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을 위한 인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The Effect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819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Lee et al.(2008). The effects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were analyzed by utilizing the Korean ego-identity scale developed by Park(2003) and the perceived self-competence scale adapted by Lee(1994). The pre-test and post-test of each was conducted on 1,453 freshmen in D university during a 13 week period. 815 pairs of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For ego-identity, the results showed that subjectivity and intimacy were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For the item concerning perceived self-competence, the levels of scholastic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were improved significantly in terms of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and the male students. These results could lead to the conclusion that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can help improve ego-identity and positively perceived self-compete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Lee et al.(2008). The effects of the character 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Lee et al.(2008). The effects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were analyzed by utilizing the Korean ego-identity scale developed by Park(2003) and the perceived self-competence scale adapted by Lee(1994). The pre-test and post-test of each was conducted on 1,453 freshmen in D university during a 13 week period. 815 pairs of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For ego-identity, the results showed that subjectivity and intimacy were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For the item concerning perceived self-competence, the levels of scholastic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were improved significantly in terms of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and the male students. These results could lead to the conclusion that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can help improve ego-identity and positively perceived self-compet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명자, "한국 중⋅고⋅대학생 심리,시회적 성숙성 진단 및 평가" 7 (7): 53-73, 1994

      2 전제아, "한국 대학에서의 인성 교육 과정 사례 분럭-서울 소재 4개 대학교를 중심으로" 인간학연구소 31 (31): 5-31, 2005

      3 허정철, "전인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정체감 형성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11 (11): 241-270, 2004

      4 이주희, "인성함양" 동신대학교 출판부 2008

      5 한국교육학회, "인성교육" 문음사 1998

      6 이형득, "인간관계훈련의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1982

      7 서봉연, "서울대생의 심리사회성숙성에 관한 연구" 28 (28): 1-31, 1999

      8 이현림, "생활지도" 양서원 2007

      9 양혜란, "대학의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15 (15): 1-28, 2006

      10 송명자, "대학의 교양강좌를 이용한 인간관계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269-291, 2008

      1 송명자, "한국 중⋅고⋅대학생 심리,시회적 성숙성 진단 및 평가" 7 (7): 53-73, 1994

      2 전제아, "한국 대학에서의 인성 교육 과정 사례 분럭-서울 소재 4개 대학교를 중심으로" 인간학연구소 31 (31): 5-31, 2005

      3 허정철, "전인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아정체감 형성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11 (11): 241-270, 2004

      4 이주희, "인성함양" 동신대학교 출판부 2008

      5 한국교육학회, "인성교육" 문음사 1998

      6 이형득, "인간관계훈련의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1982

      7 서봉연, "서울대생의 심리사회성숙성에 관한 연구" 28 (28): 1-31, 1999

      8 이현림, "생활지도" 양서원 2007

      9 양혜란, "대학의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15 (15): 1-28, 2006

      10 송명자, "대학의 교양강좌를 이용한 인간관계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269-291, 2008

      11 최용학, "대학에서의 인성교육의 의의와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평택대학교를 중심으로" 887-908, 2002

      12 김희진,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5 : 369-393, 2001

      13 김선애,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과 관련 변인" 10 (10): 45-60, 1989

      14 신정혜,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내적통제성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2003

      15 장동원, "대학생의 인성교육 필요성과 대학생활 지도방안" 7 (7): 1-8, 1999

      16 주은선, "대학생들의 인간관계 향상에 도움이 되는 수업모형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21 : 23-41, 2005

      17 이영애, "대학 중도탈락자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9 (9): 95-104, 2006

      18 김동원,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의 효과 개관" 한국상담학회 5 (5): 1035-1049, 2004

      19 이명숙, "기질 및 또래 지지가 청소년의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단기 종단적 패널 연구" 연세대학교 1994

      20 전국경제인연합회, "기업이 바라는 인재상 및 이의 실현방안" 전국경제인연합회 2004

      21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에 대한 기업 CEO의 의식조사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4

      22 이주, "광주․전남 기업의 적응적인 직원 인성 특성" 17 : 363-384, 2008

      23 박은아, "가족구조 학교생활 및 가정생활적응에 따른 여고생의 자아정체감" 이화여자대학교 1993

      24 박아청, "‘한국형 자아정체감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7 (17): 373-392, 2003

      25 Harter,S,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53 (53): 87-97, 1982

      26 Guerney,B.G, "Relationship enhancement: Skill training program for therapy, program prevention, and enrichment" Jossey-Bass 1991

      27 Allport,G, "Pattern and growth in personality" Holt, Rinehart & Winston 1961

      28 Erikson,E.H, "Identity: Youth and crisis" W. W. Norton 1968

      29 Mahoney,M.J, "Human change process" Basic Books 1991

      30 Corey, M. S., "Groups: process and practice(7th ed.)" Brooks/ Cole 2006

      31 Tooselad, R. W., "An introduction of group work practice" Allyn & Bacon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8 1.88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5 2.02 2.36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