital in these nascent conditions, moving on to provide a verification study to understand that social capital is an interactive relationship type regarding relationships between myself and others, rather than personal relationship type regarding an individual and other people. As a method of discovering new social capital in the age of social media, the current study begins with a review of literature on social capital and media, and progresses to develop a standard scale that can measure the possibility that new form of social capital may exist, in the same along with the two conventional social capital types (bonding and bridging). In building the scale, previous studies on social capital and social media were consulted, in addition to in-depth interviews to deduce standard scaling questions. The questions are used as a basis to study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including the new type of social capital) on mutual relationships on social media, as well as o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individual social media users.
      With fifty-five initial questions, developed vi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regarding the measurement of the new type of social capital, the researcher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calculate the validity. The results yielded a scale with nineteen items for measuring the new type of social capital: six questions were on trust, four on norms, three on self-presentation, three on network, and three on reciprocit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final nineteen questions resulted in significant reliability and validity. These tests indicate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ocial capital exists on social media; users of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continue to maintain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s formed in conventional offline and online relationships, while generating a new form of social capital appropriate for a new communication channel of social media. In conclusion, the new social capital is one in which social media users provide mutual self-presentation to form networks, in which they strengthen closeness and bond. In other words, the new social capital does not focus only on forming and expanding relationship. Rather, it aims to actively present one’s existence in the formed network, in order to increase the density of the relationship and enhance closeness. The current study provisionally defines this new form of social capital: displaying social capital.
      An analysis of interaction between the three social capitals (bonding, bridging, new type) on social media and offline friends revealed that only bonding social capital among the three influences the friendship with offline friends. As for the analysis of interaction between the social capitals social media friends, only the new type of social capital had very large impact. This is a positive indication that this new type of social capital may exist in the advent age of social media. Lastly, an analysis of social capital in the age of social media on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show that all three types of social capita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the new type of social capital is already influencing network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mechanism on social media. As such, the current study is significant for its empirical verification that diverse communication methods and new types of social capital can arise as new communication platforms and channels develop.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communication channels such as social media not only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use among people, but also have very significant impact on individual lives and psychological mechanisms. With this knowledge, the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continue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new forms of social capital in the age of evolving communication methods represented by social medi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은 현대인의 관계와 소통을 이야기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이다. 그러나 그 개념에 대한 정의는 확실하게 정의되어지지 않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사회적 자본이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서 그 개념이 확장되고, 전이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명확하게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그 이론이 발생(출현)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지? 진정한 사회적 자본은 무엇인지? 