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구 변화에 따른 고등학교 이전재배치에 관한 연구 : 창원시를 중심으로 = study on relocation of high school according to population chan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835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한민국은 산업화를 거치면서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고도의 경제적 성장을 해왔다. 현재 대한민국은 GDP 12위인 경제대국이 되었지만 수출로 경제활동을 하는 대한민국은 세계적인 경제침체에 따른 내수시장의 어려움과 동시에 본격적으로 베이비붐 시대 사람들의 은퇴가 진행됨으로써 경제활동의 인구 감소의 요인으로 대한민국은 경제적 어려움을 받고 있다.
      이에 따른 대한민국의 청년들은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한 삼포세대의 등장과 더불어 N포 세대로 더 많은 것들을 포기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신생아 수 감소가 나타난다. 신생아 수의 감소는 학교시설을 이용하는 학령인구들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학교들이 폐교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생길 것으로 추측이 된다.
      또한 집값의 문제로 구도심에서 주변 신도시들로 인구가 빠져나가고 있다. 이에 따른 구도심에는 학교에 인원은 서서히 줄어들 것이고 신도시에 공급되는 학령인구 증가에 따라 학교가 신설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될 것이다.
      이에 따른 구도심에 있는 학교들은 인원 감소로 훗날 폐교가 되고 주변 신도시에는 학교가 신설이 되는 문제로 국가적 재정 낭비에 따른 사회적인 큰 이슈가 될 거라고 판단이 된다. 또한 폐교가 되는 학교들은 졸업한 선배들의 과거를 없애버리는 것과 같으므로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른 현재 사회 반응 중에 대다수는 학교 신설에 큰 관심을 보이지만 학교 이전이나 재배치에 관해서는 큰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또한 학교 이전 재배치는 기존 학교의 동창회 및 지역주민의 반대가 존재한다.
      이에 이전재배치 대상을 선정할 때 필요한 객관적인 데이터로 고등학교를 선정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이전재배치 학교를 선정을 해볼 때 걸어갈 수 있는 거리에 있는 반경 500m 내에 학교가 3개교 이상인 곳을 데이터로 뽑아서 많은 수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 학교에서 데이터를 뽑으려고 한다. 데이터의 내용은 설립연도, 교실 공사, 공학 구분, 설립, 1인당 교지 면적, 1인당 건물 면적 등을 파악하여 제일 많이 언급이 되는 학교를 대상으로 하되 그 대상이 선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상지를 가지고 사회적 이슈와 같이 지역 사람들과 교육청이 토론을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이전재배치가 필요한 대상의 행정구역을 택할 때는 인구 수를 설정하여 근처 고등학교 교통을 판단해서 필요한 곳을 선정하려고 한다. 더 나아가 학교가 이전재배치 되어 남겨진 유휴공간에 대해서도 그 행정구역의 특징을 파악하여 필요한 시설을 선정하는 법까지 나타낸다.
      번역하기

      대한민국은 산업화를 거치면서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고도의 경제적 성장을 해왔다. 현재 대한민국은 GDP 12위인 경제대국이 되었지만 수출로 경제활동을 하는 대한민국은 세계적인 경제...

      대한민국은 산업화를 거치면서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고도의 경제적 성장을 해왔다. 현재 대한민국은 GDP 12위인 경제대국이 되었지만 수출로 경제활동을 하는 대한민국은 세계적인 경제침체에 따른 내수시장의 어려움과 동시에 본격적으로 베이비붐 시대 사람들의 은퇴가 진행됨으로써 경제활동의 인구 감소의 요인으로 대한민국은 경제적 어려움을 받고 있다.
      이에 따른 대한민국의 청년들은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한 삼포세대의 등장과 더불어 N포 세대로 더 많은 것들을 포기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신생아 수 감소가 나타난다. 신생아 수의 감소는 학교시설을 이용하는 학령인구들 감소로 이어지기 때문에 학교들이 폐교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생길 것으로 추측이 된다.
      또한 집값의 문제로 구도심에서 주변 신도시들로 인구가 빠져나가고 있다. 이에 따른 구도심에는 학교에 인원은 서서히 줄어들 것이고 신도시에 공급되는 학령인구 증가에 따라 학교가 신설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될 것이다.
