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북한 역사소설 연구 = (A)study on the historical novels of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0244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ve proceeded on distinctive ways in the structure of a society and ideology. Their different society systems have caused each of them to create their own unique literature history. These days, South Korea's interest in North Korea has been increasing and the studies of North Korea literature are making a steady progress. However, most of the studies have dealt mainly with the literature history, particular literary works, certain writers, specific periods, and theory of literary art, which makes the literary differe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greater.
      This thesis focuses on the historical novels of North Korea. What is called the historical novel is the documentation of a people's life and constitutes the past events, popular morals, and various people's lives, and views of the world, with a speculative and artistic method. This thesis intends to propose the possibility to recover national homogeneity whic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an share in literature.
      Since the Liberation, the literary world of North Korea has proceeded to the transformation of 1930' social realism. North Korea's historical novel has created standardization of a type of historical truth and dealt with human and society on the whole in the points of party, class, and people. The novel has consistently maintained the trend of pursuit of realism and nationalism.
      The establishment of a sole idea system in 1967 caused the creation method of the historical novel in North Korea to be divided into the previous social realism and the subsequent transformed social realism. The Social realism is a revolutionary and militant creation method that reflects the working classes' requests. The social realism prior to 1967 in North Korea was based on the dialectical material view of the world from Marx's and Lenin's ideas. In the North Korea's historical novel based on such creation metho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classes' ideas, feelings, and social conditions plays a significant role.
      The North Korea's historical novel after 1967 shows the nature of the social realism and sovereign realism which the North Korea claims as its own social realism. The sovereign realism places a great emphasis on the fact that the pressed and exploited class is the primary character in history. Since a type of an autonomous human is requested in the society, that of an independent communist is emphasized in this period's historical novel. The previous emphasis on party, people and class is transformed into the stress on unity of chief, party, and public. The national form of literature and art is emphasized and the form technique, which meets North Korean's esthetic sense and demand, is also stressed. The historical novel uses modern Chosun culture language and stresses that its vocabulary and manner of speech agree with the actual language usage of the contemporary period.
      The significant historical periods in North Korea literature are that of nation formation based on anti-imperialism and anti-feudalism, that of the armed antiJapan struggle in 1930s, that of the democratic reform after the liberation, and that of nation liberation war, the Korean War. Based on such historical background, this thesis intends to deal with the subjects of North Korea historical novel by discovering a typical type of communism and discord factors. This thesis focuses on "A great Buddhist priest Susan", "Duman River", "The large river flows through it" and "The birth of the new times" which are the historical novels and belong to the social realism. This thesis also focuses on "The peasants' war of the 31st binary term of the sexagenary cycle" and "A northeast wind". They are the historical novels based on the social realism in the sovereign literature period.
      In "A great Buddhist priest Susan", Pyeongyang centered-patriotism is represented and the justification of North Korea's foundation is proposed. Susan and the other heretical characters appear. Susan is described as the character who exert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ople. In the novel, people's patriotism and courage is represented through Botongbeol harvest, Botongbeol battle, and Pyeongyang castle battle, which occurred in Pyeongyang in those days. While this novel depicts the stories of real people and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t shows the author's idea superfluously rather than being faithful to the historical records.
      "Duman River" intends to criticize the problems in the colony capitalism period and represent the intrinsic nature of the national life. Its subject is on the anti-imperialism and anti-feudalism struggle of people who made an effort to resolve society discrepancy conflicts based on people- and class-consciousness. The affluent and vivid word presentation is made a good use of to describe the historical concreteness and the life process on the whole. It represents the national emotion with the abundant vocabulary and the local, traditional, and national subjects. Such usage of vocabulary makes it possible to include both the awareness of reality and the artistic nature to acquire esthetic structure. The conclusion part predicts the hero's appearance in national liberation narration and demonstrates the teleology to sanctify antiJapan struggle. The optimistic utopia pursuit is coincident with the subjective intent to obtain the actual lesson from history and leads to the distortion of the historical facts.
      "The large river flows through it" and "The birth of the new times" were written in the time when the social construction was emphasized in North Korea literature history and the discussion on "revolution literature" and "masterpiece long novel creation" progressed vigorously. These novels belong to the revolutionary masterpieces written after Kim Il Sung's instruction, "Write more revolutionary masterpieces", was made.
      "The large river flows through it"describes the land reform, which occurred in Nor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It deals with the class strife and democracy reform representing properly the problems on religion, landlord and sect through various classes' conflicts and the detailed life description. This novel seeks for the meaning of land reform in the feudal extraction settlement, capitalistic exploitation elimination, redistribution of production means, and subject establishment for a new demand class. It describes records on historical facts.
      "The birth of the new times"describes the Korean National War dealing with the revolutionary subject, the fatherland liberation war history. In this novel, it is emphasized that The Korean War didn't start in 1950s but originate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at it was planed as America was ambitious with imperialism in Chosun. In North Korea's literary world, this novel is appreciated not only as the praise for North Korean's heroic nature but also as the confirmation on the historical achievement that they defeated the Imperialistic American invader and opened new time. In the novel, a revolutionist is described as a type of an intellectual with revolutionary optimism and popular heroism is represented. On the whole, it shows the history of the fatherland's liberation war.
      "The peasants' war of the 31st binary term of the sexagenary cycle" and "A northeast wind" exhibit the sovereign realism, the transformed social realism creat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ole idea system. They demonstrate both the social realism and sovereign realism. They realize the process of characters' change into communists with Chosun people superiority.
      "The peasants' war of the 31st binary term of the sexagenary cycle" is an ideology-oriented novel and demonstrates the aesthetic features. It illustrates the basic type of a communist stressed through its characters in the sovereign times. It represents North Korean's aspiration for the material civilization, sense of alienation, and distorted desire in its distorted modernization process. The form of the novel assists to develop and highlight the subject beyond playing a supplementary role in the novel.