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그리고 새롭게 등장하고 빠르게 진화 화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에서의 사회적 자본 형성 및 존재 가능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달과 관련해서 진행되는 연구들을 살펴보고 소셜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사회적 자본의 진화 가능성과 기존의 사회적 자본 유형과 다른 유형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형성된 사회적 자본 유형인 결속형(Bonding)과 교량형(Bridging)외에 인간관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확장성의 한계가 없어진 소셜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유형의 사회적 자본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검증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사회적 자본이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개인적인 관계유형’이 아닌 ‘나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상호작용적 관계유형’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회적 자본과는 다른 유형을 소셜미디어 이용자들 상호간 자기제시를 통해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그 네트워크안에서 친밀감과 유대감을 강화하는 자본이라고 보았다. 이 자본은 오로지 관계형성과 확장이 목적이 아니라 그 형성된 네트워크에서 나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드러내어 관계의 밀도를 높이고, 친밀감을 형성하여 만드는 자본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사회적 자본을 ‘표현형 사회적 자본(Displaying Social Capital)'이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시대의 표현형 사회적 자본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사회적 자본과 매체에 관한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와 더불어 기존의 2가지 사회적 자본 유형(결속형 & 교량형)과 같이 표현형 사회적 자본의 존재 가능성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표준 척도 개발을 실시하였다. 그 방법으로 사회적 자본과 소셜미디어 관련 문헌조사연구와 심층면접을 통해 표준 척도문항을 도출하고 그 문항을 기준으로 3가지 사회적 자본이 소셜미디어에서의 상호 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소셜미디어 이용자 개인의 심리적 매커니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헌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도출한 최초 55문항의 표현형 사회적 자본 측정 문항을 기준으로 타당도 분석을 위한 탐색적 요인 추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로 신뢰 6문항, 규범 4문항, 자기제시 3문항, 네트워크 3문항, 호혜성 3문항의 소셜미디어에서의 표현형 사회적 자본을 측정할 수 있는 최종 19문항의 표준 척도를 개발하였다. 사회적 자본과 소셜미디어 관련 문헌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서 도출한 문항들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한 19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는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소셜미디어에 적합한 사회적 자본의 존재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으며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기존의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형성된 결속형 & 교량형 사회적 자본을 계속해서 유지하며 소셜미디어라는 커뮤니케이션 채널 환경에 적합한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소셜미디어 중심의 3가지 사회적 자본 유형(교량형, 결속형, 표현형 사회적 자본)과 오프라인 친구와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자본의 3가지 유형 중 결속형 사회적 자본만이 오프라인 친구와의 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소셜미디어 친구와 상호작용 결과에서는 표현형 사회적 자본만이 소셜미디어 친구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연구의 소셜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사회적 자본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로 판단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소셜미디어 시대의 사회적 자본이 개인의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3가지 사회적 자본 유형 모두 자기 효능감, 사회적지지, 삶의 만족(주관적안녕감&웰빙) 등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표현형 사회적 자본은 이미 소셜미디어상에서 네트워크와 개인의 심리적 매커니즘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 연구 2에서는 소셜미디어에서의 사회적 자본과 광고·홍보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자본이 브랜드 팬 페이지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표현형, 교량형, 결속형 사회적 자본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브랜드 팬 페이지 추천 가능성에 대해서는 교량형, 표현형 사회적 자본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는 광고홍보 분야의 실무적 함의로서 특정 대상의 광고 혹은 홍보를 위해서는 현대인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기능적 특성과 더불어 이용자들의 특성과 그 이용자들이 형성한 사회적 자본의 특성을 잘 고려하여 광고의 효과성을 극대화 시켜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매체와 채널의 발달과 함께 그 안에서 교류하는 사람들 간에 다양한 소통방식과 새로운 자본의 형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실증 연구 검증을 통해 이루어 냈다는데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가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사람들 간의 소통 및 정보 활용 기능만을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한 개인의 삶과 현대인의 심리적 매커니즘에 매우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 했다는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은 현대인의 관계와 소통을 이야기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이다. 그러나 그 개념에 대한 정의는 확실하게 정의되어지지 않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은 현대인의 관계와 소통을 이야기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개념이다. 그러나 그 개념에 대한 정의는 확실하게 정의되어지지 않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고 사회적 자본이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서 그 개념이 확장되고, 전이 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명확하게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그 이론이 발생(출현)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지? 진정한 사회적 자본은 무엇인지? 