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명교육 프로그램 운영 개선 방안 연구: 현장 적용 사례 분석 중심으로 = The Study on Operation Improvement Methods of Invention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Applying the 『The Pursuit of Invention CEO in the Future(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의 변화가 급격히 일어남에 따라 학생들에게 함양시킬 역량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그 어느 때 보다 활발하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교육 형태가 주장되고 있지만 발명교육도 발명교육법(2017)의 제정을 통해, 새롭게 조명되는 교육의 한 형태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미래의 발명CEO 탐색(Ⅰ)』 프로그램을 발명교 육센터나 발명영재 수업, 혹은 정규교과 중의 일부 등에 적용한 후 학생들이 발명교육 수업에 참여하기 전과 후에 발명교육에 대한 인식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조사하고자 했다.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과의 협력 및 안내를 통해 1차와 2차 연수에 참여한 28명의 교사가 2017년 4월∼6월 사이에 4차시 이상의 수업을 62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후 사전-사후 설문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학생들의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수행하여 조사하 였다. 특별히 이 인식조사에서는 임형규, 이춘식(2012)이 개발한『학생 발명의 태도 검사지(24문항)』가 활용되었다. 더불어 그 통계조사 결과와 함께 28개의 다양한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교사들이 어떻게 프로그램을 적용했고, 프로그램 적용 관련하여 어떤 개선 방안을 제시했는지를 조사하면서 향후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운영 관련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번역하기

      사회의 변화가 급격히 일어남에 따라 학생들에게 함양시킬 역량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그 어느 때 보다 활발하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교육 형태가 주장되고 있지만 발명교...

      사회의 변화가 급격히 일어남에 따라 학생들에게 함양시킬 역량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그 어느 때 보다 활발하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교육 형태가 주장되고 있지만 발명교육도 발명교육법(2017)의 제정을 통해, 새롭게 조명되는 교육의 한 형태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미래의 발명CEO 탐색(Ⅰ)』 프로그램을 발명교 육센터나 발명영재 수업, 혹은 정규교과 중의 일부 등에 적용한 후 학생들이 발명교육 수업에 참여하기 전과 후에 발명교육에 대한 인식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조사하고자 했다. 경기도융합과학교육원과의 협력 및 안내를 통해 1차와 2차 연수에 참여한 28명의 교사가 2017년 4월∼6월 사이에 4차시 이상의 수업을 62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후 사전-사후 설문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학생들의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수행하여 조사하 였다. 특별히 이 인식조사에서는 임형규, 이춘식(2012)이 개발한『학생 발명의 태도 검사지(24문항)』가 활용되었다. 더불어 그 통계조사 결과와 함께 28개의 다양한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교사들이 어떻게 프로그램을 적용했고, 프로그램 적용 관련하여 어떤 개선 방안을 제시했는지를 조사하면서 향후 발명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및 운영 관련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change of society approaching rapidly, the discussion about what capacities students should strengthen is livelier than ever before. To accomplish this purpose, several forms of education are being suggested, and invention education is one form of education which is rapidly gathering attention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Invention Education Act(2017). In this study, after implementing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of 『The Pursuit of Invention CEO in the Future(Ⅰ)』 in the Invention Education Center, the Invention Gifted Class, or some of the regular curriculum, we tri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perceptions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invention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tool of『Questionnaire of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invention(24questions)』 developed by Hyung-kyu Lim and Chun-shik Lee(2012).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by having 28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and second teacher education program apply the education programs to 625 students a minimum of four times. Then a pre-and post-program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so the change in the students perceptions during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could be tracked through a paired t-test. In addition, by analyzing 28 different cases, we tried to find out the problems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Pursuit of Invention CEO in the future(Ⅰ)』 in the field, and figure out how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solving those problems.
      번역하기

      With the change of society approaching rapidly, the discussion about what capacities students should strengthen is livelier than ever before. To accomplish this purpose, several forms of education are being suggested, and invention education is one fo...

