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학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간의 상관성 연구 =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Transmedia Storytelling : Focusing on the novels of Honoré de Balza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372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transmedia storytelling)과 같은 현대 이야기 기술의 출현을 디지털 환경과 미디어의 활용적 측면에서 조명했던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그 기술의 근원이 문...

      본 논문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transmedia storytelling)과 같은 현대 이야기 기술의 출현을 디지털 환경과 미디어의 활용적 측면에서 조명했던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그 기술의 근원이 문학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세기 프랑스 사회의 벽화’라고 일컬어지는 오노레 드 발자크(Honoré de Balzac)의 소설집 『인간희극(La Comédie humaine)』에 나타난 현대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징적 요소들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발자크가 얼마나 시대를 앞서가는 혁신적인 글쓰기를 시도하였던 작가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다수의 미디어 사용과 다양한 변형을 통해 이야기 세계를 확장해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자크는 19세기라는 시대의 특성상 다양한 매체로 외연의 확장을 시도할 수는 없었지만, 이야기의 변형을 통해 다양한 이야기를 양산하는 내연의 확장을 기획하고 추진하였다. 『인간희극』은 90여 편에 이르는 소설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띠면서 하나의 세계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하나의 이야기가 여러 텍스트로 나누어져 전체 이야기를 새롭고 풍부하게 하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성과 부합한다.
      둘째, 발자크가 독립된 텍스트들 사이의 연결 고리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했던 대표적인 서사 기술은 ‘인물 재출현’기법이다. 이것은 한 인물이 여러 작품에 직접 출현하거나 다른 인물들에 의해 언급되는 기법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히는 마블(Marvel)의 슈퍼 히어로 영화에서 이야기 확장의 전략으로 자주 사용되는 ‘크로스오버(crossover)’의 원형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발자크의 인간희극의 서사 구조가 탈중심성과 열린 결말을 띤다는 점에서 당대의 소설들과 구별되고, 오히려 현대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대응된다. 발자크가 시도한 비선형적 서사 구조와 복수의 플롯, 암시와 복선 등은 작품에 대한 독자들의 흥미와 상상력을 자극하여 작품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발시켰다.
      마지막으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처럼 발자크 또한 독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공유, 생산을 이끌어 냈다는 점이다. 발자크의 소설들 사이에 관찰되는 모순점과 오류, 비선형적 구조와 불연속적인 특징 등은 오히려 독자로 하여금 상상 속에서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하게 하고 그들의 삶을 재구성하게 함으로써 개별 작품 사이의 간극을 좀 더 풍부한 의미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발자크의 작법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서사 전략이 어떻게 상응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오늘날 발자크가 왜 근대성의 미학을 구현한 작가로 평가받고 있는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paper investigates how modern narrative technique, such as transmedia storytelling, has emerged by tracing back to its origin in the literature through expansion of research scope beyond the existing focus o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

      This research paper investigates how modern narrative technique, such as transmedia storytelling, has emerged by tracing back to its origin in the literature through expansion of research scope beyond the existing focus o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media usage. To this end,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distinctive elements of modern transmedia storytelling from the collection of interlinked novels written by Honoré de Balzac entitled “La Comédie humaine” or “The Human Comedy”in English. The collection is often known as the literary fresco of the French society in the 19th Century. The following research outcomes have affirmed that Balzac was a writer exploring a revolutionary writing technique way ahead of his time.
      First, transmedia storytelling is distinctive in that the narrative world expands while transcending diverse media and going through diverse transformations. Although Balzac could not try external expansion through diverse media due to the limitations unique to the times back in the 19th Century, the writer pursued the internal expansion of his narrative world by transforming and producing a great quantity of various stories. The collection, “The Human Comedy”, creates a world shaped by a vast series of some 90 organically interlinked novels. This is akin to transmedia storytelling, which offers new perspectives into and enriches the entire plot by breaking down one story into many different texts.
      Second, “personage reappearance” is Balzac’s representative narrative technique aimed to interlink independent texts. The technique allows one personage either to appear or to be mentioned by other personages in many of Balzac’s writings. This technique can be suggested as the origin of crossover strategy often used by Marvel to expand the cinematic universe for its superhero films. The strategy is cited as a classic case of successfully utilizing transmedia storytelling.
      Third, “La Comédie humaine”by Balzac is different from novels of his time in that its narrative structure is decentralized and open-ended. It rather corresponds to transmedia storytelling of modern times. Balzac’s attempts at nonlinear narrative structure, multiple plots, hints and foreshadowings spark readers’ interests and imagination, thereby capturing readers’ lasting attention for his writings.
      Lastly, Balzac encourages active participation, sharing and creation by readers just as transmedia storytelling does. The contradictions, errors, nonlinear structure, discontinuity and other features that characterize Balzac’s novels invite readers to use their imagination for exploring various possibilities that can spread out for characters whose life can be reconstructed afterwards. Then, the gaps separating individual piece in his collection can be filled with a wealth of meaning.
      This paper investigates how Balzac’s writing technique corresponds to the narrative strategy found in transmedia storytelling while reaffirming why, in our times, Balzac is deemed to be a writer who had materialized the aesthetics of modern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론
      • II. 이야기 세계의 확장성과 세계 구축
      • III. 인물 재출현 기법
      • IV. 탈중심성과 열린 구조
      • 국문초록
      • I. 서론
      • II. 이야기 세계의 확장성과 세계 구축
      • III. 인물 재출현 기법
      • IV. 탈중심성과 열린 구조
      • V. 참여와 공유
      • VI.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헨리 젠킨스, "팬 블로거 게이머" 비즈앤비즈 2008