      이에 따른 구도심에 있는 학교들은 인원 감소로 훗날 폐교가 되고 주변 신도시에는 학교가 신설이 되는 문제로 국가적 재정 낭비에 따른 사회적인 큰 이슈가 될 거라고 판단이 된다. 또한 폐교가 되는 학교들은 졸업한 선배들의 과거를 없애버리는 것과 같으므로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른 현재 사회 반응 중에 대다수는 학교 신설에 큰 관심을 보이지만 학교 이전이나 재배치에 관해서는 큰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또한 학교 이전 재배치는 기존 학교의 동창회 및 지역주민의 반대가 존재한다.
      이에 이전재배치 대상을 선정할 때 필요한 객관적인 데이터로 고등학교를 선정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이전재배치 학교를 선정을 해볼 때 걸어갈 수 있는 거리에 있는 반경 500m 내에 학교가 3개교 이상인 곳을 데이터로 뽑아서 많은 수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 학교에서 데이터를 뽑으려고 한다. 데이터의 내용은 설립연도, 교실 공사, 공학 구분, 설립, 1인당 교지 면적, 1인당 건물 면적 등을 파악하여 제일 많이 언급이 되는 학교를 대상으로 하되 그 대상이 선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상지를 가지고 사회적 이슈와 같이 지역 사람들과 교육청이 토론을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이전재배치가 필요한 대상의 행정구역을 택할 때는 인구 수를 설정하여 근처 고등학교 교통을 판단해서 필요한 곳을 선정하려고 한다. 더 나아가 학교가 이전재배치 되어 남겨진 유휴공간에 대해서도 그 행정구역의 특징을 파악하여 필요한 시설을 선정하는 법까지 나타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uth Korea has accomplished an unprecedented economic growth through
      the years of effort in its industrialization. As of now, South Korea has
      become an economic giant, with its GDP ranking 12th in the world.
      However, South Korea is currently faced with economic difficulties, relating
      to hardships of the domestic market following a global economic recession.
      The retirement of the baby-boomer generation which has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is another key
      factor.
      This nationwide social atmosphere has led to young adults giving up
      dating, marriage and childbirth. It has become a 'N-po' (meaning giving
      up on numbers of things) generation. The side effect of this phenomenon i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newly-born babies. It is easy to speculate that
      a decrease in the number of babies leads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which causes schools to close down.
      On top of that, the problem of housing costs is kicking out the
      population from old center town to peripheral new towns. Accordingly,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schools of the old town decreases slowly and
      there will be more schools in the new town as a result of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If the closing down of schools in old towns and
      the establishment of schools in new towns continues, it is estimated that
      this will become a big social issue as it is a problem of wasting the national
      finance. Also, the closing down of schools can mean for the graduates, an
      elimination of their memories. It is a serious matter of consideration. The
      social response is rather focused on the new establishment of a school, not
      on the relocation of the old schools. Also, there exists a great deal of
      objection from the alumni and the residents when a school is forced to
      relocate.
      As is the problem, we would like to propose a guideline that selects the
      schools that need to relocate on an objective database. First of all, we are
      going to consider areas that have schools within 500 meters, walking
      distance. We are going to make data from these schools. We think that the
      data should contain the year of foundation, the construction of classes,
      public/private distinction, foundation, school area per student, building area
      per student, and more. We believe that the schools that are the most
      mentioned should not immediately be selected, but be the subject of
      discussion among the residents and the office of education. Additionally,
      when selecting an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e school in need of relocation,
      we are going to consider the population into which region needs the school
      to be relocated in terms of public transport. Furthermore, our research will
      also propose the method of selecting the type of infrastructure the district
      need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ct, for the matter of unused
      space once the school relocates.
      번역하기

      South Korea has accomplished an unprecedented economic growth through the years of effort in its industrialization. As of now, South Korea has become an economic giant, with its GDP ranking 12th in the world. However, South Korea is currently faced wi...

