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기결정이론을 토대로 한 학습동기 경로 모형 검증 = Examination of the Learning Motivational Process Model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03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learning motivational process models, based on Self- Determination Theory(SDT) in academic settings. I examined if SDT's assumptions would fit for Korean adolescents, using a learning motivation scale(LMS), Basic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Satisfaction Scale(BNSS), academic grades and life-quality scales, and also tried to search for the adequate motivational process models for Korean adolescent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asic needs satisfaction influences positively on the development of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which influences positively on academic achievement. But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doesn't always influence on subjective well-being positively. And Korean adolescents who study autonomously or achieve good grades, are not better in a dimension of subjective well-being than others. Basic needs satisfaction while growing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variables to improve adolescents' autonomous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ive life qual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learning motivational process models, based on Self- Determination Theory(SDT) in academic settings. I examined if SDT's assumptions would fit for Korean adolescents, using a learning motivation scale(LMS), Bas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learning motivational process models, based on Self- Determination Theory(SDT) in academic settings. I examined if SDT's assumptions would fit for Korean adolescents, using a learning motivation scale(LMS), Basic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Satisfaction Scale(BNSS), academic grades and life-quality scales, and also tried to search for the adequate motivational process models for Korean adolescent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asic needs satisfaction influences positively on the development of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which influences positively on academic achievement. But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eterminative motivation doesn't always influence on subjective well-being positively. And Korean adolescents who study autonomously or achieve good grades, are not better in a dimension of subjective well-being than others. Basic needs satisfaction while growing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variables to improve adolescents' autonomous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ive life qua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자기결정이론에서는 기본적인 욕구-자율성, 능력감, 유대감-를 충족시켜주는 사회적 환경에서 성장한 청소년들에게 자기 결정력이 발달하여 공부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삶에 대한 만족감이 증가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의 이런 주장이 한국 청소년에게도 적용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장면에서 동기가 형성되고 작동하는 경로를 추적해보았다. 연구 결과, 한국 청소년들에게 자기결정이론은 부분적으로 부합했다.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면 자기결정력이 발달하고, 자기결정력이 발달하면 학업성취도가 향상되며,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면 주관적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율성을 촉진하는 동시에 타율성을 억제하고 공부에 대한 걱정, 불안감, 경쟁심, 죄책감, 수치심 등을 완화시키는 전략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그러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자기결정력의 영향은 미미하였고 학업성취도의 영향은 거의 없었다. 즉, 한국에서는 스스로 공부하고, 성적이 좋은 학생들의 삶의 질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더 나은 것은 아니었다.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 학업성취도 및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들은 부모, 교사, 친구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능력감을 맛보며, 자율적인 삶을 살 필요가 있어 보인다.
      번역하기

      자기결정이론에서는 기본적인 욕구-자율성, 능력감, 유대감-를 충족시켜주는 사회적 환경에서 성장한 청소년들에게 자기 결정력이 발달하여 공부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삶에 대한...

      자기결정이론에서는 기본적인 욕구-자율성, 능력감, 유대감-를 충족시켜주는 사회적 환경에서 성장한 청소년들에게 자기 결정력이 발달하여 공부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삶에 대한 만족감이 증가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자기결정이론의 이런 주장이 한국 청소년에게도 적용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장면에서 동기가 형성되고 작동하는 경로를 추적해보았다. 연구 결과, 한국 청소년들에게 자기결정이론은 부분적으로 부합했다.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면 자기결정력이 발달하고, 자기결정력이 발달하면 학업성취도가 향상되며,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면 주관적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율성을 촉진하는 동시에 타율성을 억제하고 공부에 대한 걱정, 불안감, 경쟁심, 죄책감, 수치심 등을 완화시키는 전략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그러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자기결정력의 영향은 미미하였고 학업성취도의 영향은 거의 없었다. 즉, 한국에서는 스스로 공부하고, 성적이 좋은 학생들의 삶의 질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더 나은 것은 아니었다.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 학업성취도 및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들은 부모, 교사, 친구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능력감을 맛보며, 자율적인 삶을 살 필요가 있어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신, "한국사회의 교육적 성취: 현상과 심리적 기반" 16 (16): 325-351, 2002

      2 이민희, "학습장면에서 자기결정론의 동기화 경로모형 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3 이민희, "청소년용 학습동기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18 (18): 295-321, 2007

      4 박영신, "청소년과 부모의 실패와 미래성취 의식을 통해 본 한국인의 성취 관련 토착심리" 11 (11): 73-108, 2005

      5 안신호, "자존감의 결정요인:영역별 능력과 자기수용의 영향" 24 (24): 109-140, 2005

      6 김아영,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른 동기유형의 분류" 15 (15): 97-119, 2001

