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장기화로 인한 노인교육의 기회 감소를 해결하고 노인 디지털문해력의 향상을 위해 노인교육기관의 ICT 기반 교육 수요가 커지고 있다. 교육적이자 예방적인 노인평생교육 학습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46462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0(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 19 장기화로 인한 노인교육의 기회 감소를 해결하고 노인 디지털문해력의 향상을 위해 노인교육기관의 ICT 기반 교육 수요가 커지고 있다. 교육적이자 예방적인 노인평생교육 학습수...
코로나 19 장기화로 인한 노인교육의 기회 감소를 해결하고 노인 디지털문해력의 향상을 위해 노인교육기관의 ICT 기반 교육 수요가 커지고 있다. 교육적이자 예방적인 노인평생교육 학습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 분야도 다양화 및 전문화되고 있다. 교양교육의 전생애 교육 특성을 바탕으로 여러 영역의 문해 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합리적 의사소통 능력, 인간과 사회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 정립, 융합적 창의적 문제해결, 공동체 의식과 시민정신, 심미적 공감 등의 능력을 중심으로 노인교양교육을 구분하고 이를 위한 새로운 교육적 환경이 필요하다. 메타버스는 물리적 신체적 한계를 보완하고 참여환경을 확장하거나 변형하는 등 능동적이고 포괄적인 학습 참여와 주도가 가능하기에 노인교양교육 환경으로 적합하다. 노인교양교육을 위한 ICT 기반 프로그램 접근성 향상과 역량 강화 지원, ICT에 대한 노인들의 디지털 인식 개선, ICT 기기에 최적화된 노인교양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청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경희대학교출판부 2010
2 김유진 ; 박순미, "현장의 경험을 통해 살펴본 코로나 위드 시대의 노인돌봄: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사회복지연구소 67 : 89-121, 2020
3 박상철, "한국형 노후생활 설계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대 노화고령사회연구소, 보건복지부 2009
4 박진철, "한국어 교육에서의 메타버스(Metaverse) 활용 가능성 탐색"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8 (18): 117-146, 2021
5 강옥주 ; 윤지선,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여가만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교육학회 5 (5): 59-80, 2019
6 김사라 ; 김라경,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을 조절효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3-33, 2016
7 김진화,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연구" 평생교육진흥원 2009
8 안홍숙,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심리적 안녕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요리교육 학습자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6
9 한숭희 ; 양은아, "평생교육 맥락에서의 인문학습의 새 지평 : 인문학 위기론의 재해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27-54, 2007
10 문인철, "코로나19와 인간안보" 18 : 1-6, 2021
1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경희대학교출판부 2010
2 김유진 ; 박순미, "현장의 경험을 통해 살펴본 코로나 위드 시대의 노인돌봄: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가?" 사회복지연구소 67 : 89-121, 2020
3 박상철, "한국형 노후생활 설계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대 노화고령사회연구소, 보건복지부 2009
4 박진철, "한국어 교육에서의 메타버스(Metaverse) 활용 가능성 탐색"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8 (18): 117-146, 2021
5 강옥주 ; 윤지선,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여가만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교육학회 5 (5): 59-80, 2019
6 김사라 ; 김라경,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을 조절효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3-33, 2016
7 김진화,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연구" 평생교육진흥원 2009
8 안홍숙,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심리적 안녕감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요리교육 학습자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6
9 한숭희 ; 양은아, "평생교육 맥락에서의 인문학습의 새 지평 : 인문학 위기론의 재해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27-54, 2007
10 문인철, "코로나19와 인간안보" 18 : 1-6, 2021
11 이경희, "코로나19와 노인교육의 변화 방향" 31-56, 2021
12 이준기, "코로나19에 가족․친구 다 못보니․․․노인 우울증 ‘위험’"
13 이나윤 ; 강진호, "코로나-19 사회적 사태를 경험한 65세 이상 노인들의 정서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171-179, 2020
14 김희숙,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노인 정신건강과 신체활동 실태조사" 백석대학교 2021
15 오혜인, "코로나(Covid-19)는 초고령 노인들의 일상을 어떻게 바꾸었는가?" 271-286, 2020
16 차현미, "코로나 시대 영구임대아파트 노인 프로그램 운영을위한 지역사회복지관 역할에 관한 실천적 고찰" 2 (2): 59-68, 2021
17 고현종, "코로나 19와 노인 일자리의 정체성" 142 : 82-86, 2020
18 윤민화,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사회복지실천경험:대구지역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실천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15 (15): 41-68, 2021
