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첨단 디지털 공연예술기반 실천을 위한 무용교육공학 기술의 활용 동향 및 모색을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예술로서의 무용교육공학의 연구 활동과 활용범위 그리고, 그 응용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첨단 디지털 공연예술기반 실천을 위한 무용교육공학 기술의 활용 동향 및 모색을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예술로서의 무용교육공학의 연구 활동과 활용범위 그리고, 그 응용범...
본 연구는 첨단 디지털 공연예술기반 실천을 위한 무용교육공학 기술의 활용 동향 및 모색을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예술로서의 무용교육공학의 연구 활동과 활용범위 그리고, 그 응용범위의 가능성을 추론해 봄으로써, 향후 다양한 연구방향을 모색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접근하게 되었다. 즉, 현재까지의 첨단 디지털 공연예술기반 실천을 위한 무용교육공학 기술의 활용 동향의 연구범위는 그 장르가 다소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비추어볼 때, 학제적 복합융합 학문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무용공연예술분야의 학문분야가 비교적 다양하면서도 창의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해 본다. 이러한 의미에서 21세기 지식기반 정보화 환경의 구축에 따른 무용공연예술 분야가 거듭 성장 할 수 있도록 종합교육정보 환경개발, 적합한 전공별 정보화시스템 구축, 예술교육분야의 학제적 교류를 통한 전문가 양성교육 등 새로운 개념의 패러다임이 요청된다. 그리하여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과 창의성을 신장 시킬 수 있는 개별화된 수준별 맞춤교수-학습프로그램의 개발과 사이버시대에 적합한 온라인 전문지도자 양성의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할 것이다. 즉, 미래에는 디지털 공연안무전문가 뿐만 아니라 디지털 움직임동작분석 전문가 또는 디지털 무용산업마케팅 전문가와 같은 전문지도자의 양성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에 가상현실 교육의 환경기반은 매우 폭 넓게 응용 될 수 있다. 따라서, 변화하는 미래의 학교 무용교육에 부응하고 첨단 무용교육공학으로서 무용공연예술분야가 교육적으로 큰 성과를 이룰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본 연구자가 개발한 eZ-DCBS의 프로그램이 무용교육의 첨단화로 도약하는데 디딤돌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pare an opportunity to grope for the various directions of research from now on by reasoning the research activities, range of utilization and range of application of dance educational technology as digital media arts through the...
This study aims to prepare an opportunity to grope for the various directions of research from now on by reasoning the research activities, range of utilization and range of application of dance educational technology as digital media arts through the trends of and groping for the utilization of dance educational technology for practice based on cutting-edge digital performing arts. That is,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he genre of the range of research of trends of utilization of dance educational technology for practice based on cutting-edge digital performing arts up until now has been somewhat limited, it is expected that relatively diverse and creative researches will be done in the academic field of dance and performing arts at the moment when we are greeting the era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study.
In this connection, it is requested to have a paradigm of new concept such as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educational information environment, construction of proper informatization system for each major, the nurture and education of experts through interdisciplinary exchanges between the fields of arts and education and so on so that the fields of dance and performing arts can grow over and over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knowledge-based informatization environment in the 21st century.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teaching-learning programs tailored to each level that can increase the ability and creativity of each learner and the nurture of online professional instructors proper for the cyber era should be opened up.
That is, as the future has sufficient possibilities for nurturing not only the experts in digital performance choreography but also the experts in digital movement analysis or the experts in digital dance industry marketing, the environment basis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can be applied in a very broad way.
