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기 현대시조 존재 양상 연구 ―<죽순> 동인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istence of Modern Sijo in the Liberation Period ― Focusing on coterie magazine 『Jook-so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026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 related to modern poetry have few discussions related to the Sijo revival movement in the 1920s and 1930s, but studies related to modern poetry in the 1940s and 1960s, including the liberation period, are very rare.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about 30 years of Sijo Temple remains empty, and this paper tried to draw a topographic map of the modern era of the liberation period by considering the coterie magazine called 『Jook-soon』 to fill this gap.
      Through the article “The Essence of Poetry,” Lee Ho-woo saw it as suitable as “things Joseon” that acquired universality in the Sijo which has been abiding with the people beyond class. Furthermore, the progenitor recognized his own rhythm of poetry, like free poetry, and presented works based on universality in 『Jook-soon』. For him, modern poetry was not aristocratic and unbecoming, but one of the free literary genres that could express the emotions and daily lives of modern people. In addition, Lee Byung-hwa, Lee Sung-ja, and Jo-Hyang reveal the possibility of “national poetry” or “Korean literature” by demonstrating the lives and emotions of ordinary people living in the time. Rather than criticizing and diagnosing accurate perceptions of poverty and social structural problems, the difficult life of the time was embodied with a warm gaze.
      Notably, Lee Young-do has published 15 works in 『Jook-soon』, pioneering a new path of “modern female Sijo Poet” in the male-dominated Sijo literary world. Lee Young-do recently expanded the aesthetic possibilities of modern poetry by combining aesthetic sense with reality perception and criticized reality through historical materials in the creation or formation of “modern poetry,” a literary genre centered on ideas and me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n trend of the liberation period in the 1940s through the coterie magazine of 『Jook-soon』, it was confirmed as a literature that realistically describes the life of the time rather than a work that emphasizes aesthetic practice over aesthetic achievemen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ceive modern poetry secure “modernity” that values individual emotions more than ideas while escaping from the tradition of ancient Sijo.
      번역하기

      Research related to modern poetry have few discussions related to the Sijo revival movement in the 1920s and 1930s, but studies related to modern poetry in the 1940s and 1960s, including the liberation period, are very rare. The current situation is t...