19 문봉일, "초고령사회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20 문수경, "초고령 사회를 대비한 기독교 노인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대학개방의 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대학선교학회 (46) : 37-75, 2020
21 배연희, "지역 종합복지관 여성노인학습자의 학습참여태도와 학습만족이 참여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22 권준혁, "중장년 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몰입 및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23 한정란 ; 원영희 ; 박성희 ; 최일선, "중년층과 노년층의 노인교육 요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131-161, 2009
24 박민희 ; 정민, "중년기 여성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평생교육 만족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7 (7): 19-40, 2016
25 김학철, "종교 문해력과 교양교육" 57-62, 2019
26 차하순, "전환기에서의 대학교양교육의 방향" 1 (1): 149-136, 2007
27 박재술, "인문학 강좌 실태 조사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2006
28 손동현, "인문교양교육의 의미와 과제" 인문학연구원 (37) : 203-231, 2006
29 김성조 ; 곽지영 ; 손성희 ; 한상미, "온라인 한국어 교육 콘텐츠 개발의 구성 원리 - Y대학교 초급 온라인 한국어 교육 콘텐츠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64 : 1-40, 2022
30 홍희수 ; 박민구 ; 진향양 ; 구유리, "언택트(Un-tact) 시대 지속적 참여를 유도하는 온·오프라인 시니어 디지털 교육 플랫폼 ‘디지털 사랑방’ 서비스디자인 제안" 디자인연구소 20 (20): 53-70, 2021
31 백윤주, "언택트 시대에 적합한 디지털 노인교육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32 이호선, "액티브시니어를 위한 레크리에이션" 학지사 2021
33 김정혜, "수도권 여성노인의 평생학습욕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6
34 정기성, "비대칭 가상협업 환경에서의 핸드 인터페이스 기반 shared communication기술" 고려대학교
35 김승혁, "문화예술활동 참여 동기가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문화예술교육 학습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추계예술대학교 2017
36 김신애 ; 방준성, "메타버스(metaverse)에서 디지털 아바타를 활용한 교육적 자아의 확장과 AI 아바타와 교육적 상호작용의 가능성" 한국교육원리학회 26 (26): 147-166, 2021
37 장지영,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방안 연구-게더타운(Gather.town)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2 (32): 279-301, 2021
38 김춘남 ; 박수현, "메타버스 시대에 노년층을 위한 디지털 문해 교육 현황 분석"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13 (13): 29-36, 2021
39 한송이 ; 김태종, "메타버스 뉴스 빅데이터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2 (22): 1091-1099, 2021
40 이광현, "령친화도시 지표 개발 및 평가를 통한 정책적 함의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41 김현미,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노인복지현장의 노인(돌봄)교육 서비스의 변화 된 모습: 이천시 노인복지관 ICT 사랑방 사례" 102-119, 2021
42 김현미,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노인복지현장의 노인(돌봄)교육 서비스의 변화 된 모습" 102-119, 2021
43 김미연 ; 서동조 ; 변종봉 ; 강종관, "독거노인 자가생활지원을 위한 ICT기반의 생활밀착형 서비스 모델 개발 -ELA(The Elderly Living Alone) Service Model-"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25-38, 2015
44 유지혜, "대학의 교양교육 융합과학 온라인 프로그램이 이공계열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분석 : 융합인재소양, 과학의 본성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45 임정훈 ; 김미화 ; 신진주, "대학 비대면 수업에서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교수학습 전략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7 (27): 1515-1544, 2021
46 양은아, "대중인문학교실 참여 학습자의 학습활동과 경험적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5 (15): 35-74, 2009
47 최은희,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인문학적 교양프로그램 참여 동기 및 만족도가 참여지속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9
48 황재연, "노인학습자의 임파워먼트 척도 개발" 원광대학교대학원 2015
49 김종식 ; 임왕규, "노인평생교육 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179-189, 2014
50 이지선 ; 김정주 ; 유현옥 ; 서환환, "노인의 평생학습활동과 삶의 만족도 및 우울의 구조적 관계" 한국노년학회 36 (36): 1059-1074, 2016
51 최성재, "노인의 생활만족도 개발에 관한 연구" 49 : 233-258, 1986
52 김희정, "노인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건강 만족도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 조사 :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서울대학교 2019
53 이서연,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2 (12): 307-322, 2021
