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正祖代 御眞과 신하초상의 제작 -초상화를 통한 군신관계의 고찰- = The Portraits of the King and His Courtiers during Jeongjo’s Reign : The Monarch-Subject Relationship Reflected in Portrai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643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ng Jeongjo (r.1776-1800), following his grandfather King Yeongjo’s (r.1725-1776)precedent in which the king had his own portrait painted every ten years, ordered his portrait to be painted twice, in 1781 and in 1791. A custom of the reigning king having his portrait painted exist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but disappeared after King Sejong’s (r.
      1418-1450) time. The custom was revived centuries later during King Sukjong’s reign (1674-1720) and was inherited by King Yeongjo. Unlike the portrait of a deceased king, the portrait of a reigning monarch was not a commemorative work, but something that was meant to be venerated by his current subjects. With this custom revived, the portrait of a king once again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r and his subjects. Meanwhile, during Jeongjo’s reign, while the custom of painting the portrait of the reigning king was upheld,the associated practice of producing the so-called portraits of meritorious retainers was not revived. This imbalance makes the portraiture of the king in Jeongjo’s time, closely related to the portraiture of his courtiers, so interesting.
      During Jeongjo’s time, Kyujanggak was in charge of both the production and placement of his portraits. As a result, Kyujanggak became something close to a workshop of the king’s portrait artists, and its officials participating in the creation of the king’s image.When the king’s portrait was completed, it was housed in Kyujanggak, along with the portraits of Kyujanggak officials. Kyujanggak officials, further, regularly paid respects to the king’s portrait housed there. This royal portrait-related practice empowered Kyujanggak,and the king’s portrait, in turn, influenced, through Kyujangga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narch and his courtiers during Jeongjo’s reign.
      Jeongjo’s portrait influenced his relationship with his courtiers in a very concrete manner,also through the practice called cheommang and cheombae . While the king’s portrait was still in the process of being produced, Jeongjo and his courtiers gathered to look at the portrait in progress (cheommang ), having discussions, at the same tim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uzerain and vassals. When the king’s portrait was completed, Jeongjo’s courtiers were made to perform the ritual of bowing to the portrait (cheombae ). The portrait truly became the king’s portrait through the ritual of enshrinement, and the regularly-performed ritual of worshipping it, meanwhile, affirmed the monarch’s authority.
      In addition to gatherings related to his own portraits, Jeongjo also had gatherings about portraits of his officials; providing more occasions for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zerain and vassals. During gatherings for discussing the king’s portrait, portraits of Jeongjo’s courtiers were also on display. Jeongjo’s portrait artists, meanwhile, took part in the creation of portraits of Jeongjo’s courtiers. The stated purpose of viewing court officials’portraits was to use them as references in the creation of the king’s portrait, and the king’s order that the portrait of an official be painted was something akin to a reward to this official.
      But, the real effect of this gesture was far greater. Jeongjo used portraiture as a carrot and stick approach to controlling his courtiers by awarding or denying a portrait to them, as it suited his agenda. This strategy, in many cases, proved effective in eliciting an active response from his courtiers. Such process of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with a court official by awarding or denying a portrait can be seen in examples like the portrait of Chae Je-gong, created in 1791,following the completion of the king’s portrait.
      If Kyujanggak was a political space that the king co-inhabits with his courtiers through portraits, the creation of the king’s portrait was the significant event that created such a ritualistic space. In sum, in Jeongjo’s court, a port...
      번역하기

      King Jeongjo (r.1776-1800), following his grandfather King Yeongjo’s (r.1725-1776)precedent in which the king had his own portrait painted every ten years, ordered his portrait to be painted twice, in 1781 and in 1791. A custom of the reigning king ...