      7 박병기, "자기결정성 이론이 제안한 학습동기 분류형태의 재구성" 19 (19): 699-717, 2005

      8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69-187, 2002

      9 이주성, "외향성과 신경증적 경향성의 상호작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10 오순애,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 사이에 존재하는 새로운 동기 유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 박영신, "한국사회의 교육적 성취: 현상과 심리적 기반" 16 (16): 325-351, 2002

      2 이민희, "학습장면에서 자기결정론의 동기화 경로모형 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3 이민희, "청소년용 학습동기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18 (18): 295-321, 2007

      4 박영신, "청소년과 부모의 실패와 미래성취 의식을 통해 본 한국인의 성취 관련 토착심리" 11 (11): 73-108, 2005

      5 안신호, "자존감의 결정요인:영역별 능력과 자기수용의 영향" 24 (24): 109-140, 2005

      6 김아영,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른 동기유형의 분류" 15 (15): 97-119, 2001

      7 박병기, "자기결정성 이론이 제안한 학습동기 분류형태의 재구성" 19 (19): 699-717, 2005

      8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69-187, 2002

      9 이주성, "외향성과 신경증적 경향성의 상호작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10 오순애, "외재적 동기와 내재적 동기 사이에 존재하는 새로운 동기 유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1 구재선, "성격,효능감,생활경험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토착심리학적 접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12 신윤호, "생활지도와 진로개발" 학지사 2005

      13 조명한,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In: 아산재단 연구총서" 집문당 1998

      14 Grusec, J. E., "사회학습이론과 발달심리학: 로버트 R. 시어즈와 앨버트 반두라의 업적 In: 발달심리학 거장들의 핵심이론 연구 [A century of developmental psychology]" 학지사 561-588, 2005

      15 차경호,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개인중심주의-집단중심주의 성향과의 관계" 10 (10): 193-216, 1999

      16 La Guardia, J. G., "Within-person variation in security of attachment: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on attachment, need fullfillment, and well-being" 79 (79): 367-384, 2000

      17 Grolnick, W. S., "What makes parents controlling? In: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Th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162-179, 2004

      18 Reeve, J.,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 Wiley 2005

      19 Ryan, R. M., "Two types of religious internalization and their relations to religious orientations and mental health" 65 (65): 586-596, 1993

      20 Blais, M. R., "Toward a motivational model of couple happiness" 59 (59): 1021-1031, 1990

      21 Vallerand, R. J., "The academic motivation scale: A measure of intrinsic, extrinsic, and amotivation education" 52 : 1003-1017, 1992

      22 Diener, 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 71-75, 1985

      23 .,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24 Reeve, J., "Self-determination theory applied to educational settings In: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Th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183-199, 2004

      25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55 (55): 68-78, 2000

      26 Vallerand, R. J., "Self-determination and persistence in a real-life setting: Toward a motivational model of high school dropout" 72 (72): 1161-1176, 1997

      27 Pavot, W., "Review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5 : 164-172, 1993

      28 Ryan, R. M., "Perceived locus of causality and internalization: Examining reasons for acting in two domains" 57 (57): 749-761, 1989

      29 Ryan, R. M.,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 dialectical perspective In: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Th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3-33, 2004

      30 Ryan, R. M., "Origins and pawns in the classroom: Self-report and projective assessmen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children's perceptions" 50 (50): 550-558, 1986

      31 Vallerand, R. J., "On the assessment of intrinsic, extrinsic, and amotivatiom in education: Evidence on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academic motivation scale" 53 : 159-172, 1993

      32 Williams, G. C., "Motivational predictors of weight loss and weight-loss maintenance" 70 (70): 115-126, 1996

      33 Vallerand, R. J., "Intrinsic, extrinsic, and amotivational styles as predictors of"

      34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1985

      35 Deci, E. L., "Intrinsic motivation" Plenum 1975

      36 Vallerand, R. J.,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 hierarchical model In: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Th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37-59, 2004

      37 Koesnter, R., "Identified and introjected forms of political internalization: Extending self-determination theory" 70 (70): 1025-1036, 1996

      38 Watson, D., "Develpo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 54 : 1063-1070, 1988

      39 Ryan, R. M., "Control and information in the intrapersonal sphere: An extension of cognitive evaluation theory" 43 (43): 450-461, 1982

      40 Grolnick, W. S., "Autonomy in children's learning: An experimental and individual difference investigation" 52 : 890-898, 1987

      41 Ryan, R. M., "Agency and organization: Intrinsic motivation, autonomy, and self in psychology development In: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Vol. 40.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motivatio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3

      42 McGrae, R. R., "Adding Liebe und Arbeit: The full five-factor model and well-being" 17 : 227-232, 1991

      43 김계수, "AMOS 구조방정식모형분석" 한나래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2-09-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 2.149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