Hence, it is firmly believed that the program of eZ-DCBS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can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making the dance education become high-tech expecting the changing future school dance education can be satisfied and the field of dance performing arts can achieve a great educational outcome as cutting-edge dance educational technology.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원, "한국 민속춤의 동작 코드와 의미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46 (46): 1-36, 2006
2 박재호, "학교교육의 대안으로써 멀티미디어 활용 실태 분석 연구 : 미술과, 무용과, 음악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 김지원, "퍼스 기호이론의 무용기호학적 적용 연구" 대한무용학회 50 (50): 15-28, 2007
4 송남은, "테크놀로지(Technology)와 결합된 총체예술로서의 무용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5 송남은, "테크놀로지(Technology)와 결합된 총체예술로서의 무용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6 김운미, "컴퓨터를 이용한 무용동작으로부터의 감정인식" 4 (4): 35-41, 2004
7 김미애, "컴퓨터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무용교육용 코스웨어의 개발 방안" 2 : 5-18, 2002
8 한진현, "컴퓨터 기술체제 Technology를 적용한 무용연구의 방안" 2 : 199-221, 2003
9 곽진영, "초등학교에서의 인성 중심 동요 지도를 위한 CD-ROM 멀티미디어 교수 자료 개발과 활용 방안"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홍경화, "인터렉티브(Interactive) 디지털 매체와 무용"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5
1 김지원, "한국 민속춤의 동작 코드와 의미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46 (46): 1-36, 2006
2 박재호, "학교교육의 대안으로써 멀티미디어 활용 실태 분석 연구 : 미술과, 무용과, 음악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 김지원, "퍼스 기호이론의 무용기호학적 적용 연구" 대한무용학회 50 (50): 15-28, 2007
4 송남은, "테크놀로지(Technology)와 결합된 총체예술로서의 무용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5 송남은, "테크놀로지(Technology)와 결합된 총체예술로서의 무용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6 김운미, "컴퓨터를 이용한 무용동작으로부터의 감정인식" 4 (4): 35-41, 2004
7 김미애, "컴퓨터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무용교육용 코스웨어의 개발 방안" 2 : 5-18, 2002
8 한진현, "컴퓨터 기술체제 Technology를 적용한 무용연구의 방안" 2 : 199-221, 2003
9 곽진영, "초등학교에서의 인성 중심 동요 지도를 위한 CD-ROM 멀티미디어 교수 자료 개발과 활용 방안"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홍경화, "인터렉티브(Interactive) 디지털 매체와 무용"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5
11 이근무, "인터넷 활용 체육 수업을 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발" 807-811, 2002
12 염준영, "아동미술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7 : 107-124, 2008
13 안지형,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을 중심으로 본 무용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우리춤연구소 4 (4): 99-129, 2008
14 박은성, "무용창작과정에서 컴퓨터 테크놀로지의 활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0
15 김정분, "무용저작물 구성요소별 권리체계 고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0
16 이지희, "무용작품의 영상 미디어 활용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7 김혜경, "무용이 가지는 문화콘텐츠로서의 대중화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7
18 김주영, "무용의 멀티미디어화 활용방안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9 이미희, "무용에서의 컴퓨터 활용 동향" 우리춤연구소 4 (4): 229-248, 2008
20 유진, "무용수의 멘토관계 구조 분석" 대한무용학회 60 (60): 235-248, 2009
21 강은주, "무용수의 그림자 트래킹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음악작품연구 : 멀티미디어음악작품
22 이천희, "무용수들의 무용저작권 인식도 연구" 한국체육철학회 11 (11): 273-296, 2003
23 김승일, "무용교육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25-40, 2007
24 이은선, "무용교육의 연구 동향분석" 한국체육과학회 17 (17): 987-995, 2008
25 황인주, "무용교육과정에서의 무용테크놀로지 및 매체 수용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61 (61): 329-353, 2009
26 신상미, "무용과 컴퓨터의 만남 : Laban writer와 life forms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6 : 69-91, 2004
27 조양숙, "무용과 새로운 테크놀로지: 무대에서의 무용과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통합" 1 : 123-138, 2001
28 이승주, "무용/공연예술학과 전공자들을 위한 웹 기반 eZ-DCBS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사회체육연구소 14 : 17-28, 2011
29 김민채, "무용 활성화를 위한 무용관련 동영상 UCC의 현황과 실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30 나은영, "무용 창작과정을 통한 컴퓨터 인체 모델링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 푸른나부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0
31 이지혜, "무용 작품에 나타난 테크놀로지 활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32 정은영, "무용 아카이브의 효율적 구축과 동향" 한국사회체육학회 40 (40): 11-20, 2010
33 배수을, "무용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 개발 사례와 활성화 방안" 한국무용예술학회 23 (23): 59-86, 2008
