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이스 축제참가자들의 정보습득채널에 따른 축제선택속성 차이 연구 - 코엑스 C-Festival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69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C-Festival 축제참가자를 대상으로 정보습득채널에 따라 축제선택속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추가적으로 축제선택속성과 만족도 등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마이스 축제라는 새로운 축제 형태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 마이스 축제를 육성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마이스 축제, 축제선택속성, 축제만족 및 개최지호감에 대해 검토하였다. 연구 설계에서는 마이스 축제의 특성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정보습득채널에 따라 축제선택속성에는 차이가 있으며, 축제선택속성과 개최지인지도가 축제만족, 축제만족은 개최지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2017년 C-Festival에 참가한 축제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보습득채널 집단에 따라 축제선택속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행사프로그램, 교통편, 편의 및 부대시설, 홍보마케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온라인 집단은 행사프로그램, 오프라인 집단은 편의 및 부대시설, 통합(온+오프라인) 집단은 교통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축제선택속성은 축제만족에, 축제만족은 개최지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일반적으로 온라인을 통한 축제홍보효과가 높다는 주장과 달리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통합 홍보가 더 높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정보습득채널에 따라 다양한 축제선택속성을 도출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 다양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마이스 축제의 전략적인 육성을 위해서는 홍보 전략을 정보매체별로 차별화 시켜야 하며, 마이스 축제 개최 시 통합적인 운영 조직의 구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C-Festival 축제참가자를 대상으로 정보습득채널에 따라 축제선택속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추가적으로 축제선택속성과 만족도 등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

      본 연구는 C-Festival 축제참가자를 대상으로 정보습득채널에 따라 축제선택속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추가적으로 축제선택속성과 만족도 등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마이스 축제라는 새로운 축제 형태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 마이스 축제를 육성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마이스 축제, 축제선택속성, 축제만족 및 개최지호감에 대해 검토하였다. 연구 설계에서는 마이스 축제의 특성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정보습득채널에 따라 축제선택속성에는 차이가 있으며, 축제선택속성과 개최지인지도가 축제만족, 축제만족은 개최지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2017년 C-Festival에 참가한 축제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보습득채널 집단에 따라 축제선택속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행사프로그램, 교통편, 편의 및 부대시설, 홍보마케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온라인 집단은 행사프로그램, 오프라인 집단은 편의 및 부대시설, 통합(온+오프라인) 집단은 교통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또한 축제선택속성은 축제만족에, 축제만족은 개최지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일반적으로 온라인을 통한 축제홍보효과가 높다는 주장과 달리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통합 홍보가 더 높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정보습득채널에 따라 다양한 축제선택속성을 도출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 다양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마이스 축제의 전략적인 육성을 위해서는 홍보 전략을 정보매체별로 차별화 시켜야 하며, 마이스 축제 개최 시 통합적인 운영 조직의 구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information acquisition channels in mice festival participants. So, this study is to extend the discussions of mice festival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information environmental change. In the theoretical review, mice festival, festival choice attribute, festival satisfaction and venue favorability were examined. An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ce festival and previous studies,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information acquisition channel group. Also, festival choice attribute affects festival satisfaction and festival satisfaction affects venue favorabilit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general, it is proved that online and offline integrated promotion is more effective than the allegation that festival promotion effect is high. Also, various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were derived according to information acquisition channel. As a practical implication,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promotional strategies of the mice Festival by information media, a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comprehensive organization when holding the mice Festival.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information acquisition channels in mice festival participants. So, this study is to extend the discussions of mice festival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information acquisition channels in mice festival participants. So, this study is to extend the discussions of mice festival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information environmental change. In the theoretical review, mice festival, festival choice attribute, festival satisfaction and venue favorability were examined. An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ce festival and previous studies,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information acquisition channel group. Also, festival choice attribute affects festival satisfaction and festival satisfaction affects venue favorabilit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general, it is proved that online and offline integrated promotion is more effective than the allegation that festival promotion effect is high. Also, various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were derived according to information acquisition channel. As a practical implication,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promotional strategies of the mice Festival by information media, a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comprehensive organization when holding the mice Festiv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1. 마이스 축제(Mice Festival)
      • 2. 정보습득채널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1. 마이스 축제(Mice Festival)
      • 2. 정보습득채널
      • 3. 축제선택속성
      • 4. 축제만족과 개최지호감도
      • Ⅲ. 연구 설계
      • 1. 연구가설 설정
      • 2. 측정항목 설정
      •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Ⅳ. 분석 결과
      • 1. 인구통계학적 분석
      • 2. 가설 검증
      • Ⅴ. 결과
      • 참고문헌
      • <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수현, "패밀리 레스토랑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가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연구 - 국내브랜드와 해외브랜드의 패밀리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7 (7): 121-134, 2009

