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본인의 작품에 있어서 생성된 이미지 '되기-찾기'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image formed 'The self becoming-seeking-becoming' on my 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32372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 회화과 , 2006.2

      • 발행연도

        2006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59.951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33장 : 채색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p. 32-33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rt becomes artist's prove of fundamental product, especially for sense and sensibility of human nature every element surround becomes as expression. The art form itself was to convey meaning and express important ideas, revealing what was significant to every society, by arresting images of objective artificial express communication channel. In recognizing the subject matter of this communicate channel trough out progress of artist's curiosity reasoning and answering, arts bring out life and that makes galleries possibility of hope and pride.
      The fundamental of any painting, you have to look at the artist's intentions, which are regularly connected to social conditions, national or global issues and the demands of the inner self. To avoid the pitfalls of judging all art by our own personal experiences and subjective views, to an observer it may be perceived as inventive, searching, disturbing, or self-expressive.
      Art not only phases the way people think and understand but it may also affect a lifestyle. "Self becoming and Seeking" brings with a broad spectrum of information enabling them to expand knowledge and to advance society in a direction of unique individuality. Reproduced "Self becoming and Seeking" art form reflected by present which soon will becomes past and that makes present to future.
      Therefore, Art is less restricted than other types of binary communication because it calls into play more levels of personal experience, both subtly and explicitly. Also, it opens up beyond unlimited possibilities to life trough eyes of absorber's imagination different level of spirit dimension.
      How we view reality in a certain situation is not always the outcome we anticipate one that illustrates mans continuing absence of clarity, perception of reality, and understanding of situations in which they find themselves. The quality of a work of art is determined by the degree to which it is sincere, clear and infectious to self identity. Such basic elements as the setting of a sensational inner self expression help set the self finding for the seeker (absolvers).
      As well, carefully chosen colors provide intuition into the emotional aspects of the work which perception is a process by which we come to know and think about ourselves (the characteristics, qualities, and inner states that we attribute to ourselves). By attributing stable traits and enduring humans, due to their nature, often overlook or ignore reality. Art can make a strong statement, clearly understood by a broad spectrum of people; it is often used to impart information in both literate and non-literate societies.
      Though out my work, communication between object and human clearly understood by a broad spectrum of abstract idealism which it is often used to impart information in both literate and non-literate societies. Within abstraction in art work stands for not recognized unformed surrealistic relations of research images. I approach art not in accordance with the reason and logic of a conception, but rather with the method of perception sense of the theme of the relationship, the understanding between me and others, or even with the things around me. The existing state's experiences of the relationships are expressed in surrealist form or in an accident and immediate color with objects such as tie-dyed stockings with lots of patterns. These unformed images I represent can come up with the possibility of making all audiences read the images on canvas differently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that proceed depends on different experience trough image becoming, pass on intended open structured art form. Remembering share of experience flow comes as expression furthermore finding inner self within.
      From this study, individuals experience combined as relations along with strangers opens up secondary reality over beyond passage to sense and sensibility which release imaginative reality of art form. From my art, I want galleries to integrate to connecting medium as external surrounds and that gives a opportunity to questioning themselves to finding inner identity.
      번역하기

      The Art becomes artist's prove of fundamental product, especially for sense and sensibility of human nature every element surround becomes as expression. The art form itself was to convey meaning and express important ideas, revealing what was signif...

      The Art becomes artist's prove of fundamental product, especially for sense and sensibility of human nature every element surround becomes as expression. The art form itself was to convey meaning and express important ideas, revealing what was significant to every society, by arresting images of objective artificial express communication channel. In recognizing the subject matter of this communicate channel trough out progress of artist's curiosity reasoning and answering, arts bring out life and that makes galleries possibility of hope and pride.
      The fundamental of any painting, you have to look at the artist's intentions, which are regularly connected to social conditions, national or global issues and the demands of the inner self. To avoid the pitfalls of judging all art by our own personal experiences and subjective views, to an observer it may be perceived as inventive, searching, disturbing, or self-expressive.
