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데이터 정제의 관점에서 본 한국문집총간 XML 문서 검토 = Reviewing XML between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data reprocess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171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perspective of data reprocessing,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the XML document of the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atabase among the oriental classic databases currently constructed.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is a book published b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end of Joseon Dynasty by selecting and imprinting major collections of Korean literature. From 1999 to 2021, the establishment of a database (DB) for a total of 500 books of 1,259 species was completed. The researchers divided the types of errors found in the process of reprocessing and using the DB between Korean literature as basic research data into four categories: page number mismatch, data addition, data omission, and, mismatched XML Chinese characters.
      As information technology is advance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ervice methods such as reprocessing DB or DB convergence service are required rather than simple database services. We hoped that the discussion on XML between the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examined in this paper will help build reliable research data.
      번역하기

      From the perspective of data reprocessing,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the XML document of the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atabase among the oriental classic databases currently constructed.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is a book published by t...

      From the perspective of data reprocessing,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the XML document of the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Database among the oriental classic databases currently constructed.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is a book published b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end of Joseon Dynasty by selecting and imprinting major collections of Korean literature. From 1999 to 2021, the establishment of a database (DB) for a total of 500 books of 1,259 species was completed. The researchers divided the types of errors found in the process of reprocessing and using the DB between Korean literature as basic research data into four categories: page number mismatch, data addition, data omission, and, mismatched XML Chinese characters.
      As information technology is advanced,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ervice methods such as reprocessing DB or DB convergence service are required rather than simple database services. We hoped that the discussion on XML between the Korean Anthologies Collection examined in this paper will help build reliable research dat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덕, "한국문집의 이체자 자형연구(2) -人,口,大,火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번역원 35 (35): 269-307, 2010

      2 "한국고전원문DB구축사업 제안요청서"

      3 서정화, "한국고전번역원의 주석DB 활용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고전번역원 45 : 69-96, 2015

      4 "한국고전번역원 DB"

      5 구영옥, "한국 고문서의 기술요소 선정과 고문서 XML DTD 설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6 김선미, "조선 후기 여성 전기문학을 통한 인문 관계 데이터 모델 연구–한국문집총간 수록 여성 전기문학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

      7 "정보산업연감" 한국전자산업진흥회 1999

      8 이돈석, "새 교육과정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매체활용법 모색(1) - 한국고전종합DB 고전용어 시소러스의 특징과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한문교육학회 (46) : 451-474, 2016

      9 이병찬,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한시 영향관계 분석을 위한 시론" 어문연구학회 94 : 107-129, 2017

      10 유인태, "디지털 인문학과 한문학 연구-고문헌 자료 대상 국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근역한문학회 49 : 43-76, 2018

      1 조성덕, "한국문집의 이체자 자형연구(2) -人,口,大,火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번역원 35 (35): 269-307, 2010

      2 "한국고전원문DB구축사업 제안요청서"

      3 서정화, "한국고전번역원의 주석DB 활용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고전번역원 45 : 69-96, 2015

      4 "한국고전번역원 DB"

      5 구영옥, "한국 고문서의 기술요소 선정과 고문서 XML DTD 설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6 김선미, "조선 후기 여성 전기문학을 통한 인문 관계 데이터 모델 연구–한국문집총간 수록 여성 전기문학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

      7 "정보산업연감" 한국전자산업진흥회 1999

      8 이돈석, "새 교육과정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매체활용법 모색(1) - 한국고전종합DB 고전용어 시소러스의 특징과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한문교육학회 (46) : 451-474, 2016

      9 이병찬, "빅데이터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한시 영향관계 분석을 위한 시론" 어문연구학회 94 : 107-129, 2017

      10 유인태, "디지털 인문학과 한문학 연구-고문헌 자료 대상 국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근역한문학회 49 : 43-76, 2018

      11 전종수, "국가지식정보자원의 관리현안과 활용화 방안" 14 (14): 47-54, 2007

      12 "공공데이터포털"

      13 정만호, "고전 번역에 끼치는 “한국고전종합DB”의 영향과 문제 개선 방안"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42 : 347-372, 2018

      14 김현, "고문헌 자료 XML 전자문서 편찬 기술에 관한 연구" 한국고문서학회 29 : 183-230, 2006

      15 문미진, "“한국고전종합DB”에 보이는 몇 가지 문제점 -詞에 나타난 誤脫字 및 句讀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고전번역원 53 : 175-198, 2019

      16 "Extensible Markup Language(XML)1. 0"

      17 "2011년도 신규 XML 변환기 개발 과업내용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근역한문학회(槿域漢文學會) -> 근역한문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7 0.53 1.005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