      South Korea has accomplished an unprecedented economic growth through
      the years of effort in its industrialization. As of now, South Korea has
      become an economic giant, with its GDP ranking 12th in the world.
      However, South Korea is currently faced with economic difficulties, relating
      to hardships of the domestic market following a global economic recession.
      The retirement of the baby-boomer generation which has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is another key
      factor.
      This nationwide social atmosphere has led to young adults giving up
      dating, marriage and childbirth. It has become a 'N-po' (meaning giving
      up on numbers of things) generation. The side effect of this phenomenon i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newly-born babies. It is easy to speculate that
      a decrease in the number of babies leads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which causes schools to close down.
      On top of that, the problem of housing costs is kicking out the
      population from old center town to peripheral new towns. Accordingly,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schools of the old town decreases slowly and
      there will be more schools in the new town as a result of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If the closing down of schools in old towns and
      the establishment of schools in new towns continues, it is estimated that
      this will become a big social issue as it is a problem of wasting the national
      finance. Also, the closing down of schools can mean for the graduates, an
      elimination of their memories. It is a serious matter of consideration. The
      social response is rather focused on the new establishment of a school, not
      on the relocation of the old schools. Also, there exists a great deal of
      objection from the alumni and the residents when a school is forced to
      relocate.
      As is the problem, we would like to propose a guideline that selects the
      schools that need to relocate on an objective database. First of all, we are
      going to consider areas that have schools within 500 meters, walking
      distance. We are going to make data from these schools. We think that the
      data should contain the year of foundation, the construction of classes,
      public/private distinction, foundation, school area per student, building area
      per student, and more. We believe that the schools that are the most
      mentioned should not immediately be selected, but be the subject of
      discussion among the residents and the office of education. Additionally,
      when selecting an administrative district of the school in need of relocation,
      we are going to consider the population into which region needs the school
      to be relocated in terms of public transport. Furthermore, our research will
      also propose the method of selecting the type of infrastructure the district
      need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ct, for the matter of unused
      space once the school relocat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1-3. 선행연구 고찰 5
      • 제2장. 이론적 고찰 8
      • 제1장. 서 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1-3. 선행연구 고찰 5
      • 제2장. 이론적 고찰 8
      • 2-1. 학교 이전재배치의 개념 및 필요성 8
      • 2-1-1. 학교 이전재배치의 개념 8
      • 2-1-2. 학교 이전재배치의 필요성 10
      • 2-2. 창원시 인구변화 및 학교 현황 14
      • 2-2-1. 창원시 인구 변화 14
      • 2-2-2. 창원시 행정구역별 인구 분석 15
      • 2-2-3. 창원시 도시적 특징 및 공간 분석 20
      • 2-2-4. 창원시 학령인구 및 학교 현황 22
      • 2-3. 창원시 고등학교 현황 및 교육여건 29
      • 2-3-1. 창원시 고등학교 기본현황 분석 29
      • 2-3-2. 창원시 관내 고등학교 통학여건 및 지리적 입지도 분석 48
      • 2-3-3. 창원시 관내 고등학교 주변 교육 환경 여건 분석 58
      • 2-3-4. 고등학교 학생 수에 따른 적정규모 배치 62
      • 제3장. 연구 및 분석의 틀 64
      • 3-1. 조사의 틀 64
      • 3-2. 연구 및 분석의 틀 66
      • 제4장. 이전 재배치 대상 선정 및 활용방안 70
      • 4-1. 이전재배치 대상 선정 기준 70
      • 4-1-1. 대상 행정구역에서 인근 고등학교 통학여건 분석 70
      • 4-1-2. 이전재배치 대상 고등학교 분석 74
      • 4-1-3. 북면신도시 학령인구 및 고등학생 수용인원 분석 79
      • 4-1-4. 이전재배치에 따른 장애요인 83
      • 4-2. 이전재배치에 따른 폐교시설 활용방안 83
      • 4-2-1. 폐교시설 활용 유형 분석 83
      • 4-2-2. 창원시의 폐교시설 활용 사례 84
      • 4-3. 소결 88
      • 제5장. 결론 89
      • [참고문헌] 91
      • [영문초록] 93
      • [감사의 글] 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