      King Jeongjo (r.1776-1800), following his grandfather King Yeongjo’s (r.1725-1776)precedent in which the king had his own portrait painted every ten years, ordered his portrait to be painted twice, in 1781 and in 1791. A custom of the reigning king having his portrait painted exist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but disappeared after King Sejong’s (r.
      1418-1450) time. The custom was revived centuries later during King Sukjong’s reign (1674-1720) and was inherited by King Yeongjo. Unlike the portrait of a deceased king, the portrait of a reigning monarch was not a commemorative work, but something that was meant to be venerated by his current subjects. With this custom revived, the portrait of a king once again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ler and his subjects. Meanwhile, during Jeongjo’s reign, while the custom of painting the portrait of the reigning king was upheld,the associated practice of producing the so-called portraits of meritorious retainers was not revived. This imbalance makes the portraiture of the king in Jeongjo’s time, closely related to the portraiture of his courtiers, so interesting.
      During Jeongjo’s time, Kyujanggak was in charge of both the production and placement of his portraits. As a result, Kyujanggak became something close to a workshop of the king’s portrait artists, and its officials participating in the creation of the king’s image.When the king’s portrait was completed, it was housed in Kyujanggak, along with the portraits of Kyujanggak officials. Kyujanggak officials, further, regularly paid respects to the king’s portrait housed there. This royal portrait-related practice empowered Kyujanggak,and the king’s portrait, in turn, influenced, through Kyujangga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narch and his courtiers during Jeongjo’s reign.
      Jeongjo’s portrait influenced his relationship with his courtiers in a very concrete manner,also through the practice called cheommang and cheombae . While the king’s portrait was still in the process of being produced, Jeongjo and his courtiers gathered to look at the portrait in progress (cheommang ), having discussions, at the same tim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uzerain and vassals. When the king’s portrait was completed, Jeongjo’s courtiers were made to perform the ritual of bowing to the portrait (cheombae ). The portrait truly became the king’s portrait through the ritual of enshrinement, and the regularly-performed ritual of worshipping it, meanwhile, affirmed the monarch’s authority.
      In addition to gatherings related to his own portraits, Jeongjo also had gatherings about portraits of his officials; providing more occasions for discu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zerain and vassals. During gatherings for discussing the king’s portrait, portraits of Jeongjo’s courtiers were also on display. Jeongjo’s portrait artists, meanwhile, took part in the creation of portraits of Jeongjo’s courtiers. The stated purpose of viewing court officials’portraits was to use them as references in the creation of the king’s portrait, and the king’s order that the portrait of an official be painted was something akin to a reward to this official.
      But, the real effect of this gesture was far greater. Jeongjo used portraiture as a carrot and stick approach to controlling his courtiers by awarding or denying a portrait to them, as it suited his agenda. This strategy, in many cases, proved effective in eliciting an active response from his courtiers. Such process of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with a court official by awarding or denying a portrait can be seen in examples like the portrait of Chae Je-gong, created in 1791,following the completion of the king’s portrait.
      If Kyujanggak was a political space that the king co-inhabits with his courtiers through portraits, the creation of the king’s portrait was the significant event that created such a ritualistic space. In sum, in Jeongjo’s court, a po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正祖(재위 1776~1800)는 10년마다 자신의 어진을 제작한 영조의 전례에 따라 1781년과 1791년 어진제작을 명하였다. 이처럼 왕이 재위시 자신의 초상을 제작한 전통은 世宗이후 사라졌다가 肅宗代에 부활한후 英祖에 의해 계승된 것이었다. 현임 왕의 어진은 죽은 先朝의 어진과는 달리 왕실 제향의 대상이 아니라신하들의 경배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어진은 다시 현재의 군신관계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정조대에는 어진에 대한 전통은 부흥하지만 공신도상은 그려지지 않아서 초상 제작이 불균형한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맥락에서 신하초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정조의 어진 제작 사례는 새롭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조는 어진의 제작과 봉안을 모두 奎章閣에서 맡아 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규장각 원내는 어진도사가 이루어지는 장이 되었으며, 규장각 각신들은 왕실의 성역에 참여하는 공신이 되었다. 어진이 완성된 후규장각은 어진과 규장각신의 초상이 함께 봉안된 곳이었으며, 어진이 규장각신의 의례를 받으며 정기적으로봉심되는 장소이기도 하였다. 이처럼 규장각은 어진을 통해 위상이 강화되었고, 어진은 규장각을 통해 현재군신관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정조의 어진이 현재적 영향력을 갖는 또 다른 지점은 신하들로부터 받는 ‘瞻望’과 ‘瞻拜’이다. 어진은제작 기간 동안 첨망을 통해 군신 관계에 대한 담론의 장을 마련하였다. 완성된 어진에게는 절하는 의식이포함된 첨배를 행하게 하였는데, 봉안 의례를 통해 정조의 초상화는 어진으로 거듭날 수 있었으며, 정기적인봉심 의례를 통해 국왕이 규장각에 현현하는 것을 재현할 수 있었다.
      정조의 어진 도사는 왕의 초상만이 아니라 신하 초상을 위한 자리를 마련함으로써 초상을 통한 군신관계의 논의를 확대하였다. 어진을 논하는 같은 자리에서 신하 초상이 열람되었으며, 어진을 제작한 화사에의해 참여 신하들의 초상이 제작되었다. 신하 초상이 열람된 명목은 어진 제작에 참고하기 위함이었고, 신하 초상의 제작은 공로에 대한 포상의 성격을 띠었지만 실제적인 효과는 이를 넘어섰다. 정조는 신하 초상을회유와 견제의 방편으로 사용하였고, 이는 적극적으로 신하의 응답을 이끌어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1791년 어진 도사후 그려진 蔡濟恭의 초상화들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규장각이 어진과 신하 초상이 공존하는 정치적 공간이었다면 어진도사는 이들이 의례적 맥락에서 보여질 수 있게 한 계기였다. 결국 규장각에서의 어진도사를 통해 정조의 조정에서 초상화는 죽은 자를 추모하는 기념물에서 나아가 현재의 군신관계를 정립하는 매개가 되었던 것이다.
      번역하기