      Art not only phases the way people think and understand but it may also affect a lifestyle. "Self becoming and Seeking" brings with a broad spectrum of information enabling them to expand knowledge and to advance society in a direction of unique individuality. Reproduced "Self becoming and Seeking" art form reflected by present which soon will becomes past and that makes present to future.
      Therefore, Art is less restricted than other types of binary communication because it calls into play more levels of personal experience, both subtly and explicitly. Also, it opens up beyond unlimited possibilities to life trough eyes of absorber's imagination different level of spirit dimension.
      How we view reality in a certain situation is not always the outcome we anticipate one that illustrates mans continuing absence of clarity, perception of reality, and understanding of situations in which they find themselves. The quality of a work of art is determined by the degree to which it is sincere, clear and infectious to self identity. Such basic elements as the setting of a sensational inner self expression help set the self finding for the seeker (absolvers).
      As well, carefully chosen colors provide intuition into the emotional aspects of the work which perception is a process by which we come to know and think about ourselves (the characteristics, qualities, and inner states that we attribute to ourselves). By attributing stable traits and enduring humans, due to their nature, often overlook or ignore reality. Art can make a strong statement, clearly understood by a broad spectrum of people; it is often used to impart information in both literate and non-literate societies.
      Though out my work, communication between object and human clearly understood by a broad spectrum of abstract idealism which it is often used to impart information in both literate and non-literate societies. Within abstraction in art work stands for not recognized unformed surrealistic relations of research images. I approach art not in accordance with the reason and logic of a conception, but rather with the method of perception sense of the theme of the relationship, the understanding between me and others, or even with the things around me. The existing state's experiences of the relationships are expressed in surrealist form or in an accident and immediate color with objects such as tie-dyed stockings with lots of patterns. These unformed images I represent can come up with the possibility of making all audiences read the images on canvas differently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that proceed depends on different experience trough image becoming, pass on intended open structured art form. Remembering share of experience flow comes as expression furthermore finding inner self within.
      From this study, individuals experience combined as relations along with strangers opens up secondary reality over beyond passage to sense and sensibility which release imaginative reality of art form. From my art, I want galleries to integrate to connecting medium as external surrounds and that gives a opportunity to questioning themselves to finding inner ident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예술은 작가의 정신적 산물로, 그 본질에 있어 인간 내면세계인 정신적 감수성과 그것을 둘러싼 외적 물질과의 융합이 작품을 통해 투영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작품에는 그것이 어떤 형태이든 작가의 주관적 세계를 객관화시킨 조형언어가 있다. 이 언어를 통해 삶에서 제기되는 작가 자신의 의문과 해답을 얻는 과정을 작품 속에 표현하여 삶을 다시 새롭게 인식해 봄으로써, 사람들에게 그들의 희망과 자존의 가능성을 찾게 하여 준다.
      예술을 통하여 작가는 자신과 삶, 타인과의 관계 등을 표현하고 자기화하며 삶에서 파생되는 여러 체험을 반영한다.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은 그 자신의 현실적인 감정 뿐 아니라 그가 인식하는 인간의 감정 전체에 관한 것이다. 본인은 신체 밖에서 상호의존적으로 존재하는 세계의 모습을 감각적이고도 개성적인 법칙에 따라 이미지로 생산한다.
      예술 작품이 생산하는 이미지는 그 자체로 ‘차이의 현시’이자 비가시적인 생성의 힘을 보여주는데, 이는 고정되어 있던 ‘나의 자리’에서 벗어나 내가 아닌 ‘다른 것-되기’이다. 이 ‘다른 것-되기’는 그것이 형성되자마자 현재를 과거로 던지고, 동시에 현재를 미래로 이끌기도 한다. 따라서 생성이란 언제나 고정된 자리를 갖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다른 무엇인가로 되어가는 것을 뜻하며, 이 무한한 변화의 가능성을 열어둠으로써 다양하고 역동적인 방법으로 새로운 것이 탄생할 수 있다. 예술은 언제나 생성을 통해 창조되며, ‘감각’을 통해 만들어진 이미지는 감상자가 생성의 차원으로 발을 들여놓도록 인도한다.