      In "A northeast wind", the writer exerts his historical imagination and inspires the anonymous people's spirit with life. Especially sex discussion and language form i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historical novels. It has a command of local and plain vocabulary. It describes people vividly and acquires the truthful and artistic attribute. In the first half of the novel, the intimate presentation of conflict, strained incidents' flow, and psychological description through beauty of nature representation and native language create the aesthetics of novel. However it becomes loose and vague in the latter half. Compared to other historical novels in North Korea, sex discussion is bold but used to display Chosun people superiority. While Japan's sex customs is represented uncivilized and abnormal, Chosun's sex customs is described refined and mature. Occasionally author's narration is enlightening and instructive, which decreases the reader's interest in the novel.
      From the above studies it proves that North Korea's historical novel doesn't simply imitate its own history. In the novel, its history becomes the subject and fictitiously transformed. The transformation is based on the present view and plays significant roles in the historical novel. The national form and feature are also stressed in the way the social factors are applied in the novel on its own initiative. The historical novel is written based on the historical principle. The artistic formation unites with the pursuit of national feature revelation and the ideological formation realizes through the authoritative discussion and creation method. Since 1990s, the historical novel has demonstrated a new trend to b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phasis on the sovereign realism. The historical novel succeeds to its tradition of the people history centered realism. It occupies a part of Korea literature history with new meaning and is essential to understand South and North Korea literature with integration. This thesis intends to depart from the previous general studies of North Korea literature and focus on the category of the historical novel. Through the studies on the features of North Korea literature, this thesis anticipates to assist people to appreciate the significance of the united literature history in South and North Korea.
      번역하기

      Since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ve proceeded on distinctive ways in the structure of a society and ideology. Their different society systems have caused each of them to create their own unique literature history. Thes...

      Since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ve proceeded on distinctive ways in the structure of a society and ideology. Their different society systems have caused each of them to create their own unique literature history. These days, South Korea's interest in North Korea has been increasing and the studies of North Korea literature are making a steady progress. However, most of the studies have dealt mainly with the literature history, particular literary works, certain writers, specific periods, and theory of literary art, which makes the literary differe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greater.
      This thesis focuses on the historical novels of North Korea. What is called the historical novel is the documentation of a people's life and constitutes the past events, popular morals, and various people's lives, and views of the world, with a speculative and artistic method. This thesis intends to propose the possibility to recover national homogeneity whic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an share in literature.
      Since the Liberation, the literary world of North Korea has proceeded to the transformation of 1930' social realism. North Korea's historical novel has created standardization of a type of historical truth and dealt with human and society on the whole in the points of party, class, and people. The novel has consistently maintained the trend of pursuit of realism and nationalism.
      The establishment of a sole idea system in 1967 caused the creation method of the historical novel in North Korea to be divided into the previous social realism and the subsequent transformed social realism. The Social realism is a revolutionary and militant creation method that reflects the working classes' requests. The social realism prior to 1967 in North Korea was based on the dialectical material view of the world from Marx's and Lenin's ideas. In the North Korea's historical novel based on such creation metho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classes' ideas, feelings, and social conditions plays a significant role.
      The North Korea's historical novel after 1967 shows the nature of the social realism and sovereign realism which the North Korea claims as its own social realism. The sovereign realism places a great emphasis on the fact that the pressed and exploited class is the primary character in history. Since a type of an autonomous human is requested in the society, that of an independent communist is emphasized in this period's historical novel. The previous emphasis on party, people and class is transformed into the stress on unity of chief, party, and public. The national form of literature and art is emphasized and the form technique, which meets North Korean's esthetic sense and demand, is also stressed. The historical novel uses modern Chosun culture language and stresses that its vocabulary and manner of speech agree with the actual language usage of the contemporary period.
      The significant historical periods in North Korea literature are that of nation formation based on anti-imperialism and anti-feudalism, that of the armed antiJapan struggle in 1930s, that of the democratic reform after the liberation, and that of nation liberation war, the Korean War. Based on such historical background, this thesis intends to deal with the subjects of North Korea historical novel by discovering a typical type of communism and discord factors. This thesis focuses on "A great Buddhist priest Susan", "Duman River", "The large river flows through it" and "The birth of the new times" which are the historical novels and belong to the social realism. This thesis also focuses on "The peasants' war of the 31st binary term of the sexagenary cycle" and "A northeast wind". They are the historical novels based on the social realism in the sovereign literature period.
      In "A great Buddhist priest Susan", Pyeongyang centered-patriotism is represented and the justification of North Korea's foundation is proposed. Susan and the other heretical characters appear. Susan is described as the character who exert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ople. In the novel, people's patriotism and courage is represented through Botongbeol harvest, Botongbeol battle, and Pyeongyang castle battle, which occurred in Pyeongyang in those days. While this novel depicts the stories of real people and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t shows the author's idea superfluously rather than being faithful to the historical records.
      "Duman River" intends to criticize the problems in the colony capitalism period and represent the intrinsic nature of the national life. Its subject is on the anti-imperialism and anti-feudalism struggle of people who made an effort to resolve society discrepancy conflicts based on people- and class-consciousness. The affluent and vivid word presentation is made a good use of to describe the historical concreteness and the life process on the whole. It represents the national emotion with the abundant vocabulary and the local, traditional, and national subjects. Such usage of vocabulary makes it possible to include both the awareness of reality and the artistic nature to acquire esthetic structure. The conclusion part predicts the hero's appearance in national liberation narration and demonstrates the teleology to sanctify antiJapan struggle. The optimistic utopia pursuit is coincident with the subjective intent to obtain the actual lesson from history and leads to the distortion of the historical facts.
      "The large river flows through it" and "The birth of the new times" were written in the time when the social construction was emphasized in North Korea literature history and the discussion on "revolution literature" and "masterpiece long novel creation" progressed vigorously. These novels belong to the revolutionary masterpieces written after Kim Il Sung's instruction, "Write more revolutionary masterpieces", was made.