      2 유예경, "컨벤션센터의 모바일 정보품질에 대한 이용자 만족이 컨벤션센터 명품지수 및 후속행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호텔관광학회 16 (16): 395-414, 2014

      3 오정학, "컨벤션 회의유형별 개최지 선택속성의 중요도 및 개최시설의 선호도 : 분산분석과 대응일치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9 (19): 1-19, 2010

      4 김철원, "컨벤션 주최자의 SNS 홍보활동이 조직-공중관계성 및 참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6 (36): 233-253, 2012

      5 유현경, "컨벤션 SNS의 특성 요인이 홍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227-247, 2016

      6 권상미, "축제의 품질과 만족이 지역 특산품의 인지도와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방바이오축제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429-446, 2011

      7 임미라, "축제의 체험요소가 축제이미지 및 방문객 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4 (24): 43-62, 2012

      8 김성혁, "축제 포스터 브랜드디자인의 상징표현이 축제에 대한 인지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보령머드축제, 안동국제탈춤축제, 춘천국제마임축제 포스터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34 (34): 385-404, 2010

      9 엄지영, "축제 이미지가 도시브랜드자산 및 지역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사례에서 지역주민과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31 (31): 131-150, 2016

      10 오익근, "지자체 슬로건의 평가와 관광홍보수단으로서의 기대효과: Colorful DAEGU 사례" 한국관광학회 31 (31): 389-407, 2007

      1 박수현, "패밀리 레스토랑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가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연구 - 국내브랜드와 해외브랜드의 패밀리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7 (7): 121-134, 2009

      2 유예경, "컨벤션센터의 모바일 정보품질에 대한 이용자 만족이 컨벤션센터 명품지수 및 후속행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호텔관광학회 16 (16): 395-414, 2014

      3 오정학, "컨벤션 회의유형별 개최지 선택속성의 중요도 및 개최시설의 선호도 : 분산분석과 대응일치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9 (19): 1-19, 2010

      4 김철원, "컨벤션 주최자의 SNS 홍보활동이 조직-공중관계성 및 참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36 (36): 233-253, 2012

      5 유현경, "컨벤션 SNS의 특성 요인이 홍보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227-247, 2016

      6 권상미, "축제의 품질과 만족이 지역 특산품의 인지도와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방바이오축제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429-446, 2011

      7 임미라, "축제의 체험요소가 축제이미지 및 방문객 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4 (24): 43-62, 2012

      8 김성혁, "축제 포스터 브랜드디자인의 상징표현이 축제에 대한 인지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보령머드축제, 안동국제탈춤축제, 춘천국제마임축제 포스터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34 (34): 385-404, 2010

      9 엄지영, "축제 이미지가 도시브랜드자산 및 지역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사례에서 지역주민과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31 (31): 131-150, 2016

      10 오익근, "지자체 슬로건의 평가와 관광홍보수단으로서의 기대효과: Colorful DAEGU 사례" 한국관광학회 31 (31): 389-407, 2007

      11 이주현, "지역축제의 선택속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12 강혜숙, "지역축제선택속성이 축제의 만족도, 재방문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양양송이축제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4 (24): 39-58, 2012

      13 한호성, "지역축제 스토리텔링속성에 의한 몰입이 브랜드이미지와 지역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30 (30): 73-90, 2016

      14 유준모, "지역축제 선택속성이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관령국제음악제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09

      15 조태영, "지역축제 방문객의 방문동기에 따른 지역축제 이미지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금산 인삼축제 방문객을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6 (26): 421-440, 2011

      16 백운일, "지역축제 관광행동 및 지출에 관한 연구 : 축제 간 비교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9

      17 김정준, "지역축제 관광객들의 방문동기가 관여도, 축제만족도, 그리고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보령머드축제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429-445, 2016

