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태평무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esthetic Consciousness of Taepyeongm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83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irst, This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aepyeongmu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of primary area is expressed by the circle, curve, circle spinning step, spatiality-temporality of dance, traditional idea and emotion, whereas mind is portrayed by the expression of dance. Second, Factor of aesthetic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of secondaryarea of Taepyeongmu was produced as maturity beauty, harmonious beauty and optimistic beauty. Third, Factor of aesthetic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of tertiary area of Taepyeongmu was derived as factors of formative beauty, expressive beauty, and spiritual beauty.
      번역하기

      First, This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aepyeongmu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of primary area is expressed by the circle, curve, circle spinning step, spatiality-temporality of dance, traditional idea and emoti...

      First, This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aepyeongmu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of primary area is expressed by the circle, curve, circle spinning step, spatiality-temporality of dance, traditional idea and emotion, whereas mind is portrayed by the expression of dance. Second, Factor of aesthetic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of secondaryarea of Taepyeongmu was produced as maturity beauty, harmonious beauty and optimistic beauty. Third, Factor of aesthetic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of tertiary area of Taepyeongmu was derived as factors of formative beauty, expressive beauty, and spiritual beau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연실, "한영숙·강선영의 태평무 비교 : 춤·장단·복식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 조지훈, "한국학 연구. 멋의연구" 나남출판 1996

      3 민주식, "한국적 ‘미’의 범주에 관한 고찰" 한국학술진흥재단 1993

      4 정병호, "한국무용의 미학" 집문당 2004

      5 고경희, "한국무용의 미적 범주로서 숭고미 탐색"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7

      6 박은영, "한국 전통 미의식을 적용한 웹 사이트 개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2004

      7 강상조, "체육연구방법" 21세기교육사 1996

      8 서지연, "진주검무의 춤사위 분석을 통한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9 최승호, "조지훈, ‘멋’의 미학과 생명사상" 58 : 1996

      10 박성호, "전통춤 연구의 새로운 관점을 위한 試論 -전근대 음악적 사고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55 (55): 107-128, 2008

      1 김연실, "한영숙·강선영의 태평무 비교 : 춤·장단·복식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 조지훈, "한국학 연구. 멋의연구" 나남출판 1996

      3 민주식, "한국적 ‘미’의 범주에 관한 고찰" 한국학술진흥재단 1993

      4 정병호, "한국무용의 미학" 집문당 2004

      5 고경희, "한국무용의 미적 범주로서 숭고미 탐색"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7

      6 박은영, "한국 전통 미의식을 적용한 웹 사이트 개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2004

      7 강상조, "체육연구방법" 21세기교육사 1996

      8 서지연, "진주검무의 춤사위 분석을 통한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9 최승호, "조지훈, ‘멋’의 미학과 생명사상" 58 : 1996

      10 박성호, "전통춤 연구의 새로운 관점을 위한 試論 -전근대 음악적 사고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55 (55): 107-128, 2008

      11 하선규, "자연과 상상력의 자유로움: 반성적 판단력의 현대적 의의에 대한 시론(II)" 한국미학예술학회 24 : 5-47, 2006

      12 조요한, "예술철학" 미술문화 2003

      13 채서일,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비엔엠북스 2005

      14 피천득, "맛과 멋, 멋과 한국인의 삶" 나남출판 1997

      15 허정선, "리처드 슈스터만의 '몸 미학(somaesthetics)'에서의 '살아있는 아름다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5

      16 김영천, "과연 어떤 학교가 열린학교인가: 교육과정, 수업평가에서의 구성요건들" 한국열린교육학회 6 (6): 1998

      17 양인영, "고성오광대의 기본무 무보 및 미의식 고찰"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4

      18 송문숙, "강선영류 태평무를 대상으로 한 춤사위 실기 평가도구 개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6

      19 정선희, "「처용무」와 「봉산탈춤」에 나타난 한국의 사상과 미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0 Goetz, J. P., "The constitution of socie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21 Krasnow, D. H., "Imagery and conditioning practices for dancer" 29 : 43-64, 1997

      22 Chatfield, S. J., "Correlational analysis of aesthetic competency, skill acquisition and physiologic capabilities of modern dancers" 1990

      23 Waglow, I. F., "An experiment in social dance testing" 24 : 97-101, 1953

      24 Ashton, D., "A gross motor rhythm test" 24 : 253-260, 1953

      25 박은영, "<춘앵전>의 시대별 변용과 심미의식" 대한무용학회 53 (53): 55-78,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1 0.72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