      "The large river flows through it"describes the land reform, which occurred in Nor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It deals with the class strife and democracy reform representing properly the problems on religion, landlord and sect through various classes' conflicts and the detailed life description. This novel seeks for the meaning of land reform in the feudal extraction settlement, capitalistic exploitation elimination, redistribution of production means, and subject establishment for a new demand class. It describes records on historical facts.
      "The birth of the new times"describes the Korean National War dealing with the revolutionary subject, the fatherland liberation war history. In this novel, it is emphasized that The Korean War didn't start in 1950s but originate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at it was planed as America was ambitious with imperialism in Chosun. In North Korea's literary world, this novel is appreciated not only as the praise for North Korean's heroic nature but also as the confirmation on the historical achievement that they defeated the Imperialistic American invader and opened new time. In the novel, a revolutionist is described as a type of an intellectual with revolutionary optimism and popular heroism is represented. On the whole, it shows the history of the fatherland's liberation war.
      "The peasants' war of the 31st binary term of the sexagenary cycle" and "A northeast wind" exhibit the sovereign realism, the transformed social realism creat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ole idea system. They demonstrate both the social realism and sovereign realism. They realize the process of characters' change into communists with Chosun people superiority.
      "The peasants' war of the 31st binary term of the sexagenary cycle" is an ideology-oriented novel and demonstrates the aesthetic features. It illustrates the basic type of a communist stressed through its characters in the sovereign times. It represents North Korean's aspiration for the material civilization, sense of alienation, and distorted desire in its distorted modernization process. The form of the novel assists to develop and highlight the subject beyond playing a supplementary role in the novel.
      In "A northeast wind", the writer exerts his historical imagination and inspires the anonymous people's spirit with life. Especially sex discussion and language form i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historical novels. It has a command of local and plain vocabulary. It describes people vividly and acquires the truthful and artistic attribute. In the first half of the novel, the intimate presentation of conflict, strained incidents' flow, and psychological description through beauty of nature representation and native language create the aesthetics of novel. However it becomes loose and vague in the latter half. Compared to other historical novels in North Korea, sex discussion is bold but used to display Chosun people superiority. While Japan's sex customs is represented uncivilized and abnormal, Chosun's sex customs is described refined and mature. Occasionally author's narration is enlightening and instructive, which decreases the reader's interest in the novel.
      From the above studies it proves that North Korea's historical novel doesn't simply imitate its own history. In the novel, its history becomes the subject and fictitiously transformed. The transformation is based on the present view and plays significant roles in the historical novel. The national form and feature are also stressed in the way the social factors are applied in the novel on its own initiative. The historical novel is written based on the historical principle. The artistic formation unites with the pursuit of national feature revelation and the ideological formation realizes through the authoritative discussion and creation method. Since 1990s, the historical novel has demonstrated a new trend to b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phasis on the sovereign realism. The historical novel succeeds to its tradition of the people history centered realism. It occupies a part of Korea literature history with new meaning and is essential to understand South and North Korea literature with integration. This thesis intends to depart from the previous general studies of North Korea literature and focus on the category of the historical novel. Through the studies on the features of North Korea literature, this thesis anticipates to assist people to appreciate the significance of the united literature history in South and North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해방 이후부터 체제와 이념을 달리한 남한과 북한은 문학사에 있어서도 다른 길을 걸어왔다. 최근에 와서 남한에서의 북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북한 문학에 대한 연구와 이해도 상당히 진척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북한 문학 연구는 문학사나 개별 작품과 작가 연구, 특정 시대나 문예 이론에 대한 것으로 남한과의 차이를 더 부각시킨 측면이 있다. 본고는 북한의 역사소설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한다. 역사소설이란 한 민족의 삶에 대한 기록이자 과거 시대의 사건과 풍속, 다양한 인간들의 생활과 세계관 등을 미학적이고 사변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남한과 북한이 한민족으로서의 동질성을 회복할 수 있으리라는 가능성을 제기한다.
      북한 문단은 해방 이후 1930년대에 우리나라에 수용된 사회주의 사실주의를 다소 변형하면서 이를 지향하고 있다. 북한 역사소설의 경우 역사적 진실성을 전형화하여 인간과 사회 관계의 총체성을 당성 · 계급성 · 인민성의 견지에서 형상화하고 있다. 북한 역사소설에는 사실주의와 민족주의 추구의 경향이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다. 사실주의 경향은 사회주의 사실주의와 북한식 사회주의 사실주의의 변형인 주체 사실주의 창작방법으로 이어지고 민족주의 경향은 민족 고유의 특성을 절대 기준으로 삼아 문학 내용뿐 아니라 형식에서도 이를 발현하고자 하는 의지에서 살펴볼 수 있다. 북한 역사소설의 창작방법은 사회주의적 애국주의에 관한 역사소설과 혁명적 대작에 관한 역사소설, 주체 사실주의에 관한 역사소설로 변모된다. 북한 역사소설은 기본적으로 사회주의 사실주의 창작방법을 지향하는데 사회주의 사실주의는 노동계급의 혁명 투쟁 요구를 반영한 혁명적이고 전투적인 창작방법이다. 북한에서 1967년 이전에 지향했던 사회주의 사실주의는 마르크스 레닌주의에 기초한 유물변증법적 세계관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창작방법을 기초로 하는 북한 역사소설의 경우 역사적 시기의 계급과 계층들의 사상 · 감정 · 세태풍습의 디테일한 묘사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1967년 이후 북한 역사소설에는 사회주의 사실주의의 성격과 북한이 주장하는 우리식 사회주의 사실주의의 형태인 주체 사실주의의 경향이 혼재되어 나타나 있다. 북한이 주장하고 있는 ‘우리식 사회주의 사실주의’는 억압 받고 착취 받던 인민대중이 역사의 주인임을 강조하고 있다. 사람 중심의 세계관이 주체의 세계관으로 변형되는데 이 시기 역사소설에는 자주적 인간의 전형이 강조되어 주체형의 공산주의자의 전형이 요구된다. 또한 이전의 당성 · 인민성 · 계급성 중심이 수령 · 당 · 대중의 통일체 중심으로 변모된다. 또한 문학 예술의 민족적 형식이 강조되어 자기 민족의 미감과 요구에 맞고 자기 민족이 좋아하는 형상수단과 방법으로써의 형상 기교도 강조된다. 1970년대 이후부터 주체주의 사실주의의 사상 이론적 기초가 마련되는데 항일혁명투쟁 시기를 강조하고 북한이 주장하는 불후의 고전적 명작인 <불멸의 역사>와 <불멸의 향도> 총서 등이 등장하기에 이른다. 이 시기에는 사회 정치적 생명체가 문학의 형상 원칙이 될 것을 강조하고 어버이로서의 수령 창조를 주요 문학의 과제로 삼았다. 또 한편으로는 대중적 영웅주의인 숨은 영웅 형상을 창조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 시기 작품의 종자에 대한 올바른 이해도 요구되는데 종자는 작품의 핵으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기본 문제, 형상의 요소를 뿌리 내릴 바탕이 있는 생활의 사상적 알맹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 역사소설에서는 종자로써의 주제 · 작가의 역할 · 시대 배경 · 공산주의 인간형 등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또한 역사물에서도 현대의 조선 문화어를 쓰면서 해당 역사적 시기의 어휘와 어투를 시대적 표상에 맞게 사용할 것을 강조한다.
