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인권영화 관람이 인권의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1-S-O2-R 모델의 적용 = A Study on the Effects of Human Rights Film Watching on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 Application of the O1-S-O2-R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77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induce the watching of human rights films by applying the " O_1-S-O_2-R" a model explaining the generation process of media effects. The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and act of movie watching) of the determinants of movie watching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reflective integration) for messages emerging after movie watching on user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surveyed 260 college students (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f them, 148 (56.9%) had experience watching human rights movies, while 112 (43.1%) had no such experience.
      As a result, those who watched a human rights movie tended to be more progressive, have a greater universalism value orientation, and show more interest in human rights in ordinary times than those who did not. Those who watched a human rights movie had six major motivations, namely "interest in human rights/self-reflection," "leisure," "interest in the director," "content/reflection," "social interaction," and "showing off/expression." The motivations of watching a human rights movie had differential effects on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The degree of reflective integration had positive impacts on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번역하기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induce the watching of human rights films by applying the " O_1-S-O_2-R" a model explaining the generation process of media effects. The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changes ...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induce the watching of human rights films by applying the " O_1-S-O_2-R" a model explaining the generation process of media effects. The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and act of movie watching) of the determinants of movie watching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reflective integration) for messages emerging after movie watching on user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surveyed 260 college students (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f them, 148 (56.9%) had experience watching human rights movies, while 112 (43.1%) had no such experience.
      As a result, those who watched a human rights movie tended to be more progressive, have a greater universalism value orientation, and show more interest in human rights in ordinary times than those who did not. Those who watched a human rights movie had six major motivations, namely "interest in human rights/self-reflection," "leisure," "interest in the director," "content/reflection," "social interaction," and "showing off/expression." The motivations of watching a human rights movie had differential effects on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The degree of reflective integration had positive impacts on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미디어 효과가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한 모델인 'O_1-S-O_2-R을 적용하여 인권영화 관람을 유도하는 개인적 특성을 규명하고, 영화 관람을 결정하는 요소와 관람이 이루어진 이후에 발생하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처리 과정(숙고적 통합)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인권에 인식의 변화, 관람 행동)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대학생(대학원생) 2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중 인권영화를 관람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148명(56.9%), 미경험자는 112명(43.1%)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인권영화를 관람한 사람은 비관람자에 비해 진보적이고, 보편주의적 가치성향이 높으며, 인권에 대한 평소 관심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권영화 관람 경험자의 인권영화 관람 동기는 ‘인권 관심/자기 성찰’, ‘휴식’, ‘감독 관심’, ‘콘텐츠/성찰’, ‘사회적 상호작용’, ‘과시/표출’의 6개 동기로 밝혀졌다. 인권영화 관람 동기는 인권 인식의 변화와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쳤고, 숙고적 통합정도는 인권 의식의 변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미디어 효과가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한 모델인 'O_1-S-O_2-R을 적용하여 인권영화 관람을 유도하는 개인적 특성을 규명하고, 영화 관람을 결정하는 요소와 관람이 이루어진 이후에 ...

      이 연구는 미디어 효과가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한 모델인 'O_1-S-O_2-R을 적용하여 인권영화 관람을 유도하는 개인적 특성을 규명하고, 영화 관람을 결정하는 요소와 관람이 이루어진 이후에 발생하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처리 과정(숙고적 통합)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인권에 인식의 변화, 관람 행동)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대학생(대학원생) 2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중 인권영화를 관람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148명(56.9%), 미경험자는 112명(43.1%)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인권영화를 관람한 사람은 비관람자에 비해 진보적이고, 보편주의적 가치성향이 높으며, 인권에 대한 평소 관심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권영화 관람 경험자의 인권영화 관람 동기는 ‘인권 관심/자기 성찰’, ‘휴식’, ‘감독 관심’, ‘콘텐츠/성찰’, ‘사회적 상호작용’, ‘과시/표출’의 6개 동기로 밝혀졌다. 인권영화 관람 동기는 인권 인식의 변화와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쳤고, 숙고적 통합정도는 인권 의식의 변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지봉, "한국사회와 국가인권위원회" 35 (35): 1-29, 2006

      2 류훈, "한국 인권영화의 흐름과 경향: 2000년대 인권영화를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3 (3): 177-200, 2009

