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국의 장애인생활시설의 인적자원관리가 서비스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은 보건복지부가 시행하는 2010년 장애인생활시설평가에 참여하였던 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00900
2011
-
33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41-160(20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국의 장애인생활시설의 인적자원관리가 서비스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은 보건복지부가 시행하는 2010년 장애인생활시설평가에 참여하였던 전...
본 연구는 전국의 장애인생활시설의 인적자원관리가 서비스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은 보건복지부가 시행하는 2010년 장애인생활시설평가에 참여하였던 전국의 187개 시설이었다. 분석 결과 인사평가요소와 슈퍼비전요소가 가장 영향력이 높은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직원 복리후 생과 인력의 충분성, 인력의 전문성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생활시설에서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하여 슈퍼비전실시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서 인사평가도 체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충분한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법정 직원 수대로는 각 시설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정책적 ·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on service quality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For the study, 187 facilities were analyzed using 2007 evaluation data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on service quality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For the study, 187 facilities were analyzed using 2007 evaluation data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of personnel evaluation and supervis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ervice quality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t was found that fringe benefits for employees, sufficient numbers of employees, and the professional quality of the employee also have effects on service quality. The implication of these findings shows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facility to secure qualified professional workers and to have systematic supervision system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And a fair personnel evaluation system is also required. For the facilities to secure qualified workers, the proper grant from the government should be provid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일, "지역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 구성차원에 관한 인식유형 연구: Q방법론의 적용"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333-357, 2009
2 임혁, "정신보건사회복지서비스 질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3 정무성,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관련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9 (9): 19-46, 2005
4 이봉주, "사회복지학적 관점에서 본 복지경영. in 경기복지재단 정책보고시리즈" 경기복지재단 2009
5 양점도, "사회복지조직 관리자의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19 (19): 49-78, 2009
6 강혜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수행 실태와 인력관리의 쟁점" 5 : 41-77, 2001
7 이인재, "사회복지실무자의 직무성과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8 최일섭, "사회복지시설평가 체계개선에 따른 운영모델 개발 연구"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연구원 2007
9 정무성, "사회복지시설의 인적자원관리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2007 장애인복지시설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4 (4): 97-120, 2008
10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시설 유형별 최소기준(안)"
1 박경일, "지역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 구성차원에 관한 인식유형 연구: Q방법론의 적용"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333-357, 2009
2 임혁, "정신보건사회복지서비스 질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3 정무성,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관련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9 (9): 19-46, 2005
4 이봉주, "사회복지학적 관점에서 본 복지경영. in 경기복지재단 정책보고시리즈" 경기복지재단 2009
5 양점도, "사회복지조직 관리자의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19 (19): 49-78, 2009
6 강혜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수행 실태와 인력관리의 쟁점" 5 : 41-77, 2001
7 이인재, "사회복지실무자의 직무성과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8 최일섭, "사회복지시설평가 체계개선에 따른 운영모델 개발 연구"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연구원 2007
9 정무성, "사회복지시설의 인적자원관리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2007 장애인복지시설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4 (4): 97-120, 2008
10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시설 유형별 최소기준(안)"
11 홍인정,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 및 시사점 - 구성원칙 중 전문성을 중심으로" 2009
12 강철희, "사회복지서비스 기관의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49) : 343-378, 2002
13 이주호, "사회복지사가 인식한 최고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수준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07-328, 2010
14 변재관, "사회복지관 평가결과" 보건사회연구원 2001
자원봉사관리자의 전문직업성 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스포츠 기업의 자선활동이 유발하는 심리적 메커니즘과 적합성의 조절효과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0-0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