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전적 서사의 형상화 과정을 통한 서사 창작 교육 방향 연구 - 『백범일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an approach to Narrative creative writing education through figuration process of autobiographical narrative - Focusing on 『Paekpom Ilch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32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well-known that creative writing would be helpful educationally in life by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and by reflecting the self. However, there are lots of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gardless of realizing the necessity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any arguments should be confronted in the design and practice in creative writing education, such as curriculum,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This study would emphasize on configuration education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in creative writing education. And the discussion on creative writing in the study would be developed by narrative creative writing. All the while it is apparent that configuration in creative writing has been focused on only descriptive aspects, for example, character, incident, background, sequence of time and so on. However, configuration should be stressed on emotional aspects, such as, interest, motive, imagination, move, rather than descriptive aspects. This study examined how these aspects would be configurated in autobiographical narrative 『Paekpom Ilchi』, the autobiography of Kim-Ku. Then, the study proposed four ways for configuration education in narrative creative writing; the recognition of the self and the world, the meaning of individual experience, the interaction between narrator and actor, and the meaning of the methods of communication aimed at specific readers. It is significantly necessary relating to the teaching-learning aspects that the factors of configuration are extracted and they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principle of actions in creative writing education. It is not easy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teach or learn the process of creative writing since it could be ended up just simply analyzing texts. Therefore, the work of establishing the factors of configuration and its relationship, and explaining the principles of actions will be useful to define the concepts, for example, creative writing move, imagination, move, and creative writing competence.
      번역하기

      It is well-known that creative writing would be helpful educationally in life by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and by reflecting the self. However, there are lots of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gardless of rea...

      It is well-known that creative writing would be helpful educationally in life by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and by reflecting the self. However, there are lots of probl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gardless of realizing the necessity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any arguments should be confronted in the design and practice in creative writing education, such as curriculum,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This study would emphasize on configuration education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in creative writing education. And the discussion on creative writing in the study would be developed by narrative creative writing. All the while it is apparent that configuration in creative writing has been focused on only descriptive aspects, for example, character, incident, background, sequence of time and so on. However, configuration should be stressed on emotional aspects, such as, interest, motive, imagination, move, rather than descriptive aspects. This study examined how these aspects would be configurated in autobiographical narrative 『Paekpom Ilchi』, the autobiography of Kim-Ku. Then, the study proposed four ways for configuration education in narrative creative writing; the recognition of the self and the world, the meaning of individual experience, the interaction between narrator and actor, and the meaning of the methods of communication aimed at specific readers. It is significantly necessary relating to the teaching-learning aspects that the factors of configuration are extracted and they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principle of actions in creative writing education. It is not easy for teachers and students to teach or learn the process of creative writing since it could be ended up just simply analyzing texts. Therefore, the work of establishing the factors of configuration and its relationship, and explaining the principles of actions will be useful to define the concepts, for example, creative writing move, imagination, move, and creative writing compet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창작은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세계, 그러한 세계와 자신의 삶의 관계를 인식하는 데 교육적인 측면을 함의하고 있다. 그러나 국어교육에서는 창작의 교육적 필요성을 깨닫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제들이 존재한다. 국어교육에서 창작 교육은 어떻게 위치할 것인가 하는 영역을 포함한 교육과정상의 문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할 것인가 하는 교수․학습의 문제, 학생들의 창작 과정과 결과를 어떻게 점검해야 할 것인가 하는 평가의 문제 등, 창작 교육의 설계와 실천의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이론적 논의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어, 서사 창작 교육에서 교수․학습 방법의 일환으로서 형상화교육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동안 창작 교육에서 형상화란 인물의 성격이나 사건, 배경 혹은 시간의 구성과 같은 기술적인 측면에 함몰되어 있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형상화는 정밀한 묘사보다 작가의 흥미, 상상, 감동, 경험과 같은 측면에서 이루지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백범일지』라는 자전적 서사에서 이러한 형상화 요소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서사 창작 교육에서 형상화 교육의 방향에 대해 크게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자아와 세계인식, 체험의 의미화, 서술주체와 행위주체의 상호교섭, 구체적인 독자를 대상으로 한 솔직한 소통방식의 의미 등이 바로 그것이다.
      텍스트 중심의 분석․이해교육에 함몰된 감이 없지 않은 오늘의 국어교육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소통을 중시한 창작 교육을 실천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자신이 가장 잘 아는 이야기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자전적 서사의 형상화 요소를 추출하여 형상화 과정을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서사 창작을 도모하는 일은 서사, 창작, 상상력, 서사 창작 능력 등의 개념을 밝히는 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창작은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세계, 그러한 세계와 자신의 삶의 관계를 인식하는 데 교육적인 측면을 함의하고 있다. 그러나 국어교육에서는 창작의 교육적 필요성을 깨닫고 있음에도 불구...

