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잖아’에 의한 인과 표현 고찰 = A Study of Causality Expression by -canh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029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causality expressed by -canha. With -canha, the speaker assumes that the listener already knows the proposition. This mean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function of expressing reason in discourse. The causality represented by -canha has several properties. First, -canha is included in the implicative causality established by the listener’s inference. Second, -canha depends on the situational context which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share. Third, -canha can express the content domain, the epistimic domain and the speech-act domain of the causal relationship. The property explains why the speaker chooses -canha when it expresses causa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causality expressed by -canha. With -canha, the speaker assumes that the listener already knows the proposition. This mean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function of expressing reason in discou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causality expressed by -canha. With -canha, the speaker assumes that the listener already knows the proposition. This mean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function of expressing reason in discourse. The causality represented by -canha has several properties. First, -canha is included in the implicative causality established by the listener’s inference. Second, -canha depends on the situational context which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share. Third, -canha can express the content domain, the epistimic domain and the speech-act domain of the causal relationship. The property explains why the speaker chooses -canha when it expresses causa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은하, "현대국어의 인과관계 접속어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 전혜영, "현대 한국어 접속어미의 화용론적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현대 한국어 용례 검색기"

      4 정명숙, "한국인과 외국인의 발화에 나타난 ‘-잖아’의 기능과 억양 실현 양상" 한국어학회 60 : 143-165, 2013

      5 김재욱, "한국어교육을 위한 종결어미 ‘-거든’과 ‘-잖아’의 문법화 대조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81-90, 2017

      6 원해영, "한국어교육을 위한 구어체 종결어미 ‘-잖아(요)’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79) : 307-328, 2011

      7 최윤지, "한국어 정보구조 연구" 서울대학교 2016

      8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9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2) -대학생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5

      10 박동화, "한국어 교육을 위한 종결어미 ‘-거든’과 ‘-잖아’의 비교연구:문법화 과정과 구어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2017

      1 임은하, "현대국어의 인과관계 접속어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 전혜영, "현대 한국어 접속어미의 화용론적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현대 한국어 용례 검색기"

      4 정명숙, "한국인과 외국인의 발화에 나타난 ‘-잖아’의 기능과 억양 실현 양상" 한국어학회 60 : 143-165, 2013

      5 김재욱, "한국어교육을 위한 종결어미 ‘-거든’과 ‘-잖아’의 문법화 대조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81-90, 2017

      6 원해영, "한국어교육을 위한 구어체 종결어미 ‘-잖아(요)’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79) : 307-328, 2011

      7 최윤지, "한국어 정보구조 연구" 서울대학교 2016

      8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9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2) -대학생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5

      10 박동화, "한국어 교육을 위한 종결어미 ‘-거든’과 ‘-잖아’의 비교연구:문법화 과정과 구어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2017

      11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0

      12 강현화, "코퍼스에 기반한 ‘-잖다’의 화행적 특성 고찰" 한국어의미학회 28 : 1-28, 2009

      13 유희재, "청문회 증인 신문 과정에서 사용되는 양태 연구 - ‘-지’와 ‘-잖-’을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67 : 1-24, 2020

      14 최상진, "인과관계 형성의 인지과정과 연결어미의 상관성 - ‘-어서’, ‘-니까’, ‘-면’ 등을 중심으로" 국어학회 (52) : 127-152, 2008

      15 이원표, "인과관계 접속표현: 세 가지 의미영역과 일관성의 성취" 언어학회 24 (24): 123-158, 1999

      16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17 황화상, "연결어미 '-어서', '-니까'의 의미 기능과 후행절 유형" 국어학회 (51) : 57-88, 2008

      18 신지연, "어말어미 ‘-거든’에 대한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8 : 251-270, 2000

      19 이재현, "부정축약형 ‘-잖/찮-’의 형성과 기능에 대하여"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 : 165-190, 1999

      20 구현정, "구어와 담화 : 연구와 활용" 우리말학회 (28) : 25-56, 2011

      21 권재일, "구어 한국어의 의향법 실현방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22 조민하, "구어 종결어미 ‘-잖아’의 화용적 특성과 억양의 기능; 여성 자유발화의 반말체를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28) : 165-194, 2015

      2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고려대학교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24 구현정, "“아니, 안 하는 게 아니잖아”: 부정 표현의 문법화" 담화·인지언어학회 15 (15): 1-27, 2008

      25 한승규, "‘-지 않-’의 축약과 융합 형태 ‘-잖-’ 의 특성 연구" 언어정보연구원 34 : 103-133, 2014

      26 손세모돌, "‘-잖-’의 의미, 전제, 함축" 국어학회 33 : 213-240, 1999

      27 이현희, "‘-잖-’은 단지 ‘-지 않-’의 음운론적 축약형인가?" 한국어학회 (23) : 203-228, 2004

      28 유유현, "‘-면서’의 기능과 의미관계의 다면성" 한국어학회 78 : 55-80, 2018

      29 장경희, "{-어서}의 의미와 화용상의 해석" 텍스트언어학회 1 : 169-200, 1993

      30 서경희, "The Korean Sentence-final Marker cianha in Conversational Discourse" 한국사회언어학회 10 (10): 283-310, 2002

      31 Levinson, S. C., "Pragmatics Vol Ⅳ" Routledge 545-612, 1998

      32 Levinson, S. C., "Prag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33 Sweetser, E., "From Etymology to Prag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34 배주채, "'잖' 구문에 대하여" 한국학중앙연구원 25 (25): 217-240,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5 1.103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