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학습자가 내재화한 문장 구조 제반 지식이 문장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이는 정확성 측면에서의 문장 산출 또한 문법 교육에서 주목해야 하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86080
2020
-
KCI등재
학술저널
277-311(3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학습자가 내재화한 문장 구조 제반 지식이 문장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이는 정확성 측면에서의 문장 산출 또한 문법 교육에서 주목해야 하는...
본고는 학습자가 내재화한 문장 구조 제반 지식이 문장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이는 정확성 측면에서의 문장 산출 또한 문법 교육에서 주목해야 하는 대상이 된다는 인식을 토대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1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장 구조 교육 내용에 대한 평가 결과와 학습자가 산출한 문장의 정확성 간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자 간 매우 높은 상관 계수가 도출되어 모어 화자라 하더라도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장의 산출은 관련 개념에 대한 지식이 전제되어야 함을 논구하였다. 본고는 그간 실증적으로 연구되지 못했던 학습자의 문장 제반 지식과 정확한 문장 생산 간 관계의 실체를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mpirically observ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grammar knowledge that has been referred to as an ability and sub-factor of grammar competence. This is ultimately to show that even native speakers need grammar education as kno...
This article aims to empirically observ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grammar knowledge that has been referred to as an ability and sub-factor of grammar competence. This is ultimately to show that even native speakers need grammar education as knowledge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cquired grammar competence and in this process, show that grammar knowledg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grammar competence. For this, evaluation results of learner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regarding sentence constituents and concord were placed in causal relationships with sentence constituents omissions and concord errors among sentence constituents in sentences created by learner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extreme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deduced among both sid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s knowledge of sentences and the correct production of sentences.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현정, "호응관계의 국어교육적 함의" 4 (4): 199-230, 1994
2 이근용,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오류 분석" 25 (25): 95-111, 2006
3 원미진,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능력 측정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3 (13): 23-40, 2017
4 이정희,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오류 연구" 이중언어학회 (18) : 259-278, 2001
5 김호정,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지식 의미 재고" 언어과학회 (55) : 1-28, 2010
6 이관희, "품사 교육의 위계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7 이주현, "평가론적 측면에서의 글쓰기 텍스트 오류 양상: 『멋진 신세계』를 통한 문장 및 단락 오류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53-78, 2020
8 최선희, "초등학교 학습자의 글에 나타난 문장 성분의 생략 및 호응에 관한 오류 분석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6) : 55-86, 2019
9 강인순, "초등 문법 교육의 내용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40) : 7-44, 2009
10 이상오, "지식의 탄생" 한국문화사 2016
1 송현정, "호응관계의 국어교육적 함의" 4 (4): 199-230, 1994
2 이근용,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오류 분석" 25 (25): 95-111, 2006
3 원미진,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 능력 측정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3 (13): 23-40, 2017
4 이정희,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오류 연구" 이중언어학회 (18) : 259-278, 2001
5 김호정,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지식 의미 재고" 언어과학회 (55) : 1-28, 2010