      북한 역사소설에 형상화된 주요 역사 시기는 ‘반제 · 반봉건 민족 형성기’,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 기’, ‘해방 후 민주개혁 시기’, ‘한국 전쟁 시기’이다. 이러한 역사를 배경으로 하면서 공산주의 전형을 창조하고 갈등의 요소를 통해 작품의 주제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북한 역사소설의 실체와 변모를 창작방법 · 특징 · 시기 별로 나누어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주의적 애국주의에 관한 역사소설로는 『서산대사』, 『두만강』을, 혁명적 대작에 관한 역사소설로는 『대하는 흐른다』, 『시대의 탄생』을, 주체 사실주의에 관한 역사소설로는 『갑오농민전쟁』과 『높새바람』, 『황진이』를 선정한다. <불멸의 역사>와 <불멸의 향도> 총서는 북한에서 역사소설로 규정하고 있지만 북한식의 독특한 경향이 강하고 본고의 연구대상과는 변별점이 있다고 생각되어 논의의 대상으로 삼지 않는다.
      사회적 애국주의에 관한 역사소설에 해당하는 『서산대사』와 『두만강』은 해방 후 혼란과 한국 전쟁을 겪은 북한에서 민족적 정체성을 확고히 하면서 사회주의를 통해 개혁과 발전을 모색하는 시기에 나온 작품들이다.
      『서산대사』에는 평양 중심의 애국주의 사상이 나타나 북한의 건국에 대한 정당성을 제기하고 서산대사 외에 영웅적 민중들이 등장한다. 서산대사는 민중들에 감화되는 인물로 그려지며 당시 평양에서 벌어진 보통벌 추수 · 보통벌 전투 · 평양성 전투를 통해 민중들의 애국심과 용기가 나타난다. 1592년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사건과 실제 인물들을 등장시킨 이 작품은 역사적 기록에 충실하기보다 작가의 의식이 과잉되어 나타난다. 작가의 직접 설명이나 개입과 인물들에 대한 중복된 이미지 표현으로 권위적 담론이 된다. 긍정적 인물과 부정적 인물의 천편일률적인 형상화와 추상적이고 우연적인 사건의 남발은 서사의 재미를 반감시킨다. 작가의 평양에 대한 묘사는 이 작품의 고유한 미적 특질에 해당하나 평양과 민중을 지나치게 부각한 측면은 이 작품이 북한의 당 정책에 부합되는 소설로 인식하게 만든다.
      『두만강』은 식민지 자본주의 시대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민족 삶의 본질을 반영하고자 하는데, 민중성과 계급성을 바탕으로 하여 사회 모순 갈등을 해결하려고 하는 민중들의 반제 · 반봉건 투쟁 전개를 작품의 주제로 형상한다. 풍부하고 생생한 언어 표현은 역사적 구체성과 생활 과정의 총체성을 반영하는 데 잘 활용되고 있으며, 토속적 · 전통적 · 민족적 소재와 풍부한 어휘 구사로 민족 정서를 담고 있다. 이러한 언어 운용은 현실 인식과 미적 구조 획득이라는 예술성을 겸비한다. 이 작품에 나타난 인물은 긍정적 인물과 부정적 인물로 대비되는데, 특히 개인과 사회라는 대결의 구도를 거쳐 성장하고 각성하는 인물로 혁명가형 인물이 강조된다. 반제 · 반봉건의 혁명가형 인물은 사회주의 체제가 요구하는 이상화된 인물이다. 이 작품에도 권위적인 작가의 주관적 개입으로 의론이나 연설, 토론 방식 등이 나타난다. 또한 민족 해방 서사에서 영웅의 출현을 예시하는 결론 부분은 항일무장투쟁을 신성화하고자 하는 목적론을 나타낸다. 낙관적 유토피아 지향은 작품 전달 방식을 화자 시점 서술과 단성적 어조로 흐르게 하며 한편으로는 역사로부터 현실의 교훈을 끌어들이려 하는 주관적 의도에 부합되어 역사 사실을 왜곡한다는 측면도 지니고 있다.