      18 서철현, "지역축제 개최지 주민의 공동체의식과 지역애호도의 영향관계:2009 성주 참외축제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447-466, 2011

      19 량천, "중국인 관광객의 관광목적지 선택에 영향을미치는 정보원천 및 관광정보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30 (30): 99-115, 2017

      20 서지연, "중국소비자의 커피 제품 추구편익이 한국커피전문점 만족도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에 대한 호감도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7 (27): 431-450, 2015

      21 양승필, "주제공원의 선택속성과 체험품질이 관광객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8 (28): 25-45, 2013

      22 홍재욱, "유료공연축제의 만족도 및 행동의도 결정요인: 인천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12 (12): 5-18, 2010

      23 유혜림, "웹 서비스 형태 변화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진화" 11 (11): 52-61, 2010

      24 성혜진, "외식정보 SNS특성이 사용자 만족 및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4 (24): 201-218, 2012

      25 이혜성, "외식소비자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용 동기, 이용자 참여, 구매의도의 관계 분석 -" 한국관광학회 39 (39): 151-168, 2015

      26 이려정, "영상물을 통한 관광지 인지도와 관광지 이미지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4 (24): 57-77, 2012

      27 류동수, "스포츠이벤트 브랜드자산과 고객만족, 브랜드태도, 지속참여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1 (51): 193-206, 2012

      28 이상일, "스포츠 프로그램 소비자의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6 : 39-50, 2004

      29 정남호, "소셜 미디어에서 정보공유를 위한 애착의 매개역할: 사회적 자본이론 관점" 한국경영정보학회 22 (22): 101-123, 2012

      30 정희진, "소셜 미디어 정보가치와 관광정보 탐색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36 (36): 289-308, 2012

      31 신지안, "소비가치 인식이 정보 탐색 채널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용서비스 산업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상업교육학회 29 (29): 75-101, 2015

      32 김보라, "사외보의 만족도와 홍보 효과에 관한 연구 : 국민연금공단 온라인∙오프라인 사보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3

      33 김동준, "메세나의 후원 성격, 공익적 혜택, 공연 호감도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575-590, 2011

      34 이정선, "멀티채널 소비자의 정보탐색 및 구매 채널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15 (15): 21-45, 2012

      35 박기관, "랜드마크에 대한 인지도가 지역랜드마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3 (13): 61-78, 2013

      36 이학식, "기대- 불일치 패러다임에서 예상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브랜드 경험유무와 측정시점 시간간격의 조정적 역할" 한국방송광고공사 (68) : 139-170, 2005

      37 류인평, "국제영화 이벤트 선택속성, 관여도, 만족도 연구" 한국관광산업학회 41 (41): 59-75, 2016

      38 정정숙, "관광포스터의 메시지 구성요소가 관광지이미지 변화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6 (16): 161-179, 2004

      39 이경하, "관광지 속성과 공간마찰력변수가 관광지선택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17 (17): 1-22, 2002

      40 변수녀, "관광의 동기, 만족 및 관광지 충성도간의 관계 구조모델: 제주 휴양관광객 대상"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9 (19): 29-48, 2007

      41 허경석, "관광소비자의 소셜미디어 이용에 대한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9 (29): 389-406, 2017

      42 Seaton, A. V., "Unobtrusive observational measures as a qualitative extension of visitor surveys at festivals and events : Mass observation revisited" 35 (35): 25-30, 1997

      43 Shilbury, D., "Strategic sport marketing" Allen & Unwin 2003

      44 Parasuraman, A., "Servqual :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 64 (64): 12-, 1988

      45 Cronin Jr, J. J.,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55-68, 1992

      46 Myers, J. H., "Determinant buying attitudes: meaning and measurement" 13-20, 1968

      47 Foux, G., "Consumer-generated media: Get your customers involved" 8 (8): 38-39, 2006

      48 Petrick, J. F.,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l f Traveler's Satisfaction, Perceived Value and loyalty and Their Intentions to Revisit" Vlemson Univ. SC 1999

      49 Oliver, R. L.,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17 (17): 460-469, 1980

      50 Job & Joy, "5월 대학생 설문조사 122" 한국경제신문사 편집부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6 1.81 1.057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