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온라인 TIE 프로그램 개발 적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31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공연형 참여 프로그램 TIE
      • 2. 원격교육의 의미와 특징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공연형 참여 프로그램 TIE
      • 2. 원격교육의 의미와 특징
      • 3. 원격교육에서의 TIE
      • Ⅲ. 연구 방법
      • 1. 연구 참여자
      • 2. 자료 수집 및 분석
      • Ⅳ. 온라인 TIE 프로그램 개발
      • 1. 온라인 TIE 프로그램 고안 원리
      • 2. 온라인 TIE 프로그램 개발
      • Ⅴ. 온라인 TIE 프로그램 적용 및 결과
      • 1. 온라인 TIE 프로그램 적용
      • 2. 온라인 TIE 프로그램 적용 결과
      • Ⅵ.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숙, "한국역사문제의 이해와 소통을 위한 티아이이(TIE)프로그램 개발 연구-한국전쟁시 민간인 학살 사건에 관한 <둔덕마을의 비밀>을 중심으로" 3 : 209-241, 2010

      2 이소희, "한국 TIE 프로그램의 수용과 전개양상을 통한 발전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3 김병주, "학교폭력예방 교육연극 TIE의 가능성과 초등교육에의 시사점" 초등교육연구원 24 (24): 75-96, 2013

      4 임한솔, "특성화고등학교 진로교육을 위한 TIE 프로그램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9

      5 이예슬, "코로나19에 따른 학교 교육에서의 패러독스 현상" 한국교육학회 59 (59): 131-165, 2021

      6 권정민, "코로나 시대 초등원격수업이부실한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32 (32): 399-424, 2021

      7 하연경, "청소년기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Theatre-in-Education(TIE) 활용 방안 연구 : 교육극단 달팽이의 <<꽃.섬.왕자>>, 콕핏의 <<행진>>, 크리에이티브 아트팀의 <<이것이 바로 당신의 본 모습>>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6

      8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다섯가지 접근-" 학지사 2015

      9 교육부, "유·초·중등 및 특수학교 코로나19 감염예방 관리 안내"

      10 박상훈, "원격교육 수업 실행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0

      1 이영숙, "한국역사문제의 이해와 소통을 위한 티아이이(TIE)프로그램 개발 연구-한국전쟁시 민간인 학살 사건에 관한 <둔덕마을의 비밀>을 중심으로" 3 : 209-241, 2010

      2 이소희, "한국 TIE 프로그램의 수용과 전개양상을 통한 발전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3 김병주, "학교폭력예방 교육연극 TIE의 가능성과 초등교육에의 시사점" 초등교육연구원 24 (24): 75-96, 2013

      4 임한솔, "특성화고등학교 진로교육을 위한 TIE 프로그램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9

      5 이예슬, "코로나19에 따른 학교 교육에서의 패러독스 현상" 한국교육학회 59 (59): 131-165, 2021

      6 권정민, "코로나 시대 초등원격수업이부실한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32 (32): 399-424, 2021

      7 하연경, "청소년기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Theatre-in-Education(TIE) 활용 방안 연구 : 교육극단 달팽이의 <<꽃.섬.왕자>>, 콕핏의 <<행진>>, 크리에이티브 아트팀의 <<이것이 바로 당신의 본 모습>>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6

      8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다섯가지 접근-" 학지사 2015

      9 교육부, "유·초·중등 및 특수학교 코로나19 감염예방 관리 안내"

      10 박상훈, "원격교육 수업 실행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0

      11 김병주, "연극을 통한 교육, 문화, 그리고 사회적 변화 - 참여와 소통의 교육연극 방법론 T.I.E.(Theatre in Education)를 중심으로" 한국영미문화학회 8 (8): 65-92, 2008

      12 장연주, "비대면 원격교육 상황에서 예비교사 대상의 포럼연극 적용 사례 연구 – D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연극학회 13 (13): 65-83, 2021

      13 정다원, "블렌디드 러닝의 방식으로 교육연극을 활용한 연극 교수법 설계 및 실행"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14 우치갑, "블렌디드 러닝 온라인 수업도구 싹스리" 디자인봄 2021

      15 백령, "미래교육을 위한 온라인 문화예술교육의 고찰" 1 : 2-6, 2020

      16 드라마라운지, "레머디2020-Virtual Theatre:줌으로 관객과 만나기"

      17 장세영, "교육연극이 초등학생의 통일의식 함양에 미치는 영향 : 통일교육 T.I.E 프로그램 실험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18 박은희, "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제" 연극과인간 31-47, 2001

      19 정봉석, "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제" 연극과 인간 91-108, 2001

      20 석지혜, "TIE 참여교사의 사회과 가치교육에 관한 인식 및 학생들의 가치 변화에 대한 연구 : 극단 에듀라마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1 미선 경, "Primary School Teachers' Thoughts and Strategies for Remote Learning in COVID-19 Situation"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37 (37): 221-243, 2021

      22 Young-Beom Oh,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Distance Instruction through Distance Instruction Case Analysis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lementary Education 34 (34): 109-139, 2021

      23 Jemal, A., "Pandemic lessons" 7 (7): 28-42, 2020

      24 김주연, "3D MUVE(다중참여자형가상공간)를 활용한 연극교육: 제페토(Zepeto)를 활용한 과정드라마" 한국교육연극학회 12 (12): 23-42,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