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그리고 새롭게 등장하고 빠르게 진화 화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에서의 사회적 자본 형성 및 존재 가능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제기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달과 관련해서 진행되는 연구들을 살펴보고 소셜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사회적 자본의 진화 가능성과 기존의 사회적 자본 유형과 다른 유형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형성된 사회적 자본 유형인 결속형(Bonding)과 교량형(Bridging)외에 인간관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확장성의 한계가 없어진 소셜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유형의 사회적 자본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검증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사회적 자본이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개인적인 관계유형’이 아닌 ‘나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상호작용적 관계유형’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회적 자본과는 다른 유형을 소셜미디어 이용자들 상호간 자기제시를 통해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그 네트워크안에서 친밀감과 유대감을 강화하는 자본이라고 보았다. 이 자본은 오로지 관계형성과 확장이 목적이 아니라 그 형성된 네트워크에서 나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드러내어 관계의 밀도를 높이고, 친밀감을 형성하여 만드는 자본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사회적 자본을 ‘표현형 사회적 자본(Displaying Social Capital)'이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시대의 표현형 사회적 자본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사회적 자본과 매체에 관한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와 더불어 기존의 2가지 사회적 자본 유형(결속형 & 교량형)과 같이 표현형 사회적 자본의 존재 가능성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표준 척도 개발을 실시하였다. 그 방법으로 사회적 자본과 소셜미디어 관련 문헌조사연구와 심층면접을 통해 표준 척도문항을 도출하고 그 문항을 기준으로 3가지 사회적 자본이 소셜미디어에서의 상호 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소셜미디어 이용자 개인의 심리적 매커니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헌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도출한 최초 55문항의 표현형 사회적 자본 측정 문항을 기준으로 타당도 분석을 위한 탐색적 요인 추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로 신뢰 6문항, 규범 4문항, 자기제시 3문항, 네트워크 3문항, 호혜성 3문항의 소셜미디어에서의 표현형 사회적 자본을 측정할 수 있는 최종 19문항의 표준 척도를 개발하였다. 사회적 자본과 소셜미디어 관련 문헌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서 도출한 문항들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한 19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는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소셜미디어에 적합한 사회적 자본의 존재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으며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은 기존의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형성된 결속형 & 교량형 사회적 자본을 계속해서 유지하며 소셜미디어라는 커뮤니케이션 채널 환경에 적합한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소셜미디어 중심의 3가지 사회적 자본 유형(교량형, 결속형, 표현형 사회적 자본)과 오프라인 친구와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자본의 3가지 유형 중 결속형 사회적 자본만이 오프라인 친구와의 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소셜미디어 친구와 상호작용 결과에서는 표현형 사회적 자본만이 소셜미디어 친구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연구의 소셜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사회적 자본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로 판단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소셜미디어 시대의 사회적 자본이 개인의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3가지 사회적 자본 유형 모두 자기 효능감, 사회적지지, 삶의 만족(주관적안녕감&웰빙) 등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표현형 사회적 자본은 이미 소셜미디어상에서 네트워크와 개인의 심리적 매커니즘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 연구 2에서는 소셜미디어에서의 사회적 자본과 광고·홍보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자본이 브랜드 팬 페이지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표현형, 교량형, 결속형 사회적 자본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브랜드 팬 페이지 추천 가능성에 대해서는 교량형, 표현형 사회적 자본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는 광고홍보 분야의 실무적 함의로서 특정 대상의 광고 혹은 홍보를 위해서는 현대인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기능적 특성과 더불어 이용자들의 특성과 그 이용자들이 형성한 사회적 자본의 특성을 잘 고려하여 광고의 효과성을 극대화 시켜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매체와 채널의 발달과 함께 그 안에서 교류하는 사람들 간에 다양한 소통방식과 새로운 자본의 형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실증 연구 검증을 통해 이루어 냈다는데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가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사람들 간의 소통 및 정보 활용 기능만을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한 개인의 삶과 현대인의 심리적 매커니즘에 매우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 했다는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II. 이론적 배경 5
      • 1. 사회적 자본의 정의 5
      • (1) 사회적 자본 개념의 등장배경 5
      • (2) 사회적 자본 개념의 발전 8
      • I. 서론 1
      • II. 이론적 배경 5
      • 1. 사회적 자본의 정의 5
      • (1) 사회적 자본 개념의 등장배경 5
      • (2) 사회적 자본 개념의 발전 8
      • 2.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 12
      • 3. 사회적 자본의 유형 22
      • 4. 미디어와 사회적 자본 관련 연구들 28
      • (1) 전통매체에서의 사회적 자본 연구 28
      • (2) 소셜미디어 시대의 사회적 자본 연구 34
      • 5.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38
      • 6. 소셜미디어 시대의 사회적 자본의 새로운 유형 46
      • Ⅲ. 연구문제 49
      • Ⅳ. 연구 1 52
      • 1. 연구방법 및 개요 52
      • 2. 구성개념의 구체화 53
      • 3. 항목표본개발 : 문헌고찰 60
      • 4. 항목표본개발 : 심층면접 69
      • 5. 자료 분석과 항목의 정화 91
      • 6.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 95
      • Ⅴ. 연구 2 : 소셜미디어 시대의 사회적 자본과 광고효과 113
      • Ⅵ. 결론 및 논의 119
      • 참고문헌 127
      • Abstract 14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수행, "null", 서울: 한길사, 1990

