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관광산업의 하나인 컨벤션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미팅플래너가 갖춰야 할 역량과 직업 선택 동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시사점을 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670114
2011
-
컨벤션 ; 미팅플래너 ; 직업 역량 ; 선택 동기 ; Convention ; Meeting Planner ; Job Competencies ; Selection Motivation
300
KCI등재
학술저널
1-21(21쪽)
2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관광산업의 하나인 컨벤션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미팅플래너가 갖춰야 할 역량과 직업 선택 동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시사점을 제...
본 연구는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관광산업의 하나인 컨벤션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미팅플래너가 갖춰야 할 역량과 직업 선택 동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려고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우선, 미팅플래너가 갖춰야 할 역량으로 9가지의 요인(‘심신관리능력’, ‘상황적응능력‘, ‘기획력’, ‘커뮤니케이션기술’, ‘협상력’, ‘리더십 및 대인관계’, ‘업무추진능력’, ‘전문지식’, ‘외국어실력’)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역량 소양의 중요도에 관하여 전공, 직급, 근무기간에 따라 집단 별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미팅플래너라는 직업을 선택하게 된 동기를 살펴본 결과, ‘물질적 보상’, ‘자아실현 추구’, ‘직업적 혜택’, ‘자기계발 도모’ 로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물질적 보상을 제외하고는 입사 전 동기 부여 정도에 비해 현재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성별, 전공 여부, 직급에 따라 동기 인식에 대한 정도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여성이 남성에 비해 ‘자아실현 추구’를 더욱 높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미팅플래너가 갖춰야 할 역량과 직업선택의 동기에 관한 연구결과는 현재 직업선택에 마음을 두고 있는 미래 지망생과 이들을 채용해야 하는 관련기업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업체에서는 미팅플래너의 전문성을 중시하여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담당할 수 있는 전담부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lans to provide a viewpoint on the competencies and career selecting motivations of a meeting planner, wh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vention part of the tourism industry in today's global era. 9 causes for the competencies of a mee...
This study plans to provide a viewpoint on the competencies and career selecting motivations of a meeting planner, wh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vention part of the tourism industry in today's global era. 9 causes for the competencies of a meeting planner ('the ability to manage mind and body', 'the ability to adopt to situation', planning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negotiating skills', 'people skills and leadership', 'the ability to push ahead', professional knowledge', 'second language skills) were identified.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ach cause's importance according to major, position and period of work Looking at the motivations for making the choice to work as a meeting planner, there were 4 muses, 'material compensation', 'self-realization', 'professional benefits', 'self-development'. Other than material compensation, current satisfaction levels were lower compared to the motivational levels provided before entry to the company. Other than that, sex, major, job positions affected the perception on motivation. Women, especially, perceived 'self-realization needs' higher than men.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m to industry practitioners who have to hire future applicants who are considering job positions, about the competencies and job selection motivation required as a meeting planne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세목, "효과적인 컨벤션 연계관광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속성의 평가" 한국관광학회 32 (32): 339-355, 2008
2 김영미, "항공사 승무원의 직업선택동기 성취정도가 전반적인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18 (18): 177-199, 2009
3 남윤정, "한국국제회의 발전을 위한 국제회의 전담 기관 및 PCO 개발 전략" 경희대학교 1999
4 김정아, "컨벤션산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2005
5 조연이, "컨벤션산업 종사원 직무만족의 기대와 지각 비교 및 영향 요인 분석 : PCO 업체와 호텔 중심으로" 한림대학교 2000
6 김용오, "컨벤션기획사에게 요구되는 자질에 관한 연구" 269-290, 2001
7 김양희, "컨벤션 기획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직무스트레스의 역할 요인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2007
8 최재길, "컨벤션 기획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2005
9 이경모, "이벤트업 종사자의 업무수행에 관한 중요도 성과 연구" 2 : 15-21, 2006
10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2001
1 윤세목, "효과적인 컨벤션 연계관광개발을 위한 프로그램 속성의 평가" 한국관광학회 32 (32): 339-355, 2008
2 김영미, "항공사 승무원의 직업선택동기 성취정도가 전반적인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18 (18): 177-199, 2009
3 남윤정, "한국국제회의 발전을 위한 국제회의 전담 기관 및 PCO 개발 전략" 경희대학교 1999
4 김정아, "컨벤션산업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2005
5 조연이, "컨벤션산업 종사원 직무만족의 기대와 지각 비교 및 영향 요인 분석 : PCO 업체와 호텔 중심으로" 한림대학교 2000
6 김용오, "컨벤션기획사에게 요구되는 자질에 관한 연구" 269-290, 2001
7 김양희, "컨벤션 기획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직무스트레스의 역할 요인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2007
8 최재길, "컨벤션 기획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2005
9 이경모, "이벤트업 종사자의 업무수행에 관한 중요도 성과 연구" 2 : 15-21, 2006
10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2001
11 서윤원, "미팅플래너의 전문인 성향과 공유가치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국제지역학회 11 (11): 742-760, 2007
12 이성일, "미팅플래너의 자아 효능감과 직무성과에 대한 차이분석" 7 (7): 161-175, 2007
13 김영미, "미팅플래너가 갖춰야 할 역량에 관한 측정척도 개발" 9 (9): 64-80, 2009
14 황희곤, "미래형 컨벤션 산업론" 백산출판사 2007
15 조영아, "기업회의 기획가로서의 비서업무에 관한 연구" 2 (2): 37-52, 2005
16 유명희, "기업구성원의 컨벤션 참가와 직무성과간의 영향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22 (22): 89-104, 2007
17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7.0" 법문사 2008
18 양필수, "관광통역안내사의 직업선택 동기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제주지역 일본어 관광통역안내사를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1 (21): 175-192, 2007
19 Brewer, M. B, "Who is this we? Level of collective identity and self representation" 71 : 83-93, 1996
20 Casado, M. A, "Student expectations of hospitality jobs" 33 (33): 80-82, 1992
21 Cohen, A, "Relationships among five forms of commitment: An empirical assessment" 20 : 285-308, 1999
22 Nunnally, J, "Psychometric Theory. 2nd ed" McGraw-Hill 1978
23 Johnson, D, "Profit of a professional meeting planner" 23-29, 1994
24 Wallace, J. E, "Organizational and professional commitment in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organizations" 40 : 228-255, 1995
25 Strick, S. K, "Meetings, Conventions, and Expositions: An introduction to the industry" Van Nostrand Reinhold 1995
26 Kanungo, R. M, "Measurement of job and work involvement" 67 : 341-349, 1982
27 Miller, D. B, "Management professional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Jossey-Bass Publishers 1986
28 Astroff, Milton T, "Convention sales and services" Waterbury Press 58-182, 1998
29 Kim, S. S, "Convention industry in south Korea: An economic impact analysis" 24 : 533-541, 2003
30 Beaulieu, A. F, "Characteristics of meeting planner" 6 (6): 37-43, 2004
31 문화체육관광부, "2009년기준 관광동향에관한연차보고서" 2010
테마파크 산업에서 대학생 고객들의 재방문 의도 형성을 설명하는 구조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국제낚시박람회 참가자들이 응답한 레저낚시 참가 동기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4-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 ->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 ![]() |
2017-03-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79 | 2.79 | 3.0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3 | 2.97 | 3.547 | 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