      본인의 작업에서는 사람, 혹은 사물과의 관계와 소통의 문제를 이성과 개념의 논리가 아닌 직관과 감각적인 방법을 통해 접근한다. 본인의 작업은 자아와 비자아의 관계에서 생성될 수 있는 관계의 현상학적 체험, 즉 우연적 · 필연적인 요소를 가진 기억들을 의도적인 동시에 우연에 의존하는 염색 과정에 의한 반복 패턴 구성을 기본으로 나타낸다. 그 위에 자유로이 그려진 선적, 면적 드로잉과 초현실적인 형상과 색채가 주는 즉각성, 우연성으로 화면에 변형된 이미지를 표현해낸다. 이미지의 형체 없음은 기억이나 관계의 무정형 속에서 정형을 찾는 것, 이것이 진동하는 기억을 경험하고 보존하게 하는 것이다. 구상적이지도 추상적이지도 않은 형태로 드러나는 이러한 비 규정화된 이미지 ‘되기’는 주변세계 안에서의 체험을 시각화함으로써 관람자들에게 그들 각자의 경험에 바탕한 여러 가지 다른 이미지 ‘찾기’로 전달되도록 하는 ‘의도된’ 열린 작품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억을 더듬어 그 체험의 공감대가 형성이 되게 하는 이것은 단순히 표현에 지나는 것이 아니라 그들에게 ‘기억 심기’와 더불어 ‘나’를 찾아가는 역할을 한다.
      본인은 개인의 경험들과 타인의 여러 경험들이 서로 얽혀져 있는 관계 속에서 사람들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둔 채, 현실의 모순을 극복하고 넘어서는 감성과 상상력으로 예술작품을 실현하고자 한다. 본인의 작품이 외부 세계와의 수많은 관계 속에서 마치 촉매제처럼 작용하길 바라고, 또한 자신의 아이덴티티(identity)와 주변의 현상에 대해 진지하게 질문하게 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번역하기

      예술은 작가의 정신적 산물로, 그 본질에 있어 인간 내면세계인 정신적 감수성과 그것을 둘러싼 외적 물질과의 융합이 작품을 통해 투영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작품에는 그것이 어떤 형태...

      예술은 작가의 정신적 산물로, 그 본질에 있어 인간 내면세계인 정신적 감수성과 그것을 둘러싼 외적 물질과의 융합이 작품을 통해 투영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작품에는 그것이 어떤 형태이든 작가의 주관적 세계를 객관화시킨 조형언어가 있다. 이 언어를 통해 삶에서 제기되는 작가 자신의 의문과 해답을 얻는 과정을 작품 속에 표현하여 삶을 다시 새롭게 인식해 봄으로써, 사람들에게 그들의 희망과 자존의 가능성을 찾게 하여 준다.
      예술을 통하여 작가는 자신과 삶, 타인과의 관계 등을 표현하고 자기화하며 삶에서 파생되는 여러 체험을 반영한다.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은 그 자신의 현실적인 감정 뿐 아니라 그가 인식하는 인간의 감정 전체에 관한 것이다. 본인은 신체 밖에서 상호의존적으로 존재하는 세계의 모습을 감각적이고도 개성적인 법칙에 따라 이미지로 생산한다.