      2 오창우, "사회적 자본으로서 PR",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한국사회과학연구, 35(1), 224-246, 2016

      3 김욱동, "『미국 소설의 이해』", 소나무, 소나무, 2001년, 2001

      4 이재열, 남은영, "한국인의 사회적 자본",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42(7), 178-214, 2008

      5 박길성,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아세아연구, 45(2), 109-139, 2002

      6 고상민, 황보환, 지용구, "SNS와 온라인 사회적 자본",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5(1), 103-118, 2010

      7 배영, 이혜인, "스마트폰 이용과 사회자본", 한국정보사회학회, 정보사회와 미디어, (21), 35-71, 2011

      8 전은식, 조인호,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자본",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언론학연구, 17(1), 175-210, 2013

      9 오정연, "한 미 일 SNS 서비스 비교분석", IT 정책연구시리즈, (11), 2009

      10 최영출, "지역의 사회자본측정지표 설정", 한국행정학회, 지방정부연구, 8, 119-144, 2004

      1 김수행, "null", 서울: 한길사, 1990

      2 오창우, "사회적 자본으로서 PR",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한국사회과학연구, 35(1), 224-246, 2016

      3 김욱동, "『미국 소설의 이해』", 소나무, 소나무, 2001년, 2001

      4 이재열, 남은영, "한국인의 사회적 자본",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42(7), 178-214, 2008

      5 박길성,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아세아연구, 45(2), 109-139, 2002

      6 고상민, 황보환, 지용구, "SNS와 온라인 사회적 자본",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5(1), 103-118, 2010

      7 배영, 이혜인, "스마트폰 이용과 사회자본", 한국정보사회학회, 정보사회와 미디어, (21), 35-71, 2011

      8 전은식, 조인호, "커뮤니케이션과 사회적 자본",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언론학연구, 17(1), 175-210, 2013

      9 오정연, "한 미 일 SNS 서비스 비교분석", IT 정책연구시리즈, (11), 2009

      10 최영출, "지역의 사회자본측정지표 설정", 한국행정학회, 지방정부연구, 8, 119-144, 2004

      11 김희연, 오주현, "국내외 SNS의 현황과 사회적 의미", <방송통신정책>, 24(12), 19-42, 2012

      12 김상호, "맥루한 매체이론에서 인간의 위치",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언론과학연구, 8(2), 84-121, 2008

      13 노기영, "뉴미디어의 의사소통성과 쌍방향성", 정보통신정책연구원, In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사회의 방송 통신 패러다임변화 연구 (pp. 08-15), 2008

      14 이호규, "전체주의에서의 개인 커뮤니케이션",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4, 16-17, 2011

      15 권혁수, 허정은, 최종혁, 안태숙, 김효정, 김형준, "대학생 연줄망 측정을위한 척도개발",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61(3), 283-3, 2009

      16 소진광, "사회적 자본의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韓國地域開發學會,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6(1), 89-118, 2004

      17 최영신, "교육평가용어사전, 한국교육평가학회", 학지사, 2004

      18 배영,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사회자본",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 이론, 3(2), 54-81, 2007

      19 김동윤, "사회자본의 개념화에 대한 탐색적 접근",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9(4), 38-64, 2009

      20 김은미, 이준웅, 문태준, "사회적 자본 형성의 커뮤니케이션 기초", 한국언론학보, 49(3), 234-261, 2005

      21 이호규, "페이스북의 정체성에 대한 탐색적 시론",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8(4), 29-172, 2011

      22 하정혜, "감정 인식과 표현을 통한 심리적 안녕감", 한국독서치료학회, <한국독서치료학회>, 65-89, 2008

      23 금희조, "소셜 미디어 이용과 다문화에 대한 관용",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5(4), 162-186, 2011

      24 금희조, "미디어 이용과 환경 이슈에 관한 시민 참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6(4), 5-28, 2012