      Research related to modern poetry have few discussions related to the Sijo revival movement in the 1920s and 1930s, but studies related to modern poetry in the 1940s and 1960s, including the liberation period, are very rare.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about 30 years of Sijo Temple remains empty, and this paper tried to draw a topographic map of the modern era of the liberation period by considering the coterie magazine called 『Jook-soon』 to fill this gap.
      Through the article “The Essence of Poetry,” Lee Ho-woo saw it as suitable as “things Joseon” that acquired universality in the Sijo which has been abiding with the people beyond class. Furthermore, the progenitor recognized his own rhythm of poetry, like free poetry, and presented works based on universality in 『Jook-soon』. For him, modern poetry was not aristocratic and unbecoming, but one of the free literary genres that could express the emotions and daily lives of modern people. In addition, Lee Byung-hwa, Lee Sung-ja, and Jo-Hyang reveal the possibility of “national poetry” or “Korean literature” by demonstrating the lives and emotions of ordinary people living in the time. Rather than criticizing and diagnosing accurate perceptions of poverty and social structural problems, the difficult life of the time was embodied with a warm gaze.
      Notably, Lee Young-do has published 15 works in 『Jook-soon』, pioneering a new path of “modern female Sijo Poet” in the male-dominated Sijo literary world. Lee Young-do recently expanded the aesthetic possibilities of modern poetry by combining aesthetic sense with reality perception and criticized reality through historical materials in the creation or formation of “modern poetry,” a literary genre centered on ideas and me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n trend of the liberation period in the 1940s through the coterie magazine of 『Jook-soon』, it was confirmed as a literature that realistically describes the life of the time rather than a work that emphasizes aesthetic practice over aesthetic achievemen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ceive modern poetry secure “modernity” that values individual emotions more than ideas while escaping from the tradition of ancient Sijo.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시조와 관련된 연구는 1920~1930년대 시조부흥운동과 연관된 논의만 집중적으로 많을 뿐, 해방기를 포함한 1940~1960년대 현대시조 관련 연구는 매우 희박하다. 약 30여 년의 시조사가 공백으로 남아 있는 것이 현 실정인데, 본고는 이 공백을 채우기 위해 『죽순』이라는 동인지를 고찰하면서 해방기 현대시조의 지형도를 그려보고자 했다.
      이호우는 「시조의 본질」이라는 글을 통해 시조가 계급을 초월하여 국민과 함께 호흡해 왔다는 점에서 보편성을 획득한 ‘조선시’로서 적합하다고 보았다. 시조 역시 자유시와 마찬가지로 독자적인 시 리듬을 갖고 있다고 보면서 보편성을 전제로 한 작품들을 『죽순』에서 선보였다. 그에게 있어 현대시조는 귀족적이고 현대에 어울리지 않는 소멸할 장르가 아니라, 현대인의 감정과 현대인의 일상을 노래할 수 있는 자유로운 문학 장르 중에 하나였다. 또한 이병화, 이숭자, 조향은 당대를 살아가는 일반인의 생활상과 감정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면서 ‘국민시’ 혹은 ‘한국문학’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가난한 현실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사회 구조적 문제를 비판하고 진단하기보다는 당시의 고달픈 생활상을 따뜻한 시선으로 형상화하였다.
      이영도는 『죽순』에 15편의 작품을 발표하며 남성 시인 위주의 시조 문단에서 ‘현대 여성 시조시인’이라는 새로운 길을 개척해나갔다는 점에서 『죽순』 동인지를 주목할 만하다. 이영도는 현실인식에 심미적 감각을 결합하여 현대시조의 미학적 가능성을 새롭게 확장시켰으며, 관념과 남성 중심의 문학 장르였던 ‘현대시조’의 생성기 혹은 형성기에서 역사적 소재를 통한 현실비판도 감행해갔다.
      이와 같이 『죽순』 동인지를 통해 1940년대 해방기의 현대시조 양상을 살펴본 결과, ‘민족문학’이라는 이데올로기에 경도되어 미학적 성취보다는 미학적 실천을 우위로 하는 작품보다는, 당대의 생활상을 실감 있게 묘사하는 문학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고시조의 전통에서 탈주하는 동시에 관념보다는 개인의 감정을 보다 중요시하는 ‘현대성’을 확보하려는 현대시조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번역하기

      현대시조와 관련된 연구는 1920~1930년대 시조부흥운동과 연관된 논의만 집중적으로 많을 뿐, 해방기를 포함한 1940~1960년대 현대시조 관련 연구는 매우 희박하다. 약 30여 년의 시조사가 공백으...