      『대하는 흐른다』는 해방 후 북한에서 일어난 민주개혁의 일환인 토지개혁을 다루고 있다. 당시 시대 과제인 계급투쟁과 민주개혁을 다루면서 종교·지주·종파에 관한 문제를 다양한 계층의 갈등과 생활의 디테일한 묘사를 통해 잘 그려내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토지개혁의 의미를 봉건적 착취 형태 해소와 자본주의적 수탈 형태 제거, 생산수단의 재분배, 새로운 수요 계층의 주체 설정의 문제로 파악하여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록성을 창작으로 실천하고 있다.
      혁명적 대작에 관한 역사소설에 해당하는 『대하는 흐른다』와 『시대의 탄생』은 북한 문학사에서 ‘혁명문예론’과 ‘대작 장편 창작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던 시기에 창작되었다.
      『시대의 탄생』은 6·25 전쟁 시기 조국 수호 서사를 혁명적 주제로 다루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6·25 전쟁이 1950년대에 시작된 것이 아니라 이미 일제 식민지 시대에 미국이 제국주의 야욕을 품으면서 이미 오래 전부터 계획된 전쟁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 작품은 북한 문단에서는 단순히 조선 인민의 영웅성에 대한 찬가뿐 아니라 인민들이 미제 침략자를 물리쳐 새 시대를 탄생시킨 역사적 위훈에 대한 확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작품에는 혁명적 낙관주의와 대중적 영웅주의로서의 지식인 형의 혁명가 투사의 모습이 나타난다. 또한 적대적 갈등의 구성 형태, 다구성의 기법이 나타난다. 다양한 인물의 성격 발전과 운명이 장과 절에 따라 묘사되고 이야기들이 빈번하게 교체된다.
      주체 사실주의에 관한 역사소설인 『갑오농민전쟁』과 『높새바람』, 『황진이』는 주체 사상 확립 후 창작된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에는 민족 자주 정신과 공산주의 인간학이 실현되어 있다.
      『갑오농민전쟁』은 주체 시대에 강조하고 있는 새 인간의 윤리학이 나오고 조선의 왜곡된 근대화 과정을 통해 조선인의 물질문명에 대한 동경과 소외, 왜곡된 욕망을 살펴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점으로 전근대적 가치관으로의 회귀가 나타난다. 작품의 형식적 측면에서는 이야기의 분할 구성과 비서술 층위의 장식성이 나타나는데 이는 작품 주제 형성에 있어 보조적 역할에만 머물지 않고 주제를 더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높새바람』은 작가가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이름 없는 민중들의 넋에 생명을 부여하고 있다. 특히 성 담론과 언어 형상에 있어 이전의 다른 역사소설과 변별되는 점을 지니고 있다. 토속적이고 질박한 어휘를 구사하고 민중들에 대한 생생한 표현을 하여 역사소설의 진실성과 예술성을 획득하고 있다. 작품 전반부에서 보여주는 갈등 제시의 긴밀성과 사건 흐름의 긴박성, 자연형상과 고유어의 묘미를 통한 심리 묘사 등의 소설 미학은 후반부로 갈수록 느슨해지고 산만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성 담론은 다른 북한 소설에 비해 과감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일본의 성 풍속은 야만적이고 변태적인 것으로 그리고 조선의 성 풍속은 고상하고 대의를 위한 일부분으로 그려져 이분법적인 도식성을 보인다. 이러한 성 담론은 조선민족제일주의를 나타내기 위한 또 다른 일환으로 해석된다. 속담과 성구, 관용어구들의 사용은 역사적 배경의 생활 세태와 풍습을 반영하는 것에 의의를 부여할 수 있으나 과도한 사용으로 그 의미가 퇴색되기도 한다. 간혹 작가의 해설이 곁들여지는 부분은 계몽적이고 교훈적인 소설 의도로 읽혀져 소설의 재미를 반감시킨다.
      『황진이』는 남한과 북한에서 동시에 그 성과를 인정한 작품으로 성애와 사랑을 중심 서사로 하여 조선시대 지배계급의 모순과 부조리를 그리고 있다. 작가는 뛰어난 상상력과 창조력으로 역사 속의 인물인 황진이를 시대와 계급과 성을 뛰어넘는 인물로 묘사하고 있다. 역사적 사실과 허구의 조화 · 속담 · 한 · 시 · 판소리 문체 등을 사용하여 조선민족제일주의를 표현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북한 역사소설이 역사에 대한 단순한 모방이 아닌 구성의 대상이 되어 현재의 관점에 입각하여 허구적 변용이 강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북한의 역사소설에는 사회주의적 요소가 주체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으로 민족적 형식과 민족적 특성이 강조됨을 알 수 있다. 역사주의적 원칙에 입각하여 북한 역사소설이 창작되며 예술적 형상화는 민족적 특성 발현이라는 명목과 결합되고 이념적 형상화는 권위적 담론이나 창작방법을 통해 구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1990년대 이후에는 새로운 경향의 역사소설이 창작되고 있어 북한 문학에도 다양성에 대한 가능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북한 역사소설은 민중사 중심의 사실주의적 역사소설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으며 남북한 문학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의미의 문학사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이전의 북한 문학에 대한 개괄적 연구에서 벗어나 역사소설이라는 장르에 집중하여 북한 문학의 특징을 살펴보고 있다는 점과 통일문학사의 디딤돌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갖고자 하였으나 북한 역사소설 분류의 세분화와 개별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미비하다. 이러한 문제점과 남북한 역사소설의 비교 연구와 남북한 문학의 통일된 민족문학사 서술 방법은 차후의 과제로 남긴다.
      번역하기

      해방 이후부터 체제와 이념을 달리한 남한과 북한은 문학사에 있어서도 다른 길을 걸어왔다. 최근에 와서 남한에서의 북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북한 문학에 대한 연구와 이해도 상당히 ...