      25 김영희, "커뮤니케이션 매체중심의 역사적 접근방법", 한국언론학회, 한국 언론학보, 45(1), 61-90, 2000

      26 이은주,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트위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언론정보연구>, 48권 1호, 29-58, 2011

      27 김광재, 박한우, 김효동,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따른 사회관계망 분석",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0(3), 83-123, 2006

      28 김병희, 한상필, "탤레비전 광고의 창의성 척도개발과 타당화", 광고학 연구, 19(2), 7-42, 2008

      29 권상희, 김효경, 김은미, "SNS에 대한 공감, 신뢰, 정치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138-141, 2012

      30 금희조, 조재호, "스마트폰,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참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4(5), 348-371, 2010

      31 김명아, "사이버 공간의 사회자본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사회학회, 정보사회와 미디어, (11), 25-59, 2007

      32 김영주, 장용호, "사이버 공동체의 사회자본적 속성에 관한 연구", SBS문화재단, 미디어 경제와 문화, 2(3), 55-96, 2004

      33 김동윤, "가상공간에서의 정치토론과 시민적 태도의 형성",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102-139, 2007

      34 김상준, "부르디외, 콜만, 퍼트남의 사회적 자본 개념 비판",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38(6), 63-95, 2004

      35 서순탁, "사회적 자본 증진을 위한 도시계획의 역할과 과제", 국토연구, 73-87, 2002

      36 강미은(Mee-Eun Kang), "인터넷과 기존 매체 이용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방송연구, 50(5), 179~208, 2000

      37 류석춘(Lew, Seok-Choon), 왕혜숙(Wang, Hye Suk), "“사회자본 개념으로 재구성한 한국의 경제발전”", 한국이론사회학회, 사회와이론, 12, 109-162, 2008

      38 박성현(SungHyun Park), 최영(Young Choi),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가 사회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5(2), 241-276, 2011

      39 차경호,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호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18, 575-595, 1999

      40 석승혜, 조성남, "SNS 이용자들의 유명인 이용 동기와 사회정체성 형성",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사회과학연구논총, 32(1), 119-158, 2016

      41 이환수(Hwansoo Lee), 이나리(Nari Lee),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9), 153-163, 2014

      42 이지호, 한영빈, 이현우, "사회자본(Social Capital) 특성이 지역주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45(2), 149-171, 2011

      43 윤성준, "사회적 자본의 효과에 관한 네트워크적 접근 : Bonding vs", Bridging. e-비즈니스연구, 14(1), 203-224, 2013

      44 김진성, 뢰정첩, 김종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사회적 자본 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시스템학회, 정보시스템연구, 21(3), 163-186, 2012

      45 이재현(Jae-Hyun Lee), "───. "인터넷, 전통적 미디어, 그리고 생활시간 패턴"",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49(2), 224-254, 2005

      46 이정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자기 노출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47 구철모, 정남호, 전유희,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의 이용동기와 성과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41(5), 1135-1156, 2012

      48 김덕중(Deok-Jung Kim), 박진우(Jin-Woo Park),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와 신뢰성이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韓國컴퓨터情報學會,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19(10), 207-219, 2014

      49 정재열(Jaeyeol Jeong), 신동희(Dong-Hee Shin), "사회적 자본 형성 중심의 사회연결망서비스 평가 모델 연구", 한국HCI학회, 한국 HCI학회 학술대회, 1164-1167, 2014

      50 김은미, 이준웅, 문태준, "사회적 자본과 커뮤니케이션 품질.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통권, (19), 135-172, 2006

      51 배영, "사이버 커뮤니티의 경험적 분석을 이용한 사회자본의 유형화",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37(5), 161-186, 2003

      52 오현숙(Oh, Hyun Sook), "여대생의 신체 불만족과 다이어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일어교육학회, 한국광고홍보학보, 17(3), 65-97, 2015

      53 정낙원, "대학생들의 소셜 미디어 이용의 정치 참여 효과 메커니즘 분석",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24(2), 273-294, 2013

      54 한상일, "사회적 자본의 유형과 공동체 참여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9-246, 2004

