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은하, "현대국어의 인과관계 접속어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 전혜영, "현대 한국어 접속어미의 화용론적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현대 한국어 용례 검색기"
4 정명숙, "한국인과 외국인의 발화에 나타난 ‘-잖아’의 기능과 억양 실현 양상" 한국어학회 60 : 143-165, 2013
5 김재욱, "한국어교육을 위한 종결어미 ‘-거든’과 ‘-잖아’의 문법화 대조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81-90, 2017
6 원해영, "한국어교육을 위한 구어체 종결어미 ‘-잖아(요)’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79) : 307-328, 2011
7 최윤지, "한국어 정보구조 연구" 서울대학교 2016
8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9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2) -대학생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5
10 박동화, "한국어 교육을 위한 종결어미 ‘-거든’과 ‘-잖아’의 비교연구:문법화 과정과 구어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2017
1 임은하, "현대국어의 인과관계 접속어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 전혜영, "현대 한국어 접속어미의 화용론적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현대 한국어 용례 검색기"
4 정명숙, "한국인과 외국인의 발화에 나타난 ‘-잖아’의 기능과 억양 실현 양상" 한국어학회 60 : 143-165, 2013
5 김재욱, "한국어교육을 위한 종결어미 ‘-거든’과 ‘-잖아’의 문법화 대조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81-90, 2017
6 원해영, "한국어교육을 위한 구어체 종결어미 ‘-잖아(요)’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79) : 307-328, 2011
7 최윤지, "한국어 정보구조 연구" 서울대학교 2016
8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2006
9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2) -대학생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5
10 박동화, "한국어 교육을 위한 종결어미 ‘-거든’과 ‘-잖아’의 비교연구:문법화 과정과 구어 실현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2017
11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2000
12 강현화, "코퍼스에 기반한 ‘-잖다’의 화행적 특성 고찰" 한국어의미학회 28 : 1-28, 2009
13 유희재, "청문회 증인 신문 과정에서 사용되는 양태 연구 - ‘-지’와 ‘-잖-’을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67 : 1-24, 2020
14 최상진, "인과관계 형성의 인지과정과 연결어미의 상관성 - ‘-어서’, ‘-니까’, ‘-면’ 등을 중심으로" 국어학회 (52) : 127-152, 2008
15 이원표, "인과관계 접속표현: 세 가지 의미영역과 일관성의 성취" 언어학회 24 (24): 123-158, 1999
16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17 황화상, "연결어미 '-어서', '-니까'의 의미 기능과 후행절 유형" 국어학회 (51) : 57-88, 2008
18 신지연, "어말어미 ‘-거든’에 대한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8 : 251-270, 2000
19 이재현, "부정축약형 ‘-잖/찮-’의 형성과 기능에 대하여"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 : 165-190, 1999
20 구현정, "구어와 담화 : 연구와 활용" 우리말학회 (28) : 25-56, 2011
21 권재일, "구어 한국어의 의향법 실현방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22 조민하, "구어 종결어미 ‘-잖아’의 화용적 특성과 억양의 기능; 여성 자유발화의 반말체를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28) : 165-194, 2015
2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고려대학교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24 구현정, "“아니, 안 하는 게 아니잖아”: 부정 표현의 문법화" 담화·인지언어학회 15 (15): 1-27, 2008
25 한승규, "‘-지 않-’의 축약과 융합 형태 ‘-잖-’ 의 특성 연구" 언어정보연구원 34 : 103-133, 2014
26 손세모돌, "‘-잖-’의 의미, 전제, 함축" 국어학회 33 : 213-240, 1999
27 이현희, "‘-잖-’은 단지 ‘-지 않-’의 음운론적 축약형인가?" 한국어학회 (23) : 203-228, 2004
28 유유현, "‘-면서’의 기능과 의미관계의 다면성" 한국어학회 78 : 55-80, 2018
29 장경희, "{-어서}의 의미와 화용상의 해석" 텍스트언어학회 1 : 169-200, 1993
30 서경희, "The Korean Sentence-final Marker cianha in Conversational Discourse" 한국사회언어학회 10 (10): 283-310, 2002
31 Levinson, S. C., "Pragmatics Vol Ⅳ" Routledge 545-612, 1998
32 Levinson, S. C., "Prag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33 Sweetser, E., "From Etymology to Prag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34 배주채, "'잖' 구문에 대하여" 한국학중앙연구원 25 (25): 217-240,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