      해방 이후부터 체제와 이념을 달리한 남한과 북한은 문학사에 있어서도 다른 길을 걸어왔다. 최근에 와서 남한에서의 북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북한 문학에 대한 연구와 이해도 상당히 진척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북한 문학 연구는 문학사나 개별 작품과 작가 연구, 특정 시대나 문예 이론에 대한 것으로 남한과의 차이를 더 부각시킨 측면이 있다. 본고는 북한의 역사소설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한다. 역사소설이란 한 민족의 삶에 대한 기록이자 과거 시대의 사건과 풍속, 다양한 인간들의 생활과 세계관 등을 미학적이고 사변적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남한과 북한이 한민족으로서의 동질성을 회복할 수 있으리라는 가능성을 제기한다.
      북한 문단은 해방 이후 1930년대에 우리나라에 수용된 사회주의 사실주의를 다소 변형하면서 이를 지향하고 있다. 북한 역사소설의 경우 역사적 진실성을 전형화하여 인간과 사회 관계의 총체성을 당성 · 계급성 · 인민성의 견지에서 형상화하고 있다. 북한 역사소설에는 사실주의와 민족주의 추구의 경향이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다. 사실주의 경향은 사회주의 사실주의와 북한식 사회주의 사실주의의 변형인 주체 사실주의 창작방법으로 이어지고 민족주의 경향은 민족 고유의 특성을 절대 기준으로 삼아 문학 내용뿐 아니라 형식에서도 이를 발현하고자 하는 의지에서 살펴볼 수 있다. 북한 역사소설의 창작방법은 사회주의적 애국주의에 관한 역사소설과 혁명적 대작에 관한 역사소설, 주체 사실주의에 관한 역사소설로 변모된다. 북한 역사소설은 기본적으로 사회주의 사실주의 창작방법을 지향하는데 사회주의 사실주의는 노동계급의 혁명 투쟁 요구를 반영한 혁명적이고 전투적인 창작방법이다. 북한에서 1967년 이전에 지향했던 사회주의 사실주의는 마르크스 레닌주의에 기초한 유물변증법적 세계관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창작방법을 기초로 하는 북한 역사소설의 경우 역사적 시기의 계급과 계층들의 사상 · 감정 · 세태풍습의 디테일한 묘사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1967년 이후 북한 역사소설에는 사회주의 사실주의의 성격과 북한이 주장하는 우리식 사회주의 사실주의의 형태인 주체 사실주의의 경향이 혼재되어 나타나 있다. 북한이 주장하고 있는 ‘우리식 사회주의 사실주의’는 억압 받고 착취 받던 인민대중이 역사의 주인임을 강조하고 있다. 사람 중심의 세계관이 주체의 세계관으로 변형되는데 이 시기 역사소설에는 자주적 인간의 전형이 강조되어 주체형의 공산주의자의 전형이 요구된다. 또한 이전의 당성 · 인민성 · 계급성 중심이 수령 · 당 · 대중의 통일체 중심으로 변모된다. 또한 문학 예술의 민족적 형식이 강조되어 자기 민족의 미감과 요구에 맞고 자기 민족이 좋아하는 형상수단과 방법으로써의 형상 기교도 강조된다. 1970년대 이후부터 주체주의 사실주의의 사상 이론적 기초가 마련되는데 항일혁명투쟁 시기를 강조하고 북한이 주장하는 불후의 고전적 명작인 <불멸의 역사>와 <불멸의 향도> 총서 등이 등장하기에 이른다. 이 시기에는 사회 정치적 생명체가 문학의 형상 원칙이 될 것을 강조하고 어버이로서의 수령 창조를 주요 문학의 과제로 삼았다. 또 한편으로는 대중적 영웅주의인 숨은 영웅 형상을 창조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 시기 작품의 종자에 대한 올바른 이해도 요구되는데 종자는 작품의 핵으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기본 문제, 형상의 요소를 뿌리 내릴 바탕이 있는 생활의 사상적 알맹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 역사소설에서는 종자로써의 주제 · 작가의 역할 · 시대 배경 · 공산주의 인간형 등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또한 역사물에서도 현대의 조선 문화어를 쓰면서 해당 역사적 시기의 어휘와 어투를 시대적 표상에 맞게 사용할 것을 강조한다.
      북한 역사소설에 형상화된 주요 역사 시기는 ‘반제 · 반봉건 민족 형성기’, ‘1930년대 항일무장투쟁 기’, ‘해방 후 민주개혁 시기’, ‘한국 전쟁 시기’이다. 이러한 역사를 배경으로 하면서 공산주의 전형을 창조하고 갈등의 요소를 통해 작품의 주제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북한 역사소설의 실체와 변모를 창작방법 · 특징 · 시기 별로 나누어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주의적 애국주의에 관한 역사소설로는 『서산대사』, 『두만강』을, 혁명적 대작에 관한 역사소설로는 『대하는 흐른다』, 『시대의 탄생』을, 주체 사실주의에 관한 역사소설로는 『갑오농민전쟁』과 『높새바람』, 『황진이』를 선정한다. <불멸의 역사>와 <불멸의 향도> 총서는 북한에서 역사소설로 규정하고 있지만 북한식의 독특한 경향이 강하고 본고의 연구대상과는 변별점이 있다고 생각되어 논의의 대상으로 삼지 않는다.
      사회적 애국주의에 관한 역사소설에 해당하는 『서산대사』와 『두만강』은 해방 후 혼란과 한국 전쟁을 겪은 북한에서 민족적 정체성을 확고히 하면서 사회주의를 통해 개혁과 발전을 모색하는 시기에 나온 작품들이다.