      현대시조와 관련된 연구는 1920~1930년대 시조부흥운동과 연관된 논의만 집중적으로 많을 뿐, 해방기를 포함한 1940~1960년대 현대시조 관련 연구는 매우 희박하다. 약 30여 년의 시조사가 공백으로 남아 있는 것이 현 실정인데, 본고는 이 공백을 채우기 위해 『죽순』이라는 동인지를 고찰하면서 해방기 현대시조의 지형도를 그려보고자 했다.
      이호우는 「시조의 본질」이라는 글을 통해 시조가 계급을 초월하여 국민과 함께 호흡해 왔다는 점에서 보편성을 획득한 ‘조선시’로서 적합하다고 보았다. 시조 역시 자유시와 마찬가지로 독자적인 시 리듬을 갖고 있다고 보면서 보편성을 전제로 한 작품들을 『죽순』에서 선보였다. 그에게 있어 현대시조는 귀족적이고 현대에 어울리지 않는 소멸할 장르가 아니라, 현대인의 감정과 현대인의 일상을 노래할 수 있는 자유로운 문학 장르 중에 하나였다. 또한 이병화, 이숭자, 조향은 당대를 살아가는 일반인의 생활상과 감정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면서 ‘국민시’ 혹은 ‘한국문학’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가난한 현실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사회 구조적 문제를 비판하고 진단하기보다는 당시의 고달픈 생활상을 따뜻한 시선으로 형상화하였다.
      이영도는 『죽순』에 15편의 작품을 발표하며 남성 시인 위주의 시조 문단에서 ‘현대 여성 시조시인’이라는 새로운 길을 개척해나갔다는 점에서 『죽순』 동인지를 주목할 만하다. 이영도는 현실인식에 심미적 감각을 결합하여 현대시조의 미학적 가능성을 새롭게 확장시켰으며, 관념과 남성 중심의 문학 장르였던 ‘현대시조’의 생성기 혹은 형성기에서 역사적 소재를 통한 현실비판도 감행해갔다.
      이와 같이 『죽순』 동인지를 통해 1940년대 해방기의 현대시조 양상을 살펴본 결과, ‘민족문학’이라는 이데올로기에 경도되어 미학적 성취보다는 미학적 실천을 우위로 하는 작품보다는, 당대의 생활상을 실감 있게 묘사하는 문학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고시조의 전통에서 탈주하는 동시에 관념보다는 개인의 감정을 보다 중요시하는 ‘현대성’을 확보하려는 현대시조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성훈, "현대 여성 시조의 여성성 연구" 한국시조학회 (49) : 123-151, 2018

      2 박용찬, "해방기의 시조 담론과 시조문학교재의 양상" 한국시조학회 (29) : 255-286, 2008

      3 강호정, "해방기 시의 시적 주체 형성 연구 : 시어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4 박용찬, "해방기 시 동인지 『죽순』의 위상과 『전선시첩』으로의 이동" 한국문학회 (90) : 143-177, 2022

      5 우은진, "해방기 민족문학론과 현대시조" 한국문학회 (65) : 247-278, 2013

      6 강호정, "해방기 동인지 『죽순』 연구" 한국문학회 (69) : 127-157, 2015

      7 강호정, "해방 10년, 현대시조의 현실인식과 자아정체성 연구" 한국학연구소 (62) : 33-59, 2017

      8 유성호, "이영도 시조의 현재성" 한국언어문화학회 (70) : 151-166, 2019

      9 김수이, "이영도 문학에 형상화된 '목숨(생명)'의 기원과 의미" 한국시학회 (46) : 177-208, 2016

      10 "『죽순』 영인본(1~10집)"

      1 권성훈, "현대 여성 시조의 여성성 연구" 한국시조학회 (49) : 123-151, 2018

      2 박용찬, "해방기의 시조 담론과 시조문학교재의 양상" 한국시조학회 (29) : 255-286, 2008

      3 강호정, "해방기 시의 시적 주체 형성 연구 : 시어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4 박용찬, "해방기 시 동인지 『죽순』의 위상과 『전선시첩』으로의 이동" 한국문학회 (90) : 143-177, 2022

      5 우은진, "해방기 민족문학론과 현대시조" 한국문학회 (65) : 247-278, 2013

      6 강호정, "해방기 동인지 『죽순』 연구" 한국문학회 (69) : 127-157, 2015

      7 강호정, "해방 10년, 현대시조의 현실인식과 자아정체성 연구" 한국학연구소 (62) : 33-59, 2017

      8 유성호, "이영도 시조의 현재성" 한국언어문화학회 (70) : 151-166, 2019

      9 김수이, "이영도 문학에 형상화된 '목숨(생명)'의 기원과 의미" 한국시학회 (46) : 177-208, 2016

      10 "『죽순』 영인본(1~10집)"

      11 임곤택, "2차 시조부흥운동’의 전개와 의의" 현대문학이론학회 (49) : 267-285, 2012

      12 김남규, "1940년대 현대시조 리듬 연구 - 현대시조삼인집(現代時調三人集)을 중심으로 -" 한국시조학회 (53) : 103-131,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