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014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전통적 접...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전통적 접근의 특징을 고찰하고 그 한계를 논의하였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의 개념을 고찰한 후,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 대안적 접근을 고찰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의 실제 사례, 예컨대 National Writing Projects, Critical Friends Groups, Lesson Study, 협동학습연구회 등에서 이루어지는 전문성 개발 활동을 살펴보고, 교사학습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전문성 개발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셋째, 교사학습공동체를 둘러싼 주요 쟁점을 고찰하고 그 한계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협력과 자율성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 전문성 개발에 시사하는 바를 고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first, the conceptio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examined. ...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first, the conceptio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examin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raditional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Thir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analyzed. Fourth, the issues and limitation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investigated. In particular, teacher collaboration and autonomy were discussed.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on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 약
      • Ⅰ. 서 론
      • Ⅱ.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전통적 접근
      • Ⅲ. 교사학습공동체의 개념
      • Ⅳ.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대안적 접근
      • 요 약
      • Ⅰ. 서 론
      • Ⅱ.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전통적 접근
      • Ⅲ. 교사학습공동체의 개념
      • Ⅳ.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대안적 접근
      • 1. 교사학습공동체의 사례
      • 2. 교사학습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전문성 개발의 특징
      • Ⅴ. 교사학습공동체의 쟁점과 한계
      • Ⅵ. 결 론
      • 참 고 문 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경혜,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53-80, 2008

      2 손병길, "지식기반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교원연수 혁신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4

      3 조부경, "유치원 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양상"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69-100, 2006

      4 신은화,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성공 사례 연구:‘교컴’과 ‘인디스쿨’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06

      5 최병모, "사회과 경제담당교사 자율연구모임 실태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6 (36): 311-336, 2004

      6 서경혜,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285-310, 2005

      7 김교홍, "교육인적자원부 종합감사보도자료" 김교흥 국회의원실 2006

      8 서경혜, "교육과정 개혁과 학습문화"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55-191, 2007

      9 김혜숙, "교원연수체제 정비 및 법적 기반조성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2

      10 김병찬, "교원연수제도의 발전방향과 과제" 2007

      1 서경혜,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53-80, 2008

      2 손병길, "지식기반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교원연수 혁신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4

      3 조부경, "유치원 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양상" 한국유아교육학회 26 (26): 69-100, 2006

      4 신은화, "온라인 교사 커뮤니티 성공 사례 연구:‘교컴’과 ‘인디스쿨’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06

      5 최병모, "사회과 경제담당교사 자율연구모임 실태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6 (36): 311-336, 2004

      6 서경혜,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285-310, 2005

      7 김교홍, "교육인적자원부 종합감사보도자료" 김교흥 국회의원실 2006

      8 서경혜, "교육과정 개혁과 학습문화"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55-191, 2007

      9 김혜숙, "교원연수체제 정비 및 법적 기반조성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2

      10 김병찬, "교원연수제도의 발전방향과 과제" 2007

      11 교육혁신위원회, "교원연수제도 개선방안" 교육인적자원부. 2006

      12 이윤식, "교원 연수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3

      13 김혜숙, "교원 '전문성'과 '질'의 개념 및 개선전략 탐색" 한국교육학회 41 (41): 5-114, 2003

      14 최진영, "교사학습공동체 수준에 따른 사회과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217-240, 2006

      15 김성천, "교사자율연구모임을 통한 교사 전문성 성장 과정" 성균관대학교 2007

      16 Mills,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 우리교육 2005

      17 김지혜, "교사공동체 중심의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8

      18 주영주, "교사 학습공동체 내 지식창출 활동의 성격 및 촉진요인에 대한 사례 연구" 10 (10): 37-54, 2006

      19 한재영, "교사 모임을 통한 과학 교사의 전문성 향상: 실험 행사 중 교사의 상호작용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12 (12): 397-412, 2008

      20 이선숙, "교과별 교사모임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05

      21 DuFour,R, "i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61 (61): 6-11, 2004

      22 Shulman,L.S,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15): 4-14, 1986

      23 Schön,D,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Basic Books 1983

      24 Little,J.W, "The persistency of privacy: Autonomy and initiative in teachers' professional relations" 91 (91): 509-536, 1990

