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터넷 감성이 온라인 항의 참여와 오프라인 시위 참여에 미친 영향: 2008년 촛불집회 분석 = The Impact of Internet Emotion on Online Protests and Offline Demonstrations: An Analysis of the 2008 Candlelight Rall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635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has been discussed the conceptualizations―internet emotion, online protest, offline demonstration―introduced in 2008 candlelight rally and tested empirically.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online protest and offline demonstration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The main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people who always feel empathy for reading script related candlelight rally in 2008 were negative to online protest participation. While, The people who always watch living and moving picture related candlelight rally in 2008 were also positive to online protest participation. Second, The people who were positive to online protest were positive to offline demonstration participation. Third, A difference of mediation effect for online protest was especially in shaping offline demonstr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has been discussed the conceptualizations―internet emotion, online protest, offline demonstration―introduced in 2008 candlelight rally and tested empirically.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online protest 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has been discussed the conceptualizations―internet emotion, online protest, offline demonstration―introduced in 2008 candlelight rally and tested empirically. To do this, a set of hypotheses concerning online protest and offline demonstration are set forth and subjected to an empirical assessment.

      The main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people who always feel empathy for reading script related candlelight rally in 2008 were negative to online protest participation. While, The people who always watch living and moving picture related candlelight rally in 2008 were also positive to online protest participation. Second, The people who were positive to online protest were positive to offline demonstration participation. Third, A difference of mediation effect for online protest was especially in shaping offline demonst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08년 촛불집회에서 제기된 개념들(인터넷 감성, 온라인 항의 참여, 오프라인 시위 참여)을 담론적으로 논의한 후 실증적으로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8년 촛불집회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항의 참여와 오프라인 시위 참여와 관련되는 일련의 연구가설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8년 촛불집회 관련 게시판이나 댓글의 글을 읽고 공감만 자주하는 사람은 온라인 항의 참여에 소극적인 반면에, 촛불집회 관련 생중계 및 동영상을 자주 본 사람은 온라인 항의 참여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항의 참여에 적극적인 사람들은 오프라인 시위 참여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08년 촛불집회 관련 생중계 및 동영상을 자주 본 사람들은 온라인 항의 참여에 매개되어 오프라인 시위 참여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2008년 촛불집회에서 제기된 개념들(인터넷 감성, 온라인 항의 참여, 오프라인 시위 참여)을 담론적으로 논의한 후 실증적으로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8년 촛...

      이 연구는 2008년 촛불집회에서 제기된 개념들(인터넷 감성, 온라인 항의 참여, 오프라인 시위 참여)을 담론적으로 논의한 후 실증적으로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8년 촛불집회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항의 참여와 오프라인 시위 참여와 관련되는 일련의 연구가설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8년 촛불집회 관련 게시판이나 댓글의 글을 읽고 공감만 자주하는 사람은 온라인 항의 참여에 소극적인 반면에, 촛불집회 관련 생중계 및 동영상을 자주 본 사람은 온라인 항의 참여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항의 참여에 적극적인 사람들은 오프라인 시위 참여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08년 촛불집회 관련 생중계 및 동영상을 자주 본 사람들은 온라인 항의 참여에 매개되어 오프라인 시위 참여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희, "컴퓨터 매개 정치커뮤니케이션과 기존 커뮤니케이션 행위 및 채널평가" (12) : 75-113, 1998

      2 정대화, "촛불항쟁과 현단계 한국민주주의의 과제"

      3 이득재, "촛불집회의 주체는 누구인가" (55) : 90-109, 2008

      4 홍성태, "촛불집회와한국사회" 문화과학사 2009

      5 최현, "촛불집회와정체성의정치: 민중, 시민과다중"

      6 이동연, "촛불집회와스타일의정치" (55) : 150-167, 2008

      7 신중섭, "촛불집회와‘민주화’의종언" (78) : 176-192, 2008

      8 이해진, "촛불집회와10대참여자들의주체형성"

      9 고원, "촛불집회와 정당정치개혁의 모색"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7 (17): 95-119, 2008

      10 홍성태, "촛불집회와 민주주의" 비판사회학회 (80) : 10-39, 2008

      1 박선희, "컴퓨터 매개 정치커뮤니케이션과 기존 커뮤니케이션 행위 및 채널평가" (12) : 75-113, 1998

      2 정대화, "촛불항쟁과 현단계 한국민주주의의 과제"

      3 이득재, "촛불집회의 주체는 누구인가" (55) : 90-109, 2008

      4 홍성태, "촛불집회와한국사회" 문화과학사 2009

      5 최현, "촛불집회와정체성의정치: 민중, 시민과다중"

      6 이동연, "촛불집회와스타일의정치" (55) : 150-167, 2008

      7 신중섭, "촛불집회와‘민주화’의종언" (78) : 176-192, 2008

      8 이해진, "촛불집회와10대참여자들의주체형성"

      9 고원, "촛불집회와 정당정치개혁의 모색"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7 (17): 95-119, 2008

      10 홍성태, "촛불집회와 민주주의" 비판사회학회 (80) : 10-39, 2008

      11 최장집, "촛불집회가제기하는한국민주주의의과제" 2008

      12 권지희, "촛불이민주주의다" 해피스토리 2008

      13 고종원, "촛불에길을잃다: 쇠고기수입협상에서정권퇴진 운동까지" 나남 2009

      14 김용철, "촛불시위의 동학 -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만남 -" 한국정보화진흥원 15 (15): 120-139, 2008