      正祖(재위 1776~1800)는 10년마다 자신의 어진을 제작한 영조의 전례에 따라 1781년과 1791년 어진제작을 명하였다. 이처럼 왕이 재위시 자신의 초상을 제작한 전통은 世宗이후 사라졌다가 肅宗代...

      正祖(재위 1776~1800)는 10년마다 자신의 어진을 제작한 영조의 전례에 따라 1781년과 1791년 어진제작을 명하였다. 이처럼 왕이 재위시 자신의 초상을 제작한 전통은 世宗이후 사라졌다가 肅宗代에 부활한후 英祖에 의해 계승된 것이었다. 현임 왕의 어진은 죽은 先朝의 어진과는 달리 왕실 제향의 대상이 아니라신하들의 경배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어진은 다시 현재의 군신관계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정조대에는 어진에 대한 전통은 부흥하지만 공신도상은 그려지지 않아서 초상 제작이 불균형한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맥락에서 신하초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정조의 어진 제작 사례는 새롭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조는 어진의 제작과 봉안을 모두 奎章閣에서 맡아 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규장각 원내는 어진도사가 이루어지는 장이 되었으며, 규장각 각신들은 왕실의 성역에 참여하는 공신이 되었다. 어진이 완성된 후규장각은 어진과 규장각신의 초상이 함께 봉안된 곳이었으며, 어진이 규장각신의 의례를 받으며 정기적으로봉심되는 장소이기도 하였다. 이처럼 규장각은 어진을 통해 위상이 강화되었고, 어진은 규장각을 통해 현재군신관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정조의 어진이 현재적 영향력을 갖는 또 다른 지점은 신하들로부터 받는 ‘瞻望’과 ‘瞻拜’이다. 어진은제작 기간 동안 첨망을 통해 군신 관계에 대한 담론의 장을 마련하였다. 완성된 어진에게는 절하는 의식이포함된 첨배를 행하게 하였는데, 봉안 의례를 통해 정조의 초상화는 어진으로 거듭날 수 있었으며, 정기적인봉심 의례를 통해 국왕이 규장각에 현현하는 것을 재현할 수 있었다.
      정조의 어진 도사는 왕의 초상만이 아니라 신하 초상을 위한 자리를 마련함으로써 초상을 통한 군신관계의 논의를 확대하였다. 어진을 논하는 같은 자리에서 신하 초상이 열람되었으며, 어진을 제작한 화사에의해 참여 신하들의 초상이 제작되었다. 신하 초상이 열람된 명목은 어진 제작에 참고하기 위함이었고, 신하 초상의 제작은 공로에 대한 포상의 성격을 띠었지만 실제적인 효과는 이를 넘어섰다. 정조는 신하 초상을회유와 견제의 방편으로 사용하였고, 이는 적극적으로 신하의 응답을 이끌어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1791년 어진 도사후 그려진 蔡濟恭의 초상화들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규장각이 어진과 신하 초상이 공존하는 정치적 공간이었다면 어진도사는 이들이 의례적 맥락에서 보여질 수 있게 한 계기였다. 결국 규장각에서의 어진도사를 통해 정조의 조정에서 초상화는 죽은 자를 추모하는 기념물에서 나아가 현재의 군신관계를 정립하는 매개가 되었던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진성, "황제와 화가들-건륭제와 궁정회화" 2010

