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So-wol’s period of activity falls under the “Post March 1st Movement”. This study focused on reinterpreting Kim So-wol's poetic world, focusing on 'Mentalités', which creates atmosphere before and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I have establ...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93824
신동옥 (한국항공대학교)
2020
Korean
김소월 ; 진달내ᄭᅩᆺ ; 망탈리테 ; 집합 주체 ; 3․1운동 ; Kim So-wol ; Jindalnaekkot ; Collective Subjects ; Mentalités ; March 1st Movement
KCI등재
학술저널
181-217(3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So-wol’s period of activity falls under the “Post March 1st Movement”. This study focused on reinterpreting Kim So-wol's poetic world, focusing on 'Mentalités', which creates atmosphere before and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I have establ...
Kim So-wol’s period of activity falls under the “Post March 1st Movement”. This study focused on reinterpreting Kim So-wol's poetic world, focusing on 'Mentalités', which creates atmosphere before and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I have established a assumption for discussion by reading the dominant interpretation that internalized the roll play ego and embodied the fundamental feeling of the nation as the rhythm of folk song in a different way. Collective emotions are the basis of public memory, and changes in societies close to revolution trigger long-lasting structure of feelings. In the case of culture of the time, especially literature, it reflects and represents the emotional structure through the literary language as a mental equipment. After redefining the logic of poetry, you can read the poetic world of So-wol as the internal monologue of the collective subjects. Also, the order of spatial representation revealed in poetry can be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the Mentalités of the time. This study interpreted Kim So-wol's poetic subject and place representation as a poetic struggle to accept the identity of 'land' as the result of the March 1st Movement at the level of 'loss of loss' and to aim for 'reality' through self-denial. To this end, the results of various interdisciplinary studies were collected, and it was concluded that Sowol's poems were renamed or found one step further in reflecting Mentalités of March 1st Movement.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자, "현대시의 공간의식 연구" 서울대 1986
2 김창수,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집 이미지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1
3 Zizek, Slavoj, "포스트맑스주의?" 민맥 1992
4 김소월, "진달내꽃" 매문사 1925
5 정선태, "지도의 상상력" 산처럼 2006
6 김명섭, "조선과 한국: 두 지정학적 관념의 연속과 분화" 한국정치연구소 25 (25): 111-136, 2016
7 조윤정, "작문수업과 문예부, 문학청년의 망탈리테" 상허학회 34 : 11-54, 2012
8 유선영, "일제 식민 지배와 헤게모니 탈구: ‘부재하는 미국’의 헤게모니" 한국사회사학회 (82) : 83-121, 2009
9 황의룡, "식민초기 조선의 교육잡지를 통해 본학교위생 및 체육교육 연구: 1910~1931년의 만주사변 전까지를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22 (22): 645-680, 2013
10 駒込 武, "식민지제국 일본의 문화통합: 조선⋅대만⋅만주⋅중국 점령지에서의 식민지 교육" 역사비평사 2008
1 김은자, "현대시의 공간의식 연구" 서울대 1986
2 김창수,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집 이미지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1
3 Zizek, Slavoj, "포스트맑스주의?" 민맥 1992
4 김소월, "진달내꽃" 매문사 1925
5 정선태, "지도의 상상력" 산처럼 2006
6 김명섭, "조선과 한국: 두 지정학적 관념의 연속과 분화" 한국정치연구소 25 (25): 111-136, 2016
7 조윤정, "작문수업과 문예부, 문학청년의 망탈리테" 상허학회 34 : 11-54, 2012
8 유선영, "일제 식민 지배와 헤게모니 탈구: ‘부재하는 미국’의 헤게모니" 한국사회사학회 (82) : 83-121, 2009
9 황의룡, "식민초기 조선의 교육잡지를 통해 본학교위생 및 체육교육 연구: 1910~1931년의 만주사변 전까지를 중심으로" 대한의사학회 22 (22): 645-680, 2013
10 駒込 武, "식민지제국 일본의 문화통합: 조선⋅대만⋅만주⋅중국 점령지에서의 식민지 교육" 역사비평사 2008
11 진순애, "소월 시의 원형상징 패턴과 탈근대성" 우리말글학회 38 : 353-381, 2006
12 김용직, "사회운동으로 본 3⋅1 운동" 한국정치학회 28 (28): 51-79, 1994
13 김영범, "민중의 귀환, 기억의 호출: 민중사 심화와 기억사회학" 한국학술정보(주) 2010
14 오현아, "문장부호 느낌표 도입의 사적 고찰에 대한 시론 - 근대 잡지 <창조> 창간호를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48) : 99-127, 2018
15 김영범, "망탈리테사 심층사의 한 지평" 한국사회사학회 (31) : 258-335, 1991
16 Edensor, Tim, "대중문화와 일상, 그리고 민족 정체성" 이후 2008
17 권정우, "김소월의 전기적 사실 비판적 고찰" 구보학회 (15) : 120-150, 2016
18 김소월, "김소월 시전집" 문학사상 2007
19 김효재, "김소월 시의 사상적 배경 연구 : 오산학교의 이상향 추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0 박호영, "김소월 시에 나타난 반식민주의적 성향" 한국시학회 (13) : 159-185, 2005
21 심재휘, "김소월 시에 나타나는 공간의 근대성" 우리문학회 (56) : 423-456, 2017
22 김동리, "김동리 평론 선집" 지만지 2015
23 김윤식, "韓國現代詩論批判" 일지사 1986
24 김 억, "詩壇의 一年" (42) : 39-51, 1923
25 김소월, "素月詩抄" 박문서관 1939
26 김기진, "現 詩壇의 詩人(承前)" (58) : 1925
27 앙리 르페브르, "[단행본]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28 임규찬, "3?1운동 전후의 작가와 문학적 근대성 - 이광수?김동인?염상섭의 비평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소 24 : 281-304, 2004
29 박찬승, "3⋅1민족해방운동연구: 3⋅1운동 70주년 기념논문집" 청년사 1989
30 김용직, "3.1 運動과 집합행동: 역사사례데이터 분석을 통한 硏究" 한국정치학회 36 (36): 91-114, 2002
31 류시현, "1920년대 삼일운동에 관한 기억 - 시간, 장소 그리고 ‘민족/민중’" 한국역사연구회 (74) : 175-202, 2009
32 김종식, "1919년 일본의 조선문제에 대한 정치과정―인사와 관제개혁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26) : 273-302, 2007
33 김형국, "1919~1921년 한국 지식인들의 ‘改造論’에 대한 인식과 수용에 대하여" 충남대학교 사학회 (11) : 119-145, 1999
무의미 시론과 비대상 시론의 의미 구성 기제에 관한 인지시학적 연구
한국 현대시교육의 현황과 과제―고등학교 국어과 교재에 나타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 2021-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2005-05-2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시학연구외국어명 : The Korean Poetics Studies |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67 | 0.67 | 0.74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0.74 | 0.71 | 1.36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