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리츠 파펜하임, "현대인의 소외" 문예출판사 1994
2 김근호, "허구 서사 창작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3 김선희, "학습자의 문학 체험과 문학능력, 문학교육" 한국문학교육학회 (28) : 121-156, 2009
4 밴 매넌, "체험연구" 동녘 1994
5 W. Dilthey, "체험과 문학" 중앙일보사 1984
6 W. Dilthey, "체험·표현·이해" 책세상 2009
7 "철학대사전" 교육출판공사 1985
8 우한용, "창작 교육의 이념과 지향" 한국문학교육학회 2 : 1998
9 프랭크 커머드, "종말 의식과 인간적 시간" 문학과지성사 1993
10 정태연, "존재의 심리학" 문예출판사 2005
1 프리츠 파펜하임, "현대인의 소외" 문예출판사 1994
2 김근호, "허구 서사 창작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3 김선희, "학습자의 문학 체험과 문학능력, 문학교육" 한국문학교육학회 (28) : 121-156, 2009
4 밴 매넌, "체험연구" 동녘 1994
5 W. Dilthey, "체험과 문학" 중앙일보사 1984
6 W. Dilthey, "체험·표현·이해" 책세상 2009
7 "철학대사전" 교육출판공사 1985
8 우한용, "창작 교육의 이념과 지향" 한국문학교육학회 2 : 1998
9 프랭크 커머드, "종말 의식과 인간적 시간" 문학과지성사 1993
10 정태연, "존재의 심리학" 문예출판사 2005
11 옥현진, "정체성과 문식성" 국어교육학회 (35) : 361-386, 2009
12 김현, "장르이론" 문학과지성사 1994
13 최인자, "자아 정체성 구성활동으로서의 자전적 서사 쓰기, In 창작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푸른사상 2001
14 류은희, "자서전의 장르 규정과 그 문제-‘역사기술’과‘시’로서의 자서전" 한국독어독문학회 43 (43): 323-347, 2002
15 르죈, "자서전의 규약" 문학과지성사 1998
16 손승남, "자서전의 교육학적 가치" 한국교육철학학회 (28) : 109-125, 2002
17 C.H. 패터슨, "인간주의교육" 박영사 1989
18 Ricoeur, P, "시간과 이야기2" 문학과지성사 2000
19 문신, "시 창작교육을 위한 정서체험 표현양상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32) : 121-143, 2010
20 우한용, "서사교육론" 동아시아 2001
21 유호식, "생애서사 : 자서전과 성실성, 서사영역 확장을 위한 학제적 전망" 한국서사학회 2010
22 김구, "백범일지" 혜원출판사 2003
23 장 폴 사르트르,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99
24 우한용, "문학과 문화교육론" 서울대출판부 1997
25 서울대학교 국어교육 연구소,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사 2007
26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2"
27 임경순, "경험의 서사화 방법과 그 문학교육적 의의 연구 : 유소년기소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28 우한용, "(우한용 교수의) 창작교육론" 태학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