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축제 이미지가 방문객의 만족도, 재방문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세기축제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286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축제에 참가한 방문객들이 느끼는 지역축제에 대한 이미지를 파악하고, 축제에 대한 이미지가 방문객의 만족도, 재방문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방문객의 만족도...

      본 연구는 지역축제에 참가한 방문객들이 느끼는 지역축제에 대한 이미지를 파악하고, 축제에 대한 이미지가 방문객의 만족도, 재방문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방문객의 만족도가 축제를 다시 찾고자 하는 재방문 및 추천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축제 이미지 요인은 인지적 이미지, 정서적 이미지, 시설 이미지와 같이 3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3가지 요인 모두가 방문객이 느끼는 지역축제의 시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지만, 운영만족도에는 정서적 이미지만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축제의 재방문 및 추천의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지적이미지, 정서적 이미지, 시설 이미지 중에서도 축제장 접근성, 주변관광지와 축제장 연계, 축제장소의 적정성, 그리고 축제장과 주변환경의 조화 등과 같은 축제장에 대한 인지적 이미지, 즉 축제장의 입지요소가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방문객의 만족도와 재방문 및 추천의사를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인지적 이미지 향상에 노력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age of the feel of the local festival visitors participated in local festivals, the local festival image Impact on vistor’s satisfaction, revisit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In addition, empiric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age of the feel of the local festival visitors participated in local festivals, the local festival image Impact on vistor’s satisfaction, revisit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In addition, empirically how the visitor’s satisfaction impact on their revisit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nalysis showed that local festival image factor is derived by three factors, such as cognitive image factor, emotional image factor, facility image factor. All three factors ware seen as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visitor’s facilities satisfaction, but only emotional image of the three images was a factor affecting the visitor’s operating satisfaction.
      Above all should be considered cognitive image Among the three images(cognitive images, emotional images, facilities Images) To enhance the visitor’s revisit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hat the position of local festival be considered.
      Should try to raise the quality of cognitive images to improve the visitor’s satisfaction, revisit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t the same t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지역축제 이미지 및 선행연구
      • Ⅲ. 연구의 설계 및 방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지역축제 이미지 및 선행연구
      • Ⅲ. 연구의 설계 및 방법
      • Ⅳ. 실증분석 및 가설검증
      • Ⅴ.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승익, "축제 방문동기세분화에 따른 지각된 성과와 만족분석" 23 (23): 264-266, 2000

      2 장양례, "최초방문자와 재방문자간의 지역축제동기, 만족평가와 행동의도, 지역문화 인식비교연구" 11 (11): 167-191, 2007

      3 전대희, "지역축제의 핵심프로그램 가치가 고객기반 축제 브랜드자산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 보령 머드축제 핵심프로그램 참가자를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349-373, 2010

      4 이장주, "지역축제의 차별화 방안; 우리나라 6개지역축제 이미지를 중심으로" 18 (18): 12-, 2001

      5 이장주, "지역축제의 이미지 측정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22 (22): 12-, 1999

      6 최영조, "지역축제의 선택속성, 방문객 만족 및 행동의도 간의 관계 연구" 우송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7 유영준, "지역축제의 만족도에 관한 요구 : 청도소싸움축제를 사례로" 12 : 21-22, 2006

      8 이정실, "지역축제방문동기 세분화 및 만족의 차이"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4 (14): 143-156, 2002

      9 이상봉, "지역축제 환경단서가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백제문화제를 중심으로" 우송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10 김시중, "지역축제 방문객의 축제 이미지 평가에 따른 만족과 재방문 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 11 (11): 631-646, 2008

      1 고승익, "축제 방문동기세분화에 따른 지각된 성과와 만족분석" 23 (23): 264-266, 2000

      2 장양례, "최초방문자와 재방문자간의 지역축제동기, 만족평가와 행동의도, 지역문화 인식비교연구" 11 (11): 167-191, 2007

      3 전대희, "지역축제의 핵심프로그램 가치가 고객기반 축제 브랜드자산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 보령 머드축제 핵심프로그램 참가자를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349-373, 2010

      4 이장주, "지역축제의 차별화 방안; 우리나라 6개지역축제 이미지를 중심으로" 18 (18): 12-, 2001

      5 이장주, "지역축제의 이미지 측정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22 (22): 12-, 1999

      6 최영조, "지역축제의 선택속성, 방문객 만족 및 행동의도 간의 관계 연구" 우송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7 유영준, "지역축제의 만족도에 관한 요구 : 청도소싸움축제를 사례로" 12 : 21-22, 2006

      8 이정실, "지역축제방문동기 세분화 및 만족의 차이"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4 (14): 143-156, 2002

      9 이상봉, "지역축제 환경단서가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백제문화제를 중심으로" 우송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10 김시중, "지역축제 방문객의 축제 이미지 평가에 따른 만족과 재방문 의사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 11 (11): 631-646, 2008

      11 백승기, "지역축제 방문객의 만족도와 그 영향 요인에관한 연구 : 가락문화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0 (10): 137-156, 2006

      12 박미정, "지역축제 방문객의 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13 (13): 269-285, 2001

      13 우화우, "중국의 지역축제 이미지가 방문객 만족과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9

      14 오민재, "여행 목적과 관광객 만족에 의한 생태관광객 동기 세분화" 한국관광연구학회 22 (22): 277-290, 2008

      15 황용철, "문화마케팅이 제주 도시브랜드자산과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학회 31 (31): 73-87, 2013

      16 오수정, "문화마케팅 요인이 관광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탐라문화연구원 (49) : 265-294, 2015

      17 노원중, "문화관광축제 체험요소가 브랜드가치와 축제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강경발효젓갈축제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13 (13): 414-427, 2013

      18 김주연, "매체별 정보탐색이 축제의 이미지, 감정반응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6 (16): 82-95, 2016

      19 임재국, "농특산물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연구" 동양대학교 대학원 2010

      20 김병국, "관광지 이미지의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25 (25): 17-, 2001

      21 김덕경, "관광동기에 따른 관광지 이미지가 관광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28 (28): 95-111, 2004

      22 한응범, "관광동기로서 Push-Pull 요인이 관광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0

      23 문연희, "地域이미지와 祝祭이미지의 相互 因果關係" 한국관광학회 33 (33): 355-378, 2009

      24 R. A. Westbrook, "Value-Percept Disparity : An Alternative to the Discontinuation of Expectations Theory of Consumer Satisfaction" 10 : 1983

      25 G. Dann, "Tourist images of a destination : an alternative analysis" 5 : 41-55, 1996

      26 표원정, "SNS 관광정보가 지역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1

      27 D. K. Tse, "Models of Consumer Satisfaction Fromation : An Extension" 57 : 18-34, 1988

      28 A. Phelps, "Holiday destination Image : The Problem of Assessment : An Example Developed in Menorca" 7 (7): 168-180, 1986

      29 J. F. Engel, "Consumer Behavior" Holt, Rinehard and Winston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