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권성훈, "현대 여성 시조의 여성성 연구" 한국시조학회 (49) : 123-151, 2018
2 박용찬, "해방기의 시조 담론과 시조문학교재의 양상" 한국시조학회 (29) : 255-286, 2008
3 강호정, "해방기 시의 시적 주체 형성 연구 : 시어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4 박용찬, "해방기 시 동인지 『죽순』의 위상과 『전선시첩』으로의 이동" 한국문학회 (90) : 143-177, 2022
5 우은진, "해방기 민족문학론과 현대시조" 한국문학회 (65) : 247-278, 2013
6 강호정, "해방기 동인지 『죽순』 연구" 한국문학회 (69) : 127-157, 2015
7 강호정, "해방 10년, 현대시조의 현실인식과 자아정체성 연구" 한국학연구소 (62) : 33-59, 2017
8 유성호, "이영도 시조의 현재성" 한국언어문화학회 (70) : 151-166, 2019
9 김수이, "이영도 문학에 형상화된 '목숨(생명)'의 기원과 의미" 한국시학회 (46) : 177-208, 2016
10 "『죽순』 영인본(1~10집)"
1 권성훈, "현대 여성 시조의 여성성 연구" 한국시조학회 (49) : 123-151, 2018
2 박용찬, "해방기의 시조 담론과 시조문학교재의 양상" 한국시조학회 (29) : 255-286, 2008
3 강호정, "해방기 시의 시적 주체 형성 연구 : 시어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4 박용찬, "해방기 시 동인지 『죽순』의 위상과 『전선시첩』으로의 이동" 한국문학회 (90) : 143-177, 2022
5 우은진, "해방기 민족문학론과 현대시조" 한국문학회 (65) : 247-278, 2013
6 강호정, "해방기 동인지 『죽순』 연구" 한국문학회 (69) : 127-157, 2015
7 강호정, "해방 10년, 현대시조의 현실인식과 자아정체성 연구" 한국학연구소 (62) : 33-59, 2017
8 유성호, "이영도 시조의 현재성" 한국언어문화학회 (70) : 151-166, 2019
9 김수이, "이영도 문학에 형상화된 '목숨(생명)'의 기원과 의미" 한국시학회 (46) : 177-208, 2016
10 "『죽순』 영인본(1~10집)"
11 임곤택, "2차 시조부흥운동’의 전개와 의의" 현대문학이론학회 (49) : 267-285, 2012
12 김남규, "1940년대 현대시조 리듬 연구 - 현대시조삼인집(現代時調三人集)을 중심으로 -" 한국시조학회 (53) : 103-131,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