      2 장인석, "화산관 이명기 회화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2007

      3 趙善美, "한국의 초상화-形과 影의 예술" 돌베개 2009

      4 강관식, "털과 눈: 조선시대 초상화의 祭儀的 命題와 造形的 課題" 한국미술사학회 (248) : 95-129, 2005

      5 권오창, "태조 어진 모사과정에 대한 고찰, In 왕의 초상:慶基展과 太祖 李成桂" 국립전주박물관 279-289, 2005

      6 이태호, "채제공 초상 일괄, In 한국의 초상화" 눌와 2007

      7 강관식, "진경시대 초상화 양식의 이념적 기반" 돌베개 2 : 261-317, 1998

      8 유재빈, "조선후기 어진 관계 의례 연구 :의례를 통해 본 어진의 기능"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0) : 74-99, 2011

      9 김지영, "조선후기 影幀 模寫와 眞殿 營建에 대한 고찰, in 규장각 소장 분류별 의궤 해설집"

      10 김진영, "조선후기 宗廟 및 永禧殿의 증수와 관련의궤, In 규장각 소장 분류별 의궤 해설집"

      1 장진성, "황제와 화가들-건륭제와 궁정회화" 2010

      2 장인석, "화산관 이명기 회화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2007

      3 趙善美, "한국의 초상화-形과 影의 예술" 돌베개 2009

      4 강관식, "털과 눈: 조선시대 초상화의 祭儀的 命題와 造形的 課題" 한국미술사학회 (248) : 95-129, 2005

      5 권오창, "태조 어진 모사과정에 대한 고찰, In 왕의 초상:慶基展과 太祖 李成桂" 국립전주박물관 279-289, 2005

      6 이태호, "채제공 초상 일괄, In 한국의 초상화" 눌와 2007

      7 강관식, "진경시대 초상화 양식의 이념적 기반" 돌베개 2 : 261-317, 1998

      8 유재빈, "조선후기 어진 관계 의례 연구 :의례를 통해 본 어진의 기능"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10) : 74-99, 2011

      9 김지영, "조선후기 影幀 模寫와 眞殿 營建에 대한 고찰, in 규장각 소장 분류별 의궤 해설집"

      10 김진영, "조선후기 宗廟 및 永禧殿의 증수와 관련의궤, In 규장각 소장 분류별 의궤 해설집"

      11 조인수, "조선 후반기 어진의 제작과 봉안, In 다시 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 국립문화재연구소 6-33, 2007

      12 조인수, "조선 초기 태조 어진의 제작과 태조 진전의 운영"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3 : 116-153, 2004

      13 정옥자, "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효형출판 2001

      14 조인수, "전통과 권위의 표상 : 高宗代의 太祖 御眞과 眞殿" 미술사연구회 (20) : 29-56, 2006

      15 국립전주박물관, "왕의 초상-慶基展과 太祖 李成桂" 국립전주박물관 2005

      16 유재빈, "어제(御製)가 있는 근신(近臣) 초상" 53 : 153-176, 2010

      17 조인수, "세종대의 어진과 진전, In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권" 사회평론 160-179, 2006

      18 한영우, "문화정치의 산실, 규장각" 지식산업사 2008

      19 박은순, "명분인가, 실재인가-조선 초기 궁중회화의 양상과 기능(1), In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1권: 한국 및 동양의 회화" 사회평론 132-159, 2006

      20 김문식, "규장각: 그 역사와 문화의 재발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21 이수미, "경기전 태조어진(御眞)의 제작과 봉안(奉安), In 왕의 초상:慶基展과 太祖 李成桂" 국립전주박물관 228-241, 2005

      22 조인수, "경기전 태조 어진과 진전의 성격: 중국과의 비교적 관점을 중심으로, In 왕의 초상-慶基展과 太祖 李成桂" 국립전주박물관 266-278, 2005