34 임연미, "모션캡쳐를 활용한 무용의 멀티미디어화에 관한 연구 : 한국무용 호흡기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5 정현주, "모션캡처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Fouetté en Tournant의 무용역학적 분석과 3D 멀티미디어 컨텐츠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36 이은선, "모션 캡쳐를 이용한 무용 3D 캐릭터 애니메이션 활용방안 : 호남검무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7 신성아, "모션 캡쳐 테크놀로지의 무용교육 적용방법 고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38 김현옥, "머스 커닝험의 안무 “바이패드”(Biped)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59 (59): 53-72, 2009
39 장정윤, "머스 커닝햄의 <델리 코메디아>(Deli Commedia)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61 (61): 191-204, 2009
40 이유선, "로봇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무용공연의 발전가능성 탐구" 대한무용학회 64 (64): 153-168, 2010
41 이경희, "라반동작분석법을 통한 현대무용의 안무성향 -마사 그라함과 머스 커닝햄 작품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43 (43): 225-240, 2005
42 유희주, "디지털시대의 커뮤니케이션 환경변화가 무용예술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43 안병주, "디지털시대의 무용관객 커뮤니케이션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24 (24): 113-135, 2008
44 홍경화, "디지털시대 Interactive media와 무용" 5 (5): 79-89, 2005
45 정주이, "디지털무용콘텐츠의 구축 현황과 무용저작권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46 한경자,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e-러닝 무용 수업 운영사례" 대한무용학회 56 (56): 227-252, 2008
47 여민애, "디지털 테크놀러지를 활용한 웨인 맥그리거 안무방법 분석"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0
48 주선희, "디지털 테크놀러지가 무용창작 환경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49 이혜인, "디지털 춤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Danceforms1.0 활용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50 이혜인, "디지털 춤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Danceforms1.0 활용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51 정우연, "디지털 춤 아카이브의 현황분석과 활용방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52 이지선, "디지털 예술과 춤 테크놀로지" 한국무용예술학회 19 (19): 71-93, 2006
53 황인주, "디지털 무용환경하에서의 무용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무용기록학회 10 (10): 139-171, 2006
54 황인주, "디지털 무용교육의 현황과 발전방안" 대한무용학회 41 (41): 235-256, 2004
55 황인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무용교육의 활성화 및 발전방안 연구" 정보통신학술 12-26, 2004
56 안병주, "국립·국회도서관에 소장된 무용학 학위논문 현황 및 연구동향 분석" 27 : 81-94, 1999
57 이해준, "국내 창작무용 관련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체육학회 48 (48): 459-471, 2009
58 박성익,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2011
59 신재흡,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2012
60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 용어사전" 교육과학사 2005
61 김성렬, "교원의 교육공학에 대한 인식 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62 임정훈, "가상현실을 이용한 웹기반 수업과 학습자의 공간지각력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6 (6): 95-105, 2003
63 전순희, "「아탁시아」에 나타난 안무방법과 디지털 테크놀러지와 공동 작업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65 (65): 205-220, 2010
64 Bryant, R. A., "shaking big shoulders: Music and dance culture in Chicago, 1910-1925" University of Illinois 2003
65 Ross, J. L., "The feminization of physical culture: The introduction of dance into the American university curriculum" Stanford University. 1998
66 박영애, "Rudolf Laban의 Effort 요소를 활용한 안무기법 모색" 대한무용학회 49 (49): 161-176, 2006
67 Jeffery, B., "Leaping into Dance Technology, Computing in the Art" Now york University 2002
68 Don Herbison, E., "Dance and the Computer: A Potential for Graphic Synergy" University of Sydney. 2003
69 Gray, "Dance Instruction: Science Applied to the Art of Movement" Human Kinetics 1989
70 Roberts, Virginia., "Dance I: A Curriculum Guide for Secondary schools" Texas’s University. 1991
71 Sealy, D., "Computer Program for Dance Notation" 9 : 36-37, 1983
72 Nichole, O., "Choreography and stage production in dance" California state University 2004
73 이기천, "3차원 웹기반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골프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코칭능력개발원 9 (9): 353-367, 2007
74 정혜진, "3차원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과제정보 제시가 무용동작 수행 및 학습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75 김신자, "21세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과학사 2007
심리적 외상(Trauma)에 대한 신체심리치료 적용의 당위성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의 상상력 철학과 무용창의성
현대무용 <수퍼스타 예수 그리스도>의 문화상호성 연구 -파비스(P. Pavis)의 문화의 모래시계 모형 적용분석
에포트,쉐이프(Effort,Shape)분석법을 활용한 장 크리스토퍼 마이요의 「신데렐라」배역의 성격 지도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5 | 0.71 | 0.723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