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교 문법 용어 중 ‘짜임’의 교육적, 일상적 사용 의미를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들의 이해 양상을 살펴 발전적인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80978
2021
-
학교 문법 용어 ; 짜임 ; 국어과 교육과정 ; 교과서 ; 말뭉치 ; 학습자 ; School Grammar Terminology ; Composition ; Korean Curriculum ; Textbook ; Corpus ; Learner
KCI등재
학술저널
319-358(4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 문법 용어 중 ‘짜임’의 교육적, 일상적 사용 의미를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들의 이해 양상을 살펴 발전적인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짜...
본 연구는 학교 문법 용어 중 ‘짜임’의 교육적, 일상적 사용 의미를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들의 이해 양상을 살펴 발전적인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짜임’이 문법 영역에서 ‘글자의 짜임’, ‘낱말(단어)의 짜임’, ‘문장의 짜임’과 같이 학교급에 관계없이 계속적으로 등장함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 ‘짜임’에 대한 설명이 부재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본고는 ‘짜임’이 역대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양상, 그리고 일상에서 사용되는 양상을 문어, 구어, 신문 말뭉치를 통해 알아보고 일상적 상황에서와 달리 교육적 국면에서 강조되는 ‘짜임’의 의미를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짜임’에 대한 초등학교, 고등학교 학습자의 이해 양상을 살핀 결과 해결이 필요한 문제적 현상들을 발견하였으며, 의미 형성 여부를 중심으로 학습자를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본고는 학습자를 중심에 둔 개선된 교육적 방향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and daily use of 'composition' among school grammar terminology, observe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based on this, and present developmental educational direction. This began from a problem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and daily use of 'composition' among school grammar terminology, observe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based on this, and present developmental educational direction. This began from a problem awareness regarding the lack of explanations on 'composition' in textbooks, even though 'composition' continuously appears in grammatical domains regardless of academic level, such as in 'letter composition', 'word composition', and 'sentence composition'. At this, observations were made of how 'composition' has been presented in curriculums and textbooks and of how it has been used in everyday life through written language, spoken language, and newspaper language corpus and revelations were made of the meaning of 'composition', as emphasized in educational situations unlike in everyday situations. Observations of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learner understanding of 'composition' based on this revealed problematic issues that require resolution and learners could be categorized, focusing on meaning formation. Discussions were put together and presentations were made of improved educational direction focused on learners.
참고문헌 (Reference)
1 구본관, "한국어학 개론" 집문당 2020
2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Ⅰ" 집문당 2015
3 배윤정,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쁘다’ 유의어의 공기 관계 연구" 어문연구학회 85 : 5-23, 2015
4 이관희, "학습자의 지식 구성 분석을 통한 문법 교육 내용의 조직과 표상연구" 서울대학교 2015
5 유성호, "학습용어 설정을 통한 국어교과서 진술의 개산 방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30) : 53-89, 2004
6 성낙수, "학교 문법 품사 설정 및 용어 결정의 과정과 문제점"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229-269, 2010
7 조진수, "학교 문법 용어의 표상 방식 유형화 연구" 국어교육학회 52 (52): 463-493, 2017
8 오현아, "학교 문법 용어의 투명도 문제에 대한 시론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18) : 73-105, 2019
9 박용찬, "학교 문법 용어의 문제점 검토 -『문법』(2002) 이후의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우리말글학회 75 : 109-159, 2017