      55 황하성, "사회적 현존감(Social Presence)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 구",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7(2), 529-561, 2007

      56 이승민, "「스마트기기와 SNS활용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 구」", 한국문헌정보학회,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161-180, 2013

      57 윤미선, 이종혁, "소셜미디어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사회자본에 대한 연구", 문화방송,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3(2), 5-44, 2012

      58 김봉섭, "블로그 이용에 따른 사회적 연결망 유형과 사회적 자본 효과 연구", 언론과학연구, 10(2), 73-104, 2010

      59 장일훈(Il Hoon Jang), 박은정(Eun Jung Park), 이성림(Seonglim Lee),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자본 유형이 소비자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1), 107-124, 2017

      60 김명혜, "50대 중년남성의 모바일 소셜미디어 이용과 사회자본에 관 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30(1), 36-70, 2016

      61 하승태, 이정교, "「미디어 이용량과 선호 콘텐츠 유형이 미디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5(1), 413-434, 2011

      62 김진희, 최만규, "성별에 따른 아파트 주민의 음주,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연결망과의 관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1(1), 105-115, 2010

      63 김영성, 박영목, "인터넷 및 스마트폰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인간 커뮤니케이션 특성 변화", 한국디자인학회 봄국제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30-131, 2010

      64 최연태, "마이크로블로그의 정치적 이용이 참여적 사회자본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16(1), 297-329, 2012

      65 김유정,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 페이스 북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미디어 젠더& 문화, 20, 71-105, 2011

      66 박선희, "“인터페이스 감각양식이 사회적 현존감 및 온라인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4(4). 398-419, 2010

      67 윤성준, 한희은, "사회적 자본이론에 근거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행동에 관한 비교문화적연구", 한국서비스경영학회, 서비스경영학회지, 14(2), 73-92, 2013

      68 전종우, "감정 민감도와 자아 표현이 SNS 게임의 프레즌스 경험과 광고 회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광고연구, (113), 45-67, 2017

      69 정지훈, "지역발전을 위한 사회적 자본 측정 및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 용인시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논총, 30, 139-172, 2014

      70 김수진, 차희원, "결속형, 교량형 사회적 자본과 커뮤니케이션 행위 특성이 음주운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7(1), 187-215, 2013

      71 이성식, "소셜네트워크서비스 (SNS) 상에서의 불법행동과 그 원인으로 사회적 자본과 그 쟁점", 형사정책연구, 261-290, 2013

      72 최자영, 장은영, 이수원, "공적자기의식과 나르시시즘이 페이스북 브랜드 팬페이지의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마케팅연구, 28(2), 65-86, 2013

      73 배진한, "한국인의 커뮤니케이션 가치관과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이동전화의 매체인식",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21호2, 87-113, 2003

      74 곽규태, 최수건, 천영준, 이인성, 오신호, 김진우, "스마트폰 SNS 이용의 기술 사회적 환경요인이 스트레스 인지와 SNS 이용의도 저하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1(6), 1405-1434, 2012

      75 한혜경, "고객이 지각하는 가치가 감정적 반응과 고객만족을 통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76 금희조(Heejo Keum), "온라인 소셜 미디어와 참여적 사회 자본-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연결적 vs. 결속적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4(5), 9-46, 2010

      77 최은영, "패션 브랜드의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프로모션 사례연구 - 공감, 참여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한국복식학회, 62(1), 137-151, 2012

      78 곽규태, 최세경, 이봉규,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스마트폰 SNS 애착이 SNS 상호작용과 이용 후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29(1), 159-200, 2012

      79 김원형, "조직 동일시 , 조직 몰입 , 조직 내재화 변인들간의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6(1), 12-35, 1993

      80 나은영, 최미경, "블로그 이용자의 자기표현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상호작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9(4), 163-193, 2015

      81 배진한,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환경이 새로운 대인 커뮤니케이션 매체 이용에 미치는 영향:인터넷,이동전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47-77, 2003

      82 신민철, 신재욱,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대인관계 의사소통 및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긍정적 영향의 연구", <사회과학연구>, 29(3), 329-360,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