      15 이창호, "촛불시위와 인터넷, 그리고 청소년의 사회참여"

      16 조희연, "촛불시위, 제도정치와 직접행동정치"

      17 이기형, "촛불시민운동과‘넷파워’그리고광장의정치" 21 (21): 288-302, 2008

      18 경향닷컴촛불팀, "촛불: 그65일의기록" 경향신문사 2008

      19 구동회, "촛불93만명이들었다"

      20 이준한, "촛불, 매스 미디어, 그리고 민주주의" 사회과학연구소 17 (17): 264-291, 2009

      21 Howard Rheingold, "참여군중: 휴대폰과인터넷으로 무장한 새로운 군중" 황금가지 2003

      22 Charles Leadbeater,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21세기북스 2009

      23 Pierre Revy, "집단지성: 사이버 공간의 인류학을 위하여" 문학과 지성사 2002

      24 남재일, "정파성에찢어진촛불의진실" 21 (21): 257-271, 2008

      25 이현우, "정치참여유형으로서의촛불집회: 대표성과변화" 2008

      26 신진욱, "정치위기와사회운동의새로운주기: 2008년촛불시위이후한국민주주의의 이중적 과제"

      27 민경배, "정보사회에서의온라인사회운동에대한연구: 한국의사례를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2002

      28 이원태, "인터넷정치참여에관한연구: 2004년한국의제17대총선정국을중심으로" 서강대학교 2004

      29 김경미, "인터넷이 집합행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2002 여중생 추모 촛불집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0 (40): 183-211, 2006

      30 이순영, "인터넷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2002

      31 김상배, "인터넷권력의해부" 한울 2008

      32 김채환, "인터넷 뉴스 댓글의 이용과 상호작용성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9 (9): 5-44, 2009

      33 참여연대, "어둠은빛을이길수없습니다: 2008 촛불의 기록" 한겨레출판 2008

      34 김순기, "아프리카촛불집회방송시청자700만돌파"

      35 조대엽, "신갈등사회와 정당정치의 위기" 극동문제연구소 25 (25): 179-210, 2009

      36 박소란, "시위의새로운문화,‘ 아고라’그리고‘아고리언’: 집단지성과조직력으로 무장한“나는야‘아고라 죽순이’!" (89) : 136-141, 2008

      37 민경배, "스트리트저널리즘의진화"

      38 조정환, "미네르바의촛불" 갈무리 2009

      39 김철규,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 참여 10대의 사회적 특성" 비판사회학회 (80) : 40-67, 2008

      40 김종길, "디지털한국사회의이해" 집문당 2006

      41 철학연구회, "디지털시대의민주주의와포퓰리즘" 철학과현실사 2004

      42 이원태, "디지털시대 사회통합을 위한 시민의식 제고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43 남구현,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2008 촛불의 정치" 메이데이 2008

      44 James Surowiecki, "대중의 지혜" 랜덤하우스중앙 2005

      45 이창호, "뉴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사회운동방식에 대한 고찰 2008년 촛불집회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44 (44): 44-75, 2008

      46 장덕진, "누가 촛불을 드는가: 광우병 관련 촛불집회 참여과정의 단계별분석" 2008

      47 조희정, "네트워크 정치와 온라인 사회운동 : 2008년‘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2 (42): 311-332, 2008

      48 Clay Shirky, "끌리고쏠리고들끓다: 새로운사회와 대중의 탄생" 웅진씽크빅 2008

      49 대비평 기획위원회, "그대는 왜 촛불을 끄셨나요: 폭력과 추방의 시대, 촛불의 민주주의를 다시 묻는다" 웅진씽크빅 2009

      50 정태석, "광우병 반대 촛불집회에서 사회구조적 변화읽기 : 불안의 연대, 위험사회, 시장의 정치" 비판사회학회 (81) : 251-272, 2009

      51 서울중앙지방검찰청, "美쇠고기 수입반대 불법폭력시위사건: 수사백서"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공안제2부 2009

      52 채장수, "‘촛불집회’에 대한 보수진영의 대응담론" 한국정치학회 43 (43): 129-150, 2009

      53 손영일, "‘1인 미디어’전사들의 힘 촛불을 횃불로 바꿨다" (641) : 36-40, 2008

      54 Jasper, James M., "The Emotions of Protest: Affective and Reactive Emotions In and Around Social Movements" 13 (13): 397-424, 1998

      55 Davis, Mark H., "Empathy, Expectations, and Situational Preferences: Personality Influences on the Decision to Participate in Volunteer Helping Behaviors" 67 (67): 469-503, 1999

      56 Hoffman, Martin L., "Development of Prosocial Motivation: Empathy and Guilt in The Development of Prosocial Behavior" Academic Press 281-314, 1982

      57 강상현, ""전자민주주의와시민참여: 사이버스페이스의참여민주적공간화 를위하여" in 시민이열어가는지식 정보 사회" 대화출판사 133-158, 1999

      58 김종길, ""사이버행동주의, 새로운정치권력인가" in 인터넷권력의 해부" 한울 185-210,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7-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and World Politics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5 1.32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