54 지경미,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이 사회적 지지와 정치효능감에 미치는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55 임옥자, "노인대학 학습참여 동기유형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24 : 169-189, 2015
56 허정무, "노인교육학개론" 양서원 2017
57 류종훈, "노인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2006
58 한정란, "노인교육론: 노인을 위한, 노인에 관한, 노인에 의한 교육" 학지사 2015
59 설희정, "노인 학습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가 주관적 안녕감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2021
60 정선임, "노인 뉴스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실효성 검증"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20
61 고대선, "기술수용모델(TAM)을 적용한 노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용의도" 한국사회체육학회 (78) : 347-360, 2019
62 박현정, "기독교대학 교양교육의 실천적 구성원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0
63 이성현 ; 홍성정 ; 김경미, "국내외 ICT기반 노인 건강관리 서비스 동향분석" 한국융합학회 12 (12): 373-383, 2021
64 백승수, "교양교육의 지평" 양서원 2020
65 신득렬, "교양교육" 겨리 2016
66 정문석, "공각중심대학에서의 교양교육" 439-443, 2018
67 김기승, "고령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92-99, 2019
68 조경희, "가상현실에 기초한 균형 훈련이 정상 노인의 균형과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69 심은지 ; 유훈식, "가상현실(VR) 매체를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97-515, 2019
71 김소현,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운동심상훈련이 정상 노인의 족저압과 균형능력, 우울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8
72 김보라, "가상현실 운전 훈련이 노인의 운전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8
73 이선우,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기능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당뇨병 노인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74 정성범, "e-OLDER: 활동적 노화를 위한 메타버스 기반 몰입형 교육" 한국정보과학학회 1098-1100, 2021
75 Naver Z Corp, "Zepeto"
76 Guner, H, "The use and acceptance of ICT by senior citizens: a comparis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for elderly and young adults" 19 (19): 311-330, 2020
77 Czaja S. J, "The impact of aging on access to technology" 5 (5): 341-349, 2007
78 Oakeshott, M, "The Voice of Liberal Learning" Yale University Press 1989
79 Adler, M. J, "The Paideia Proposal" Macmillan 1988
80 이진열 ; 윤기혁,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after COVID-19 in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한국사물인터넷학회 7 (7): 63-69, 2021
81 Harvard Univerity, "Report of the task force on general education"
82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ICT돌봄서비스제공사례집"
83 유경진 ; 김정기, "ICT기술을 활용한 시지각훈련이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노인의 시지각 및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13 (13): 1-9, 2021
84 강종관 ; 이준영, "ICT기반 독거노인복지서비스의 현황 및 과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67-76, 2015
85 김종성, "ICT 기반 프로그램 참가 노인의 교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고신대학교 2021
86 신준영, "ICT 기반 치매예방 서비스 사례" 165-179, 2018
87 이해인, "ICT 교육이 4차 산업 시대 실버 세대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88 Mon, L, "Communication and Education in a Virtual World: Avatar-Mediated Teaching and Learning in Second Life" 1 (1): 1-15, 2010
89 Wong, T. J, "An online database of ACT-R parameters: towards a transparent community-based approach to model development" 282-286, 2010
90 Byrne, M. D, "ACT-R/PM and menu selection: applying a cognitive architecture to HCI" 55 (55): 41-84, 2001
91 Duncan, I, "A taxonomy of virtual worlds usage in education" 43 (43): 949-964, 2012
9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디지털 정보격차실태 보고서" 2020
93 보건복지부, "2020 노인실태조사보고서"
94 윤우섭, "2017 상반기 대학교양교육컨설팅 설명회 자료집" 한국교양교육기초교육원 1-12, 2017
베이비부머의 여가동기, 여가만족도, 행동의도에 관한 영향관계 - 사회적 배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Q방법론을 활용한 Aging in Place 선호 유형 분석
노인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역교육공동체 사례 연구 : <박미시니어공동체>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