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H대학 예비유아교사 2학년 51명을 대상으로 6주간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을 실시한 후 아동권리감수성 증진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동일한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35967
2010
-
37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85-116(32쪽)
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H대학 예비유아교사 2학년 51명을 대상으로 6주간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을 실시한 후 아동권리감수성 증진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동일한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
본 연구에서는 H대학 예비유아교사 2학년 51명을 대상으로 6주간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을 실시한 후 아동권리감수성 증진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동일한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처치하기 전과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 문제중심학습으로 실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paried t-검증을 통해 사전 사후 검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루일과계획, 게임활동, 자리 및 순서 정하기, 요리활동, 자유선택활동, 견학계획에서 아동권리감수성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의 차이가 유의하게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권리’ 프리즘으로 유아교실을 들여다 본 경험을 통해 유아권리 존중이란 유아에게 주도권 주기와 유아의 의견 경청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라 생각하게 되었다. ‘유아권리’라는 프리즘은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유아권리 존중의 파수꾼 역할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권리감수성 향상을 위해 문제중심학습 효과를 드러낸 것으로 유아교육기관에 종사하게 될 예비유아교사들을 위해 다양한 상황마다 아동권리감수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양성교육에서 기존의 교과목과 권리감수성을 연결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5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second year at J College were gathered for 6 weeks to see if there was more sensitivity of children’s rights after apply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Using the paired t-test fo...
In this study, 5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second year at J College were gathered for 6 weeks to see if there was more sensitivity of children’s rights after apply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Using the paired t-test for sensitivity,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as analyzed. In the study, the following activities were observed: starting the day with telling students the agenda, game activity, giving assigned seating, cooking activity, free-time, and field trip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001 difference in the preliminary teacher’s value of children’s rights in the post test.
With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supervising of infants prism, those preparing to become preschool instructors found that respect starts from instilling leadership skills in the infants and also listening attentively to the infants’ opinions. The prism for the supervising of infants allowed those in preparation to become preschool instructors to take on a role to look out for the children in the respect of supervising the children.
According to this study,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had an effect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nsitivity of children’s right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children’s rights in certain situations. In addition, it has been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to make this method a basic subject in adolescent education and an effective way to create sensitivity.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길자, "행위 중심의 인권프로젝트에 관한 실행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0 (40): 1-28, 2008
2 정미라,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의 내용 비교"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7 (7): 291-318, 2003
3 주한수, "초등학교 아동의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 박미경, "인권프로젝트 학습 활동이 초등학생의 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Bollnow, O. F., "인간학적 교육학" 양서원 2006
6 국가인권위원회, "유엔인권조약감시기구의 일반논평 및 일반권고" 국가인권위원회 2006
7 구정화, "유엔아동권리협약을 고려한 학교 인권교육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12, 2009
8 김숙자,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Ⅲ"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299-323, 2008
9 한애희, "유아의 기질, 언어능력 및 개인관계 유형이 사회적 힘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09
10 서영숙,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3 (13): 213-232, 2009
1 박길자, "행위 중심의 인권프로젝트에 관한 실행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0 (40): 1-28, 2008
2 정미라,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의 내용 비교"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7 (7): 291-318, 2003
3 주한수, "초등학교 아동의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 박미경, "인권프로젝트 학습 활동이 초등학생의 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Bollnow, O. F., "인간학적 교육학" 양서원 2006
6 국가인권위원회, "유엔인권조약감시기구의 일반논평 및 일반권고" 국가인권위원회 2006
7 구정화, "유엔아동권리협약을 고려한 학교 인권교육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12, 2009
8 김숙자,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Ⅲ"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299-323, 2008
9 한애희, "유아의 기질, 언어능력 및 개인관계 유형이 사회적 힘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2009
10 서영숙,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3 (13): 213-232, 2009
11 Connella, G. S., "유아교육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 창지사 2002
12 고영자, "유아교사의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유아와 교사의 권리증진을 위한 일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0 (10): 1-22, 2006
13 문미희, "예비교사를 위한 인권의식 함양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 Rest의 도덕성의 4구성요소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341-362, 2006
14 문미희, "예비교사를 위한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KSI한국학술정보 2005
15 이용교, "영유아보육시설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유아의 참여권의 신장방안" 한국아동권리학회 8 (8): 169-188, 2004
16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7
17 조수정, "역할놀이 모형 구안을 적용한 인권교육" 42 : 1-25, 2007
18 이용교, "아동의 참여권에서 본 영유아보육·교육의 실태와 발전방안" 89-110, 2003
19 이옥, "아동에 의한 아동권리 모니터링" 77-91, 2009
20 서영숙, "아동권리협약과 함께 하는 “아동청소년의 권리”" 보건복지가족부·세이브더칠드런 2009
21 이용교, "아동과 청소년의 참여권에 관한 인식" 79-101, 2008
22 안동현, "아동과 청소년의 참여권 신장을 위한 과제" 2008
23 이재연, "아동과 권리" 창지사 2007
24 김규연, "소집단 토의학습이 아동의 인권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5 김영종, "사회복지조사론" 학지사 2007
26 박길자, "사회과 인권교육 내용요소의 통합적인 구성 방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1-24, 2008
27 최정임, "사례 분석을 통한 PBL의 문제설계 원리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0 (20): 37-61, 2004
28 임재홍, "미국대학에서의 인권교육프로그램 조사 및 분석" 2 : 55-102, 2008
29 서혜정,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에서 피드백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 20 (20): 73-93, 2007
30 유네스코, "모든 인간은…" 사람생각 2003
31 하경희, "대학생의 인권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0 (40): 183-202, 2009
32 류지헌, "대학생의 인권인식에 대한 요인분석 및 인권태도의 인식수준" 5.18연구소 8 (8): 175-202, 2008
33 Branscombe, "구성주의 유아교육과정" 시그마프레스 91-101, 2005
34 Brooks, J. G., "구성주의 교수·학습론 (4쇄)" 백의 2005
35 안경환, "교사를 위한 인권 용어 사전" 국가인권위원회 2004
36 노희정, "개념분석 수업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인권교육"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8 : 71-97, 2008
37 서혜정, "가정에서 ‘유아권리 실천하기’에 대한 한 어머니의 이야기"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207-231, 2009
38 Cheong, F., "Using a problem-based learning approach to teach an intelligent systems course" 7 : 47-60, 2008
39 von Schilling, K., "The significance of the tutorial process. Presentation of the tutorial process" 40-49, 1995
40 Twum-Danso, A., "Reciprocity, Respect and Responsibility: The 3Rs Underly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in Ghana and the Implications for Children’s Rights" 17 (17): 415-432, 2009
41 Gronlund, G., "Make early learning standards come alive" Redieaf Press naeyc 2006
42 Prince, K., "General competencie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non-PBL graduates" 39 (39): 394-401, 2005
43 Inter-Agency Working Group on Children’s Participation, "Children as active citizens. Bangkok" Inter-Agency Working Group on Children’s Participation 2008
함께하는 협동학습(Learning Together)에 기초한 자연친화 탐구활동 구성 및 적용효과
상상놀이터 그리기를 통해 나타난 유아의 실외놀이터와 놀이시설에 대한 이미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 ![]() |
2013-05-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5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6 | 1.72 | 1.66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