      『서산대사』에는 평양 중심의 애국주의 사상이 나타나 북한의 건국에 대한 정당성을 제기하고 서산대사 외에 영웅적 민중들이 등장한다. 서산대사는 민중들에 감화되는 인물로 그려지며 당시 평양에서 벌어진 보통벌 추수 · 보통벌 전투 · 평양성 전투를 통해 민중들의 애국심과 용기가 나타난다. 1592년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사건과 실제 인물들을 등장시킨 이 작품은 역사적 기록에 충실하기보다 작가의 의식이 과잉되어 나타난다. 작가의 직접 설명이나 개입과 인물들에 대한 중복된 이미지 표현으로 권위적 담론이 된다. 긍정적 인물과 부정적 인물의 천편일률적인 형상화와 추상적이고 우연적인 사건의 남발은 서사의 재미를 반감시킨다. 작가의 평양에 대한 묘사는 이 작품의 고유한 미적 특질에 해당하나 평양과 민중을 지나치게 부각한 측면은 이 작품이 북한의 당 정책에 부합되는 소설로 인식하게 만든다.
      『두만강』은 식민지 자본주의 시대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민족 삶의 본질을 반영하고자 하는데, 민중성과 계급성을 바탕으로 하여 사회 모순 갈등을 해결하려고 하는 민중들의 반제 · 반봉건 투쟁 전개를 작품의 주제로 형상한다. 풍부하고 생생한 언어 표현은 역사적 구체성과 생활 과정의 총체성을 반영하는 데 잘 활용되고 있으며, 토속적 · 전통적 · 민족적 소재와 풍부한 어휘 구사로 민족 정서를 담고 있다. 이러한 언어 운용은 현실 인식과 미적 구조 획득이라는 예술성을 겸비한다. 이 작품에 나타난 인물은 긍정적 인물과 부정적 인물로 대비되는데, 특히 개인과 사회라는 대결의 구도를 거쳐 성장하고 각성하는 인물로 혁명가형 인물이 강조된다. 반제 · 반봉건의 혁명가형 인물은 사회주의 체제가 요구하는 이상화된 인물이다. 이 작품에도 권위적인 작가의 주관적 개입으로 의론이나 연설, 토론 방식 등이 나타난다. 또한 민족 해방 서사에서 영웅의 출현을 예시하는 결론 부분은 항일무장투쟁을 신성화하고자 하는 목적론을 나타낸다. 낙관적 유토피아 지향은 작품 전달 방식을 화자 시점 서술과 단성적 어조로 흐르게 하며 한편으로는 역사로부터 현실의 교훈을 끌어들이려 하는 주관적 의도에 부합되어 역사 사실을 왜곡한다는 측면도 지니고 있다.
      『대하는 흐른다』는 해방 후 북한에서 일어난 민주개혁의 일환인 토지개혁을 다루고 있다. 당시 시대 과제인 계급투쟁과 민주개혁을 다루면서 종교·지주·종파에 관한 문제를 다양한 계층의 갈등과 생활의 디테일한 묘사를 통해 잘 그려내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토지개혁의 의미를 봉건적 착취 형태 해소와 자본주의적 수탈 형태 제거, 생산수단의 재분배, 새로운 수요 계층의 주체 설정의 문제로 파악하여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록성을 창작으로 실천하고 있다.
      혁명적 대작에 관한 역사소설에 해당하는 『대하는 흐른다』와 『시대의 탄생』은 북한 문학사에서 ‘혁명문예론’과 ‘대작 장편 창작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던 시기에 창작되었다.
      『시대의 탄생』은 6·25 전쟁 시기 조국 수호 서사를 혁명적 주제로 다루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6·25 전쟁이 1950년대에 시작된 것이 아니라 이미 일제 식민지 시대에 미국이 제국주의 야욕을 품으면서 이미 오래 전부터 계획된 전쟁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 작품은 북한 문단에서는 단순히 조선 인민의 영웅성에 대한 찬가뿐 아니라 인민들이 미제 침략자를 물리쳐 새 시대를 탄생시킨 역사적 위훈에 대한 확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작품에는 혁명적 낙관주의와 대중적 영웅주의로서의 지식인 형의 혁명가 투사의 모습이 나타난다. 또한 적대적 갈등의 구성 형태, 다구성의 기법이 나타난다. 다양한 인물의 성격 발전과 운명이 장과 절에 따라 묘사되고 이야기들이 빈번하게 교체된다.
      주체 사실주의에 관한 역사소설인 『갑오농민전쟁』과 『높새바람』, 『황진이』는 주체 사상 확립 후 창작된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에는 민족 자주 정신과 공산주의 인간학이 실현되어 있다.
      『갑오농민전쟁』은 주체 시대에 강조하고 있는 새 인간의 윤리학이 나오고 조선의 왜곡된 근대화 과정을 통해 조선인의 물질문명에 대한 동경과 소외, 왜곡된 욕망을 살펴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점으로 전근대적 가치관으로의 회귀가 나타난다. 작품의 형식적 측면에서는 이야기의 분할 구성과 비서술 층위의 장식성이 나타나는데 이는 작품 주제 형성에 있어 보조적 역할에만 머물지 않고 주제를 더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높새바람』은 작가가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이름 없는 민중들의 넋에 생명을 부여하고 있다. 특히 성 담론과 언어 형상에 있어 이전의 다른 역사소설과 변별되는 점을 지니고 있다. 토속적이고 질박한 어휘를 구사하고 민중들에 대한 생생한 표현을 하여 역사소설의 진실성과 예술성을 획득하고 있다. 작품 전반부에서 보여주는 갈등 제시의 긴밀성과 사건 흐름의 긴박성, 자연형상과 고유어의 묘미를 통한 심리 묘사 등의 소설 미학은 후반부로 갈수록 느슨해지고 산만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성 담론은 다른 북한 소설에 비해 과감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일본의 성 풍속은 야만적이고 변태적인 것으로 그리고 조선의 성 풍속은 고상하고 대의를 위한 일부분으로 그려져 이분법적인 도식성을 보인다. 이러한 성 담론은 조선민족제일주의를 나타내기 위한 또 다른 일환으로 해석된다. 속담과 성구, 관용어구들의 사용은 역사적 배경의 생활 세태와 풍습을 반영하는 것에 의의를 부여할 수 있으나 과도한 사용으로 그 의미가 퇴색되기도 한다. 간혹 작가의 해설이 곁들여지는 부분은 계몽적이고 교훈적인 소설 의도로 읽혀져 소설의 재미를 반감시킨다.