      With the change of society approaching rapidly, the discussion about what capacities students should strengthen is livelier than ever before. To accomplish this purpose, several forms of education are being suggested, and invention education is one form of education which is rapidly gathering attention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Invention Education Act(2017). In this study, after implementing the Invention Education Program of 『The Pursuit of Invention CEO in the Future(Ⅰ)』 in the Invention Education Center, the Invention Gifted Class, or some of the regular curriculum, we tri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perceptions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invention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tool of『Questionnaire of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invention(24questions)』 developed by Hyung-kyu Lim and Chun-shik Lee(2012).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by having 28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and second teacher education program apply the education programs to 625 students a minimum of four times. Then a pre-and post-program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so the change in the students perceptions during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could be tracked through a paired t-test. In addition, by analyzing 28 different cases, we tried to find out the problems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Pursuit of Invention CEO in the future(Ⅰ)』 in the field, and figure out how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solving those proble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문헌 고찰
      • Ⅲ. 적용 프로그램 소개:『미래의 발명CEO 탐색』
      • Ⅳ. 연구 방법 및 절차
      • Ⅴ. 연구 결과
      • Ⅰ. 서 론
      • Ⅱ. 문헌 고찰
      • Ⅲ. 적용 프로그램 소개:『미래의 발명CEO 탐색』
      • Ⅳ. 연구 방법 및 절차
      • Ⅴ. 연구 결과
      • Ⅵ. 논의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지침(교육부훈령 제195호) 해설 및 기재요령"

      2 임형규,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267-286, 2012

      3 김준희, "초등학생의 발명 흥미도 신장을 위한 TRIZ기법 적용 실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2 (22): 93-114, 2009

      4 朴鍾植, "지역발명 교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安東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5 이수정, "중학교 가정 교과 수업 분석 연구 Ⅰ- 수업 관찰 체크리스트와 분석 틀 개발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171-182, 2005

      6 이종녕, "영재교육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초등과학영재교사들의 내러티브 분석" 27 : 29-44, 2017

      7 박상우, "역사적 발명가를 기초로 한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243-264, 2012

      8 안덕근, "역공학 교육방법을 활용한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RSP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5 (25): 731-747, 2015

      9 이상봉, "서울지역 발명교실의 교육과정 분석 및 운영 실태" 대한공업교육학회 33 (33): 114-133, 2008

      10 박은경, "발명영재와 수학영재, 과학영재 및 일반 학생의 창의적 특성 비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 교육부,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지침(교육부훈령 제195호) 해설 및 기재요령"

      2 임형규,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267-286, 2012

      3 김준희, "초등학생의 발명 흥미도 신장을 위한 TRIZ기법 적용 실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2 (22): 93-114, 2009

      4 朴鍾植, "지역발명 교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安東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5 이수정, "중학교 가정 교과 수업 분석 연구 Ⅰ- 수업 관찰 체크리스트와 분석 틀 개발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7 (17): 171-182, 2005

      6 이종녕, "영재교육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초등과학영재교사들의 내러티브 분석" 27 : 29-44, 2017

      7 박상우, "역사적 발명가를 기초로 한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243-264, 2012

      8 안덕근, "역공학 교육방법을 활용한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RSP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을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5 (25): 731-747, 2015

      9 이상봉, "서울지역 발명교실의 교육과정 분석 및 운영 실태" 대한공업교육학회 33 (33): 114-133, 2008

      10 박은경, "발명영재와 수학영재, 과학영재 및 일반 학생의 창의적 특성 비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1 국가법령정보센터, "발명교육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

      12 박광렬, "발명 영재 교육기관의 교수-학습 실태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281-300, 2011

      13 손영은, "미래의 발명 CEO 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사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509-537, 2017

      14 심규철, "과학영재교육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학습자 평가 사례연구" 1 (1): 33-41, 2007

      15 Gravetter, F. J., "Statistic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Cengage Learning 2016

      16 Good, T. L., "Looking in classroom" Addison-Wey Educational Publish Inc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