      창작은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세계, 그러한 세계와 자신의 삶의 관계를 인식하는 데 교육적인 측면을 함의하고 있다. 그러나 국어교육에서는 창작의 교육적 필요성을 깨닫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제들이 존재한다. 국어교육에서 창작 교육은 어떻게 위치할 것인가 하는 영역을 포함한 교육과정상의 문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할 것인가 하는 교수․학습의 문제, 학생들의 창작 과정과 결과를 어떻게 점검해야 할 것인가 하는 평가의 문제 등, 창작 교육의 설계와 실천의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이론적 논의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어, 서사 창작 교육에서 교수․학습 방법의 일환으로서 형상화교육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동안 창작 교육에서 형상화란 인물의 성격이나 사건, 배경 혹은 시간의 구성과 같은 기술적인 측면에 함몰되어 있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형상화는 정밀한 묘사보다 작가의 흥미, 상상, 감동, 경험과 같은 측면에서 이루지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백범일지』라는 자전적 서사에서 이러한 형상화 요소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서사 창작 교육에서 형상화 교육의 방향에 대해 크게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자아와 세계인식, 체험의 의미화, 서술주체와 행위주체의 상호교섭, 구체적인 독자를 대상으로 한 솔직한 소통방식의 의미 등이 바로 그것이다.
      텍스트 중심의 분석․이해교육에 함몰된 감이 없지 않은 오늘의 국어교육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소통을 중시한 창작 교육을 실천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자신이 가장 잘 아는 이야기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자전적 서사의 형상화 요소를 추출하여 형상화 과정을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서사 창작을 도모하는 일은 서사, 창작, 상상력, 서사 창작 능력 등의 개념을 밝히는 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프리츠 파펜하임, "현대인의 소외" 문예출판사 1994

      2 김근호, "허구 서사 창작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3 김선희, "학습자의 문학 체험과 문학능력, 문학교육" 한국문학교육학회 (28) : 121-156, 2009

      4 밴 매넌, "체험연구" 동녘 1994

      5 W. Dilthey, "체험과 문학" 중앙일보사 1984

      6 W. Dilthey, "체험·표현·이해" 책세상 2009

      7 "철학대사전" 교육출판공사 1985

      8 우한용, "창작 교육의 이념과 지향" 한국문학교육학회 2 : 1998

      9 프랭크 커머드, "종말 의식과 인간적 시간" 문학과지성사 1993

      10 정태연, "존재의 심리학" 문예출판사 2005

      1 프리츠 파펜하임, "현대인의 소외" 문예출판사 1994

      2 김근호, "허구 서사 창작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3 김선희, "학습자의 문학 체험과 문학능력, 문학교육" 한국문학교육학회 (28) : 121-156, 2009

      4 밴 매넌, "체험연구" 동녘 1994

      5 W. Dilthey, "체험과 문학" 중앙일보사 1984

      6 W. Dilthey, "체험·표현·이해" 책세상 2009

      7 "철학대사전" 교육출판공사 1985

      8 우한용, "창작 교육의 이념과 지향" 한국문학교육학회 2 : 1998

      9 프랭크 커머드, "종말 의식과 인간적 시간" 문학과지성사 1993

      10 정태연, "존재의 심리학" 문예출판사 2005

      11 옥현진, "정체성과 문식성" 국어교육학회 (35) : 361-386, 2009

      12 김현, "장르이론" 문학과지성사 1994

      13 최인자, "자아 정체성 구성활동으로서의 자전적 서사 쓰기, In 창작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푸른사상 2001

      14 류은희, "자서전의 장르 규정과 그 문제-‘역사기술’과‘시’로서의 자서전" 한국독어독문학회 43 (43): 323-347, 2002

      15 르죈, "자서전의 규약" 문학과지성사 1998

      16 손승남, "자서전의 교육학적 가치" 한국교육철학학회 (28) : 109-125, 2002

      17 C.H. 패터슨, "인간주의교육" 박영사 1989

      18 Ricoeur, P, "시간과 이야기2" 문학과지성사 2000

      19 문신, "시 창작교육을 위한 정서체험 표현양상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32) : 121-143, 2010

      20 우한용, "서사교육론" 동아시아 2001

      21 유호식, "생애서사 : 자서전과 성실성, 서사영역 확장을 위한 학제적 전망" 한국서사학회 2010

      22 김구, "백범일지" 혜원출판사 2003

      23 장 폴 사르트르,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99

      24 우한용, "문학과 문화교육론" 서울대출판부 1997

      25 서울대학교 국어교육 연구소,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사 2007

      26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2"

      27 임경순, "경험의 서사화 방법과 그 문학교육적 의의 연구 : 유소년기소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28 우한용, "(우한용 교수의) 창작교육론" 태학사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