      예술 작품이 생산하는 이미지는 그 자체로 ‘차이의 현시’이자 비가시적인 생성의 힘을 보여주는데, 이는 고정되어 있던 ‘나의 자리’에서 벗어나 내가 아닌 ‘다른 것-되기’이다. 이 ‘다른 것-되기’는 그것이 형성되자마자 현재를 과거로 던지고, 동시에 현재를 미래로 이끌기도 한다. 따라서 생성이란 언제나 고정된 자리를 갖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다른 무엇인가로 되어가는 것을 뜻하며, 이 무한한 변화의 가능성을 열어둠으로써 다양하고 역동적인 방법으로 새로운 것이 탄생할 수 있다. 예술은 언제나 생성을 통해 창조되며, ‘감각’을 통해 만들어진 이미지는 감상자가 생성의 차원으로 발을 들여놓도록 인도한다.
      본인의 작업에서는 사람, 혹은 사물과의 관계와 소통의 문제를 이성과 개념의 논리가 아닌 직관과 감각적인 방법을 통해 접근한다. 본인의 작업은 자아와 비자아의 관계에서 생성될 수 있는 관계의 현상학적 체험, 즉 우연적 · 필연적인 요소를 가진 기억들을 의도적인 동시에 우연에 의존하는 염색 과정에 의한 반복 패턴 구성을 기본으로 나타낸다. 그 위에 자유로이 그려진 선적, 면적 드로잉과 초현실적인 형상과 색채가 주는 즉각성, 우연성으로 화면에 변형된 이미지를 표현해낸다. 이미지의 형체 없음은 기억이나 관계의 무정형 속에서 정형을 찾는 것, 이것이 진동하는 기억을 경험하고 보존하게 하는 것이다. 구상적이지도 추상적이지도 않은 형태로 드러나는 이러한 비 규정화된 이미지 ‘되기’는 주변세계 안에서의 체험을 시각화함으로써 관람자들에게 그들 각자의 경험에 바탕한 여러 가지 다른 이미지 ‘찾기’로 전달되도록 하는 ‘의도된’ 열린 작품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억을 더듬어 그 체험의 공감대가 형성이 되게 하는 이것은 단순히 표현에 지나는 것이 아니라 그들에게 ‘기억 심기’와 더불어 ‘나’를 찾아가는 역할을 한다.
      본인은 개인의 경험들과 타인의 여러 경험들이 서로 얽혀져 있는 관계 속에서 사람들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둔 채, 현실의 모순을 극복하고 넘어서는 감성과 상상력으로 예술작품을 실현하고자 한다. 본인의 작품이 외부 세계와의 수많은 관계 속에서 마치 촉매제처럼 작용하길 바라고, 또한 자신의 아이덴티티(identity)와 주변의 현상에 대해 진지하게 질문하게 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대표작품 = ⅰ
      • 국문초록 = ⅱ
      • 영문초록 = ⅳ
      • 도판목록 = ⅷ
      • 서론 = 1
      • 대표작품 = ⅰ
      • 국문초록 = ⅱ
      • 영문초록 = ⅳ
      • 도판목록 = ⅷ
      • 서론 = 1
      • Ⅰ. Image의 논리에서 생성의 의미 = 1
      • 1. 이미지 ‘되기’, 그리고 ‘찾기’ = 3
      • 2. 감각이 만드는 이미지 - 들뢰즈의 ‘감각의 논리’를 중심으로 = 5
      • Ⅱ. 본인 작품에서의 이미지 형성 = 10
      • 1. ‘관계’ 속에서 생겨나는 경험 = 10
      • 2. 무의식의 직관적 표현 = 12
      • Ⅲ. 조형적 언어와 그 이미지의 전개 및 특성 = 16
      • 1. 시각적인 측면 = 16
      • 1) 구상과 추상의 경계 = 16
      • 2) 생성의 이미지 ‘되기 - 찾기’ = 19
      • 3) 색채와 드로잉 = 22
      • 2. 방법적인 측면 = 24
      • 1) 반복 패턴의 콜라쥬 = 24
      • 2) <다루어진> 보충적 우연성 = 27
      • 결론 = 30
      • 참고문헌 = 3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