6 이관희, "품사 교육의 위계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7 이주현, "평가론적 측면에서의 글쓰기 텍스트 오류 양상: 『멋진 신세계』를 통한 문장 및 단락 오류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53-78, 2020
8 최선희, "초등학교 학습자의 글에 나타난 문장 성분의 생략 및 호응에 관한 오류 분석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6) : 55-86, 2019
9 강인순, "초등 문법 교육의 내용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40) : 7-44, 2009
10 이상오, "지식의 탄생" 한국문화사 2016
11 O’Brien, D., "지식론 입문" 서광사 2011
12 최선희, "지식 상태 분석법의 활용을 위한 문장의 구조 관련 평가 도구 개발 연구- 초등학교, 중학교를 중심으로 -" 청람어문교육학회 (70) : 311-356, 2019
13 서형국, "중등학교 학생의 어휘 활용 능력 측정 변항 추출 ―수필식 과제 글쓰기의 양적 접근―" 우리말학회 (49) : 151-177, 2017
14 구본관,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27) : 261-297, 2011
15 장미정, "오류 분석을 통한 한국어 목적 표현 ‘―을 겸’의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문학회 (141) : 405-427, 2018
16 홍윤기, "연결어미를 이용한 복합문 구성 능력 연구 - 외국인 학부 유학생의 글쓰기에 나타난 오류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3 : 287-314, 2015
17 Korthagen, F. A. J., "반성적 교사교육: 실제와 이론" 학지사 2007
18 염은열, "문학능력의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지식론의 방향 탐색" 한국문학교육학회 (28) : 193-222, 2009
19 유진현, "문학능력 신장을 위한 문학 지식 교육 방향 연구" 한국문학교육학회 (45) : 303-336, 2014
20 장소원, "문체의 측면에서 본 작문 능력과 문법 능력의 상관성" 한국작문학회 (9) : 39-65, 2009
21 이재성, "문법 지식에 기초한 문장 교육이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문법교육학회 13 : 316-342, 2010
22 조진수, "문법 문식성 관점의 문장 구조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2018
23 유혜령, "문법 능력과 작문 능력 간의 상관성 고찰 -고등학교 1학년생의 논술문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44) : 611-638, 2011
24 구본관, "문법 교육의 방향" 28 (28): 9-35, 2018
25 구본관, "문법 교육에서 지식이란 무엇인가?-문법 교육의 설계와 실천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21 : 151-183, 2019
26 주세형, "문법 교육론과 국어학적 지식의 지평 확장" 역락 2006
27 Ryle, G., "마음의 개념" 문예출판사 1994
28 주세형, "독서의 언어학" 청람어문교육학회 (52) : 197-232, 2014
29 정언학, "대학생 글쓰기의 형식적 오류 분석 -구, 문장, 단락, 글 차원의 문제"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13-169, 2014
30 이재현, "대학생 글쓰기에서 자주 나타나는형식적 오류의 유형과 지도 방안-동덕여대 <독서와 글쓰기> 수강 학생들의 글쓰기를 대상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207-240, 2014
31 정희모, "대학생 글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오류 양상" 중앙어문학회 52 : 147-172, 2012
32 이동혁, "대학 글쓰기에서 주어 사용 오류의 현황 분석과 주어 사용 지도 방안" 한말연구학회 (25) : 191-220, 2009
33 김경훤, "단어와 문장의 오류 실태 분석(2)- 각종 매체에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40) : 25-48, 2007
34 김경훤, "단어와 문장의 오류 실태 분석(1)- 각종 매체에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75) : 5-26, 2007
35 송현정, "국어 호응성의 개념과 관계유형 연구" 91 : 61-83, 1996
36 김상태, "국어 문장의 오류 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75) : 377-398, 2007
37 이관희, "국민의 문법 능력 평가 연구" 우리말글학회 67 : 53-76, 2015
38 이홍우, "교육과정탐구" 박영사 1977
39 변영계, "교수·학습 이론의 이해" 학지사 2005
40 김미선, "공공언어 문장 오류 유형 분석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58) : 5-26, 2018
41 김영주, "고급한국어 작문수업을 이용한 담화중심 문법교육: 동사어미오류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33) : 1-34, 2007
42 신명선, "‘문법 지식’의 성격과 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68) : 151-192, 2020
43 Piaget, J., "The Child's Conception of the World" Littlefield, Adams & Co 1972
44 Anderson, J., "The Architecture of Cogn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3
45 Chevallard, Y., "La transposition didactique(The didactical transposition)" La Pensée Sauvage 1985
중등 1급 국어과 정교사 자격연수를 통해 본 중등 국어교사 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논설문 채점에 나타난 국어 교사의 채점 편향의 특성 분석 - 텍스트 특징에 따른 채점 편향 분석을 중심으로
그림책에서 타자 윤리의 서사적 형상화 연구 -숀 탠의 <잃어버린 것>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10-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2017-05-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1.04 | 1.728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