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국유지의 공익적 활용 측면에서 서울현충원의 운영제도 개선 및 공간 활용을 통해 서울현충원의 활성화를 위한 중요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활성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78024
서울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8
학위논문(박사)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 부동산학과 부동산학 전공 , 2018
2018
한국어
321.32 판사항(6)
333.33 판사항(23)
서울
x, 149 p.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최민섭
권말부록: AHP 분석용 설문지 ; 회귀분석용 설문지
참고문헌: p. 123-13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유지의 공익적 활용 측면에서 서울현충원의 운영제도 개선 및 공간 활용을 통해 서울현충원의 활성화를 위한 중요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활성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시...
본 연구의 목적은 국유지의 공익적 활용 측면에서 서울현충원의 운영제도 개선 및 공간 활용을 통해 서울현충원의 활성화를 위한 중요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활성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 검토 및 국립묘지 관련 전문가의 1대1 인터뷰를 통해 AHP 분석 측정항목의 변수를 정리한 후, AHP 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 연구모형의 변수를 추출하고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유효표본 781명을 실증분석 데이터로 구축하여 서울현충원의 활성화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들의 영향력 분석을 진행하여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 되었으며, 영향력 순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현충원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내ㆍ외국인 관광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운영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람들이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여 서울현충원에 지속적으로 관광객을 유치하는 것이 서울현충원의 활성화에 가장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는 의미이다.
둘째, 서울현충원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복합문화공간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것이 효과가 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현충원의 유효공간을 활용하여 복합문화공간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것이 서울현충원의 활성화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는 의미이다.
셋째, 서울현충원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친근감 있는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효과가 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현충원의 내ㆍ외부공간을 친근감 있는 분위기나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사람들이 찾아올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면 서울현충원의 활성화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는 의미이다.
넷째, 서울현충원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호국ㆍ보훈 이미지를 홍보하는 것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현충원에 사람들이 찾아오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울현충원의 의미와 상징성을 더욱 더 강조하여 사람들에게 인지시키고 각인시키는 대외 홍보와 마케팅이 서울현충원의 활성화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는 의미이다.
마지막으로 서울현충원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어린이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현충원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체험학습이나 현장견학 등이 가능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서울현충원의 활성화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는 의미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 결과 및 시사점을 바탕으로 서울현충원의 활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도입이 필요한 보유 공간 활용 및 프로그램 신설에 대한 세부 실행방안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국가보훈학』, 유영옥, 홍익재, 서울: 홍익재, , 2005
2. 미국의 보훈제도, 안형주, 국가보훈처/보훈교육연구원, , 2005
3. 호주의 보훈제도, 신기헌, 한국보훈학회, 국가보훈처, , 2005
4. EXCEL 활용 의사결정, 박광태, 박영사, , 2012
5. 프랑스의 보훈제도, 신오식, 국가보훈처, , 2005
6. 「한국보훈정책론」, 김종성, 일진사, 서울: 일진사, , 2005
7. 국가보훈과 국민통합, 유영옥, 김성영, 다온, 수원: 다온, , 2011
8. 국립묘지 종합발전방안 연구, 박복순, 김시덕, 정철주, 이필도, 정경균, 고호동, 박태호, 이숙미, 국가보훈처/(사)한국장묘문화개혁 범국민협의회, , 2009
9. 한국 보훈선양정책 발전방안, 정일권,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0
10. 국립묘지 운영현황과 발전방향, 박종서, 이필도, 이삼식, 고덕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방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00
1. 『국가보훈학』, 유영옥, 홍익재, 서울: 홍익재, , 2005
2. 미국의 보훈제도, 안형주, 국가보훈처/보훈교육연구원, , 2005
3. 호주의 보훈제도, 신기헌, 한국보훈학회, 국가보훈처, , 2005
4. EXCEL 활용 의사결정, 박광태, 박영사, , 2012
5. 프랑스의 보훈제도, 신오식, 국가보훈처, , 2005
6. 「한국보훈정책론」, 김종성, 일진사, 서울: 일진사, , 2005
7. 국가보훈과 국민통합, 유영옥, 김성영, 다온, 수원: 다온, , 2011
8. 국립묘지 종합발전방안 연구, 박복순, 김시덕, 정철주, 이필도, 정경균, 고호동, 박태호, 이숙미, 국가보훈처/(사)한국장묘문화개혁 범국민협의회, , 2009
9. 한국 보훈선양정책 발전방안, 정일권,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0
10. 국립묘지 운영현황과 발전방향, 박종서, 이필도, 이삼식, 고덕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방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00