      2 김희경, "트랜스미디어콘텐츠의 세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3 류철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5

      4 헨리 젠킨스, "컨버전스 컬처" 비즈앤비즈 2006

      5 죠르쥬 쁠레, "비평과 의식" 탐구당 1990

      6 서성은,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7 손영훈, "드라마 미생(未生)을 통해 본 콘텐츠 생태계와 비즈니스 기회" KT경제경영연구소 1-11, 2014

      8 Poulet, Georges, "Études sur le temps humaine 2" Éd. Rocher 1976

      9 Long, Geoffrey, "Transmedia storytelling: Business, aesthetics and production at the Jim Henson Company"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07

      10 Aristote, "Poétique" Gallimard 2011

      1 헨리 젠킨스, "팬 블로거 게이머" 비즈앤비즈 2008

      2 김희경, "트랜스미디어콘텐츠의 세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3 류철균,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5

      4 헨리 젠킨스, "컨버전스 컬처" 비즈앤비즈 2006

      5 죠르쥬 쁠레, "비평과 의식" 탐구당 1990

      6 서성은,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7 손영훈, "드라마 미생(未生)을 통해 본 콘텐츠 생태계와 비즈니스 기회" KT경제경영연구소 1-11, 2014

      8 Poulet, Georges, "Études sur le temps humaine 2" Éd. Rocher 1976

      9 Long, Geoffrey, "Transmedia storytelling: Business, aesthetics and production at the Jim Henson Company"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07

      10 Aristote, "Poétique" Gallimard 2011

      11 Howard, Houston, "Make your story really stinkin’Big: How to go from concept to franchise and make your story last for generations" Michael Wiese Productions 2013

      12 De Balzac, Honnoré, "Lettre à Mme Hanska" Laffont 1990

      13 Ozouf, Mona, "Les Aveux du roman: Le XIX□ siècle entre Ancien Régime et Révolution, «Tel»" Gallimard 2001

      14 Aranda, Daniel, "Le lecteur dans le retour" Seuil (128) : 409-420, 2001

      15 Andréoli, Max, "Le Système balzacien, essai de description synchronique, t. II" Aux Amateurs de livres 1984

      16 De Balzac, Honnoré, "La Comédie humaine" Gallimard 1976

      17 Nevins, Jess, "Heroes & monsters: the unofficial companion to The league of extraordinary gentlemen" Titan 2006

      18 Pratten, Robert, "Getting Started in Transmedia Storytelling : A Pratical Guide for Beginners" CreateSpace 2011

      19 Harvey, Colin, "Fantastic transmedia: Narrative, play and memory across science fiction and fantasy storyworlds" Springer 2015

      20 Ahl, Nils, "Dictionnaire des séries télévisées" Éd. Philippe Rey 2011

      21 Lotte, Fernand, "Dictionnaire biographique des personnages fictifs de «La Comédie humaine»" José Corti 1952

      22 Wolf, Mark, "Building Imaginary Worlds: The Theroy and History of Subcreation" Routledge 2012

      23 Barbéris, Pierre, "Balzac: une mythologie réaliste, coll. Thèmes et textes" Larousse 1971

      24 Paris, Jean, "Balzac: Une vie, une oeuvre, une époque" Balland 1986

      25 Surville, Laure, "Balzac, sa vie et ses oeuvres d’après sa correspondance" Jaccottet, Bourdillat & Cie 185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7 2.031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