      3 김정기, "한국 시청자의 텔레비전 이용과 효과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4 한달호, "한국 독립영화의 대중적 소통을 위한 제작, 배급의 효율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8 (8): 367-376, 2008

      5 김춘식, "정치적 소비자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연구 : O1-S-O2-R 모델의 적용" 한국언론학회 53 (53): 162-182, 2009

      6 윤일수, "인권 존중심 향상을 위한 영화치료 -<별별이야기>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73) : 261-288, 2010

      7 반현, "유권자의 투표 선택과 뉴스 미디어의 점화효과: 17대 총선의 선거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8 (18): 398-443, 2004

      8 진현주, "영화관람 행동에서 정보원천 이용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4

      9 남궁영, "영화관람 동기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 (3) : 85-116, 1998

      10 김영선, "영화 수용자의 관람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학생 집단의 영화 선택 특성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06

      1 임지봉, "한국사회와 국가인권위원회" 35 (35): 1-29, 2006

      2 류훈, "한국 인권영화의 흐름과 경향: 2000년대 인권영화를 중심으로" 다문화평화연구소 3 (3): 177-200, 2009

      3 김정기, "한국 시청자의 텔레비전 이용과 효과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4 한달호, "한국 독립영화의 대중적 소통을 위한 제작, 배급의 효율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8 (8): 367-376, 2008

      5 김춘식, "정치적 소비자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연구 : O1-S-O2-R 모델의 적용" 한국언론학회 53 (53): 162-182, 2009

      6 윤일수, "인권 존중심 향상을 위한 영화치료 -<별별이야기>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73) : 261-288, 2010

      7 반현, "유권자의 투표 선택과 뉴스 미디어의 점화효과: 17대 총선의 선거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8 (18): 398-443, 2004

      8 진현주, "영화관람 행동에서 정보원천 이용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4

      9 남궁영, "영화관람 동기에 대한 Q방법론적 연구" (3) : 85-116, 1998

      10 김영선, "영화 수용자의 관람특성에 관한 연구 : 대학생 집단의 영화 선택 특성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06

      11 금희조, "영화 <화려한 휴가> 관람이 정치태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O1-S-O2-R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2 (52): 70-95, 2008

      12 반현, "동영상 UCC 이용과 정치 행태에 관한 연구: 대학생들의 UCC 이용과 정치 뉴스 이용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2 (22): 123-166, 2007

      13 최믿음, "독립영화 관람행동 특성 연구" 한국방송학회 24 (24): 503-543, 2010

      14 송현주, "대통령에 대한 감정과 정책 이슈의 유인가적 유사성이 뉴스매체의 점화효과에 미치는 영향 : 접근가능성과 적용성 모형의 경험적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308-336, 2006

      15 인태정, "다문화 사회 지향을 위한 인종의 사회적 거리감과 문화적 다양성 태도 연구 -부산・울산・경남 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3 (13): 339-370, 2009

      16 Sotirovic, M., "Values, communication behavior, and political participation" 18 : 273-300, 2001

      17 Palmgreen, p., "Uses and gratifications: A theoretical perspective, In Communication Yearbook 8" Sage 20-55, 1984

      18 Blumer, J. G., "The role of theory in ues and gratification studies" 6 : 9-36, 1979

      19 McLeod, D. M., "Resurveying the boundaries of political communication effects, In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15-268, 2002

      20 McLeod, J. M., "Reflecting and connecting: Testing a communication mediation model of civic participation" 2001

      21 McLeod, D. M., "Political communication effect, In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28-251, 2009

      22 Austin, B. A., "Motivations for movie attendance" 34 (34): 115-126, 1986

      23 McLeod, J. M., "Media and civic socialization of youth" 27 : 45-51, 2000

      24 Rogengren, K. E., "Mass media use: Causes and effects" 3 : 337-351, 1977

      25 Eveland, W. P. Jr., "Is it talking, thinking, or both? A lagged dependent variable model of discussion effects on political knowledge" 56 : 523-542, 2006

      26 Greenberg, B. S., "Gratification of television viewing and their correlates for british children, In Use of Mass Communications: Current perspectives on gratifications research" Sage 71-92, 1974

      27 Hobert, R. L., "Environmental coccern patterns of television viewing,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grating models of media consumption effect" 47 : 177-196, 2003

      28 Evaland, W. P. jr., "Connecting news media use with gaps in knowledge and participation" 17 : 215-237,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61 0.81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