11. 묘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장동훈, 동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2005
12. 국립묘지 안장수요 및 안장추계 분석, 이영자, 보훈교육연구원, , 2015
13. 보훈제도의 국제 비교 및 시사점 연구, 이효재, 서운석, 김태열, 형시영, 박지연, 김학수, 국가보훈처/보훈교육연구원, , 2009
14. 국립서울현충원 종합발전 계획안 연구, 권기정, 권상호, 오정학, 김한영, 김미정, 한국산업개발연구원, , 2008
15. 현충시설 통합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 김서용, 이홍재, 김평, 왕재선, 형시영, 보훈교육연구원, , 2014
16. 국립묘지와 보훈: 추모와 기억의 상징성, 형시영, 하상복, 필코in, 국가 보훈처, , 2013
17.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묘지제도 발전방향, 이삼식,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11
18. 국립묘지 운영실태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정길호, 김안식, 최광표, 한국국방연구원, , 2001
19. 국립대전현충원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용역, 권상호, 공선영, 권기정, 정영호, 김미정, 한국산업개발연구원, , 2007
20. 현충시설의 효율적 관리 및 활용 방안 연구, 류호철, 이효재, 이영자, 김관영,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보훈교육연구원, 국가보훈처, , 2010
21. 『앞서가는 리더들의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조근태, 동현출판사, , 2003
22. 우리나라 국립묘지 제도 및 운영에 관한 연구, 길현섭,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2
23. 현충시설관리의 거버넌스 체계 구축방안 연구, 형시영, 한국 나라사랑학회, , 2014
24. 호국용사묘지 안장제도 및 설치 운영 발전방향, 박종서, 하미영, 박미연, 이삼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가보훈처/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02
25. 국립묘지 방문객의 이미지 형성요인과 제고방안, 이효재, 이영자, 보훈교육연구원, , 2013
26. 국립묘지를 활용한 현충선양활동 발전방안 연구, 나관식, 사회 문화정책연구원, , 2013
27. 효율적인 국토관리를 위한 묘지제도에 관한 연구, 이성춘, 건국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87
28. 국립묘지 방문 활성화를 위한 이미지 측정 및 분석, 오주희, 형시영, 이효재, 이영자,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보훈교육연구원, 국가보훈처/보훈교육연구원, , 2009
29. 우리나라 시한부분묘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고덕기,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6
30. 국립묘지 안장대상 심의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김대근, 박학모, 국가보훈처, , 2013
31. 현충시설의 관광자원화 전략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이효재, 윤현호, 이훈, 이영자, 정찬영, 국가보훈처, , 2012
32. 국민과 함께하는 국립묘지 현충선양프로그램 개발연구, 이효재, 서운석, 형시영, 이용재, 이영자, 국가보훈처/보훈교육연구원, , 2008
33. 국립묘지 운영 및 관리현황과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김성봉, 이슈와 논점, 1232, 1∼4, , 2016
34. 현장 체험학습장으로서의 도시묘지 활용, 한국 조경학회, 오충현, 이숙미, 조경학회지, 40(6). 98∼111, , 2012
35. 국립현충원 봉안당 계획안, 연속적 공간 체험을 중심으로, 조헌,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3
36. 국립묘지 안장대상 국가,사회공헌자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이완범, 이상호, 국가보훈처/한국학중앙연구원, , 2008
37. 도시묘지의 이용행태 특성 및 이용자 만족도, 한국생태학회, 이숙미, 오충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 82∼83, , 2013
38. 나라사랑정신 함양을 위한 국가 보훈 상징기능 관리 방안 연구, 최용수, 형시영, 하상복, 정원섭, 국가보훈처/보훈교육연구원, , 2011
39. 부동산경매 특성에 있어서 AHP를 통한 위험 요인분석, 국토연구원, 유선종, 문희명, 국토연구, 60, 139∼156, , 2009
40. 보훈이념을 통해서 본 대한민국의 국가정체성 연구, 한국보훈학회, 김주환, 한국보훈논총, 14(2). 39∼69, , 2015
41. 한국에 있는 베트남전쟁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 한국조경학회, 이상석, 한국조경학회지, 44(4). 22∼34, , 2016
42. 국가보훈의 제도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형시영, 국가정책연구, 25(2). 81∼102, , 2011
43. 국립묘지 조성사업의 필요성과 법제화 방안,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허강무, 법학연구, 29, 183∼205, , 2009
44. 우리나라 장사법의 변천과 입법의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이동찬, 토지공법연구, 제72집, 399∼418, , 2015
45. 부동산 중개사고 예방을 위한 중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김선웅, 최민섭, 주거환경, 13(3). 195∼210, , 2015
46. 국민의 나라사랑정신 함양을 위한 정책 방안 및 진흥원 설립 타당성 검토, 박용성, 이창원, 임승빈, 국가보훈처, , 2011
47. 회원제 골프장의 대중제 전환시 중요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최민섭, 구본승, 주거환경, 14(1). 171∼191, , 2017
48. 이정표, 최정신, 방선이, 장현주, 전동진 국제보훈 동향 연차보고서(제3차) 캐나다, 이영자, 이효재, 국가보훈처, , 2014
49. 국립묘지의 국가보훈 상징기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립대전현충원을 중심으로, 이종경,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2
50. 무주택 임차인을 위한 아파트 구매의사결정 중요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이재승, 최민섭, 주거환경, 12(3). 241∼256, , 2014
51. AHP 분석을 이용한 개인 커피전문점 창업 성공요인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최민섭, 한진명, 주거환경, 14(2). 255∼272, , 2016
52. 기념의 정치학 : 동작동 국립묘지의 형성과 그 문화 정치적 의미,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김종엽, 인문과학 제86집, 13∼41, , 2004
53. 서울현충원의 운영제도 개선 및 공간 활성화를 위한 중요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최민섭, 김현동, 주거환경, 16(1). 181∼199, , 2018
54. 보훈문화 확산을 위한 현충시설의 활용방안 모색: 장소 마케팅 전략의 차원에서, 한국보훈학회, 전신욱, 한국보훈논총, 7(2). 5∼41, ,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