10 주경희, "학교 문법 용어 검토 -의미론·화용론 분야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34 : 99-114, 2003
1 구본관, "한국어학 개론" 집문당 2020
2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Ⅰ" 집문당 2015
3 배윤정,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쁘다’ 유의어의 공기 관계 연구" 어문연구학회 85 : 5-23, 2015
4 이관희, "학습자의 지식 구성 분석을 통한 문법 교육 내용의 조직과 표상연구" 서울대학교 2015
5 유성호, "학습용어 설정을 통한 국어교과서 진술의 개산 방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30) : 53-89, 2004
6 성낙수, "학교 문법 품사 설정 및 용어 결정의 과정과 문제점"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229-269, 2010
7 조진수, "학교 문법 용어의 표상 방식 유형화 연구" 국어교육학회 52 (52): 463-493, 2017
8 오현아, "학교 문법 용어의 투명도 문제에 대한 시론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18) : 73-105, 2019
9 박용찬, "학교 문법 용어의 문제점 검토 -『문법』(2002) 이후의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우리말글학회 75 : 109-159, 2017
10 주경희, "학교 문법 용어 검토 -의미론·화용론 분야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34 : 99-114, 2003
11 이창근,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학습용어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553-573, 2015
12 박형우, "중학교 교과서의 문법 용어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80) : 461-493, 2021
13 윤정희, "자연놀이를 통한 유아의 과학개념 형성과정 탐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2014
14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18
15 김해연, "문어 말뭉치에서의 ‘곧다’와 ‘바르다’의 의미와 사용에 대한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40 : 1-25, 2016
16 남가영, "문법용어를 통한 문법지식의 구조 체계화 연구(2):형태" 우리말학회 (21) : 177-210, 2007
17 김은성, "문법교육 내용의 표상체로서의 담화 - 문법교육 내용화 방안의 변화 모색을 위한 시론" 한국문법교육학회 16 : 83-110, 2012
18 김호정, "문법 용어를 통한 문법 지식 체계 구조화 연구 (Ⅰ):음운" 국어교육학회 (28) : 275-300, 2007
19 이관규, "문법 용어 ‘절’과 ‘구’의 논리적 정합성—학교 문법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3 (53): 49-70, 2018
20 김해연, "말뭉치에서의 ‘낮다’의 용례와 의미 연구" 한국언어학회 37 (37): 107-129, 2012
21 신인환,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기쁘다’와 ‘즐겁다’의 사용 패턴 비교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9 (9): 193-219, 2013
22 이미지, "말뭉치 분석을 활용한 감정표현 어휘 교육 연구- ‘아쉽다’, ‘섭섭하다’, ‘아깝다’를 중심으로 -" 동남어문학회 1 (1): 383-402, 2014
23 이소현, "말뭉치 분석을 통한 유의어 ‘사용하다’와 ‘이용하다’의 사용 용법 및 의미 분석" 언어연구소 (77) : 73-116, 2017
24 김해연, "국어 문어 말뭉치에서의 무게 표현 ‘가볍다’와‘무겁다’의 의미와 용법 비교 연구" 한국언어학회 38 (38): 115-140, 2013
25 김은성, "국어 문법 학습자의 음운에 대한 앎의 양상 연구" 언어과학회 (42) : 1-25, 2007
26 김해연, "국어 기본 색채어와 파생어의 의미와 용법에 대한 코퍼스언어학적 분석" 한국언어학회 39 (39): 749-771, 2014
27 민현식, "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학 입문" 사회평론아카데미 2020
28 조진수, "교과 간 용어 비교를 통한 문법 개념 교육 연구- 문법 교과와 과학 교과의 용어 비교를 중심으로 -" 청람어문교육학회 (66) : 261-291, 2018
29 윤은정, "과학용어 '힘'의 과학적 상황과 일상적 상황 속에서의 언어적 사용 형태 비교" 한국물리학회 66 (66): 460-467, 2016
30 김세현, "‘글자·낱말·문장의 짜임’ 개념 제시 양상 분석 및 재구성 방안 -‘짜임’의 개념적 은유를 기반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17) : 7-30, 2018
31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편수 자료(Ⅱ)"
LDA를 활용한 아동문학 연구 동향 분석 - KCI 등록 논문을 중심으로 -
쓰기 윤리로서의 ‘인용’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2015 개정 교육과정과 중학교 국어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모국어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이 외국인 학습자의 말하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연구- 베트남어권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중 근대 편지 쓰기 교육에 대한 고찰 -한·중 편지 쓰기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10-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2017-05-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1.04 | 1.728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