      23 이수미, "경기전 태조 어진(御眞)의 조형적 특징과 봉안의 의미" 미술사학연구회 (26) : 5-32, 2006

      24 趙興胤, "韓國裝潢史料(1)-影幀模寫都監儀軌" 연세대국학연구원 57 : 177-195, 1988

      25 趙善美, "韓國肖像畵硏究" 悅話堂 1983

      26 安輝濬, "韓國 肖像畵 槪觀" 예경산업사 10 : 222-219, 1984

      27 "金陵集 (韓國文集叢刊 v. 272, 民族文化推進會, 2001 영인)"

      28 정은주, "赴京使行에서 제작된 朝鮮使臣의 肖像" 명청사학회 33 (33): 1-40, 2010

      29 윤진영, "藏書閣 所藏 『御眞圖寫事實』의 正祖~哲宗代 御眞圖寫"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1 : 283-336, 2004

      30 "英祖實錄"

      31 김지영, "英祖代 眞殿政策과 <影幀模寫都監儀軌>, In 규장각 소장 의궤 해제집 2"

      32 陣準鉉, "英祖,正祖代 御眞圖寫와 畵家들" 서울대학교 박물관 6 : 19-72, 1994

      33 "肅宗實錄"

      34 김지영, "肅宗代 眞殿制度의 정비와 《(太祖)影幀模寫圖鑑儀軌》" 1 : 627-637, 2003

      35 陣準鉉, "肅宗代 御眞圖寫와 畵家들" 한국대학박물관협회 46 : 89-119, 1995

      36 김지영, "肅宗·英祖代 御眞圖寫와 奉安處所 확대에 대한 고찰" 서울대학교 규장각 27 : 55-76, 2004

      37 "正祖實錄"

      38 "樊巖集(韓國文集叢刊, v. 235-6, 民族文化推進會, 1999 영인)"

      39 趙善美, "朝鮮王朝時代의 御眞製作過程에 관하여" 한국미학회 6 : 3-23, 1979

      40 趙善美, "朝鮮王朝時代에 있어서의 眞殿의 發達-文獻上에 나타난 記錄을 中心으로" 한국미술사학회 145 : 10-23, 1980

      41 李成美, "朝鮮王朝 御眞關係 圖鑑儀軌, In 朝鮮時代御眞都監儀軌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42 李成美, "朝鮮時代御眞都監儀軌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43 김성희, "朝鮮時代 御眞에 관한 硏究: 儀軌를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0

      44 權赫山, "朝鮮中期 功臣畵像에 관한 硏究" 홍익대학교 2007

      45 "景宗實錄"

      46 "春官通考"

      47 "日省錄"

      48 "承政院日記"

      49 李康七, "御眞圖寫과정에 대한 小考-李朝 肅宗朝를 중심으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1 : 3-21, 1973

      50 "定宗實錄"

      51 최석원, "姜世晃 自畵像 硏究" 서울대학교 2008

      52 "奎章閣志"

      53 "太宗實錄"

      54 유홍준, "天理大學校 소장 『肖像畵帖』해제, In 『해외소장 한국문화재-일본소장 4』 v.7" 한국국제교류재단 378-390, 1997

      55 "國朝續五禮儀((국역)국조오례의 5, 법제처, 1982 영인)"

      56 "國朝五禮儀((국역)국조오례의 1~4, 법제처, 1981~1982년 영인)"

      57 이강칠, "哲宗大王御眞 복원에 대한 小考" 국립문화재연구소 (20) : 219-238, 1987

      58 "內閣日曆"

      59 김 혁, "乾隆二十九年二月 日慶基殿影幀後面加褙謄錄 :慶基殿 太祖影幀의 修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7 : 275-304, 2002

      60 장진아, "≪登俊試武科圖像帖≫의 공신도상적 성격" 국립중앙박물관 (78) : 61-93, 2009

      61 김지영, "18세기 後半 國家典禮의 정비와 『春官通考』" 114 : 118-122, 2004

      62 김지영, "1837年(憲宗3)濬源殿 太祖影幀 파괴사건과 <影幀模寫都監儀軌>, In 규장각 소장 의궤 해제집 3"

      63 김진영, "1836년(헌종2) 宗廟 및 永禧殿 增修와 《宗廟永禧殿增修都監儀軌》, In 규장각 소장 의궤 해제집 3"

      64 김지영, "1713年(肅宗 39)御眞 圖寫와 <御容圖寫都監儀軌>, in 규장각 소장 의궤 해제집"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04 1.59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