      25 Scriber, J. P, "The paradox of professional community: Tales from two high schools" 38 (38): 45-76, 2002

      26 Louis, K. S,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in restructuring schools" 33 : 757-798, 1996

      27 Lieberman, A, "Teachers in professional communities: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s College Press 2008

      28 Rosenholtz,S, "Teacher's workplace: The social organization of schools" Longman 1989

      29 cLaughlin, "Teacher learning: New policies, new practices" Teachers College 1996

      30 Sergiovanni, T. J, "Supervision: A redefinition" McGraw Hill 2007

      31 Newman, F. M, "Successful school restructuring" Center on Organization and Restructuring of Schools 1995

      32 National Staff Development Council, "Standards for staff development"

      33 Dooner, A, "Stages of collaboration and the realitie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24 : 564-574, 2008

      34 Lortie,D.C, "Schoolteacher: A sociological stud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5

      35 Roberts, S. M, "Schools a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strateg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Corwin Press 2003

      36 Annenberg Institute for School Reform,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Professional development strategies that improve instruction" Author 2003

      37 Stoll, 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Elaborating new approaches. In L. Stoll & K. S. Loui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Divergence, depth and dilemmas" Open University Press 1-13, 2007

      38 Hord,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ommunities of continuous inquiry and improvement" Austin, TX: Southwest Educational Development Laboratory 1997

      39 Foord, K,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 implementation guide and toolkit" Eye on Education 2008

      40 DuFour, 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t work: Best practices for enhancing student achievement" Reston, VA: ASCD 1998

      41 Bryk, A, "Professional community in Chicago elementary schools: Facilitating factors and organizational consequences" 35 : 751-781, 1999

      42 McLaughlin, M. W, "Professional communities and the work of high school teach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43 Gardner,W.E, "Preface. In M. C. Reynolds (Ed.), Knowledge base for the beginning teacher" Pergamon Press 9-12, 1989

      44 National Writing Project(NWP), "National Writing Project(NWP)"

      45 National School Reform Faculty(NSRF), "National School Reform Faculty(NSRF)"

      46 Fernandez, C, "Lesson study: A Japanese approach to improving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Erlbaum Associates 2004

      47 Lewis,C, "Lesson Study: A handbook of teacher-led instructional change" Research for Better Schools 2002

      48 DuFour, R, "Learning by do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t work" Solution Trees 2006

      49 Hord, S, "Lead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Voices from research and practice" The Corwin Press 2007

      50 Bransford, J, "Introduction. In L. Darling-Hammond & J. Bransford.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What teachers should learn and be able to do" Jossey-Bass 1-39, 2005

      51 Lieberman, A, "Inside the National Writing Project: Connecting network learning and classroom teaching" Teachers College Press 2002

      52 Wells, C, "Implementation of learning community principles: A study of six high schools" 91 (91): 141-160, 2007

      53 Murray,F.B, "Explanations in education in Knowledge base for the beginning teacher" Pergamon 9-12, 1989

      54 Louse, K. S, "Does professional community affect the classroom? Teachers' work and student experiences in restructuring schools" 106 : 532-575, 1998

      55 Key,E, "Do they make a difference? A review of research on the impact of Critical Friends Groups. Presented at the First Annual CFG Research Forum, Denver, Colorado"

      56 Kelly,M, "Critical Friends Groups: Building teacher knowledge through collaboration and reflection. Presented at the Second Annual CFG Research Forum, Seattle, Washington"

      57 Hargreaves,A, "Contrived collegiality: The micro-politics of teacher collaboration in The politics of life in schools" Sage 46-72, 1991

      58 McLaughlin, M, "Contexts that matters for teaching and learning. Stanford: Center for Research on the Context of Secondary School Teaching" Stanford University 1993

      59 Hargreaves,A, "Changing teachers, changing times: Teachers' work and culture in the postmodern age" Teachers College Press 1994

      60 McLaughlin, M. W, "Building 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Professional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achievement" Teachers College Press 2006

      61 Vescio, V, "A review of research on the impact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n teaching practice and student learning" 24 : 80-91, 2008

      62 Hughes, T. A, "A national perspective: An exploration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impact on school improvement efforts" 1 (1): 1-12, 2006

      63 Lewis, C, "A deeper look at lesson study" 61 (61): 18-22, 2004

      64 교육인적자원부, "2008년도 교원연수 운영 기본계획" 교육인적자원부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