      『황진이』는 남한과 북한에서 동시에 그 성과를 인정한 작품으로 성애와 사랑을 중심 서사로 하여 조선시대 지배계급의 모순과 부조리를 그리고 있다. 작가는 뛰어난 상상력과 창조력으로 역사 속의 인물인 황진이를 시대와 계급과 성을 뛰어넘는 인물로 묘사하고 있다. 역사적 사실과 허구의 조화 · 속담 · 한 · 시 · 판소리 문체 등을 사용하여 조선민족제일주의를 표현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북한 역사소설이 역사에 대한 단순한 모방이 아닌 구성의 대상이 되어 현재의 관점에 입각하여 허구적 변용이 강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북한의 역사소설에는 사회주의적 요소가 주체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으로 민족적 형식과 민족적 특성이 강조됨을 알 수 있다. 역사주의적 원칙에 입각하여 북한 역사소설이 창작되며 예술적 형상화는 민족적 특성 발현이라는 명목과 결합되고 이념적 형상화는 권위적 담론이나 창작방법을 통해 구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1990년대 이후에는 새로운 경향의 역사소설이 창작되고 있어 북한 문학에도 다양성에 대한 가능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북한 역사소설은 민중사 중심의 사실주의적 역사소설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으며 남북한 문학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의미의 문학사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이전의 북한 문학에 대한 개괄적 연구에서 벗어나 역사소설이라는 장르에 집중하여 북한 문학의 특징을 살펴보고 있다는 점과 통일문학사의 디딤돌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갖고자 하였으나 북한 역사소설 분류의 세분화와 개별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미비하다. 이러한 문제점과 남북한 역사소설의 비교 연구와 남북한 문학의 통일된 민족문학사 서술 방법은 차후의 과제로 남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례
      • 국문초록
      • 1. 서론 = 1
      • 가.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 1
      • 나. 연구사 검토 및 비판 = 2
      • 차례
      • 국문초록
      • 1. 서론 = 1
      • 가.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 1
      • 나. 연구사 검토 및 비판 = 2
      • 다.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 18
      • 2. 북한 문학사와 북한 역사소설 = 25
      • 3. 북한 역사소설의 실체와 변모 = 44
      • 가. 사회주의적 애국주의에 관한 역사소설 = 44
      • (1) 사회주의적 애국주의에 관한 논의들 = 44
      • (2) 민중의 애국적 헌신성과 영웅주의 발현 - 『서산대사』 = 48
      • (가) 평양중심의 애국주의 = 48
      • (나) 민중 예찬과 스펙터클한 전쟁 묘사 = 51
      • (3) 민족해방 투쟁 서사 - 『두만강』 = 54
      • (가) 노농소설과 항일무장투쟁 소설의 전사 = 54
      • (나) 긍정적 인물 성장의 구체적 묘사 = 58
      • (다) 생활과 전통 묘사를 통한 민족적 특성 구현 = 61
      • (4) 사회주의적 애국주의에 관한 역사소설의 특성 = 66
      • (가) 민족 해방 서사의 항일혁명 문예 기원 = 66
      • (나) 혁명적 사실주의와 혁명적 낭만주의의 결합 = 67
      • (다) 권위적 담론과 단성적 어조 = 69
      • 나. 혁명적 대작에 관한 역사소설 = 75
      • (1) 혁명적 대작에 관한 논의들 = 75
      • (2) 시대와 인간과 개혁에 대한 서사 - 『대하는 흐른다』 = 79
      • (가) 토지 개혁과 계급 각성 과정 반영 = 79
      • (나) 다계층의 주인공과 디테일 묘사 = 81
      • (3) 전쟁 시기 조국 수호 서사 - 『시대의 탄생』 = 85
      • (가) 다구성과 적대적 갈등 전개 = 85
      • (나) 지식인 투사형 주인공 형상 = 89
      • (4) 혁명적 대작에 관한 역사소설의 특성 = 91
      • (가) 서사시적 화폭과 혁명적 주제의 입체성과 집중화 = 91
      • (나) 대중적 영웅주의와 혁명적 낙관주의 = 94
      • 다. 주체 사실주의에 관한 역사소설 = 97
      • (1) 주체 사실주의에 관한 논의들 = 97
      • (2) 농민 전쟁의 서사 - 『갑오농민전쟁』 = 101
      • (가) 근대화의 왜곡 비판과 전근대적 가치관 지향 = 101
      • (나) 새 인간의 윤리학 = 105
      • (다) 이야기 분할 구성과 비서술 층위의 장식성 = 109
      • (3) 민족적 정서와 자주적 인간 형상 - 『높새바람』 = 116
      • (가) 성 정체성을 통한 민족성 구현 = 116
      • (나) 자주적 인간 형상 = 120
      • (다) 조선 문화어 사용과 전환의 구성 기법 = 125
      • (4) 계급과 체제, 성 영역의 해체 - 『황진이』 = 131
      • (가) 무욕과 자유자재의 삶 추구 = 131
      • (나) 자주적 여성상 = 133
      • (5) 주체 사실주의에 관한 역사소설 기본 특성 = 137
      • (가) 자주적 인간의 형상화와 조선민족제일주의 = 137
      • (나) 아나크로니즘 창작원리와 작가의 창발성 = 138
      • 4. 북한 역사소설의 특성 = 144
      • 5. 결론 = 149
      • 참고문헌 = 154
      • Abrtract = 1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