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연실, "한영숙·강선영의 태평무 비교 : 춤·장단·복식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 조지훈, "한국학 연구. 멋의연구" 나남출판 1996
3 민주식, "한국적 ‘미’의 범주에 관한 고찰" 한국학술진흥재단 1993
4 정병호, "한국무용의 미학" 집문당 2004
5 고경희, "한국무용의 미적 범주로서 숭고미 탐색"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7
6 박은영, "한국 전통 미의식을 적용한 웹 사이트 개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2004
7 강상조, "체육연구방법" 21세기교육사 1996
8 서지연, "진주검무의 춤사위 분석을 통한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9 최승호, "조지훈, ‘멋’의 미학과 생명사상" 58 : 1996
10 박성호, "전통춤 연구의 새로운 관점을 위한 試論 -전근대 음악적 사고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55 (55): 107-128, 2008
1 김연실, "한영숙·강선영의 태평무 비교 : 춤·장단·복식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 조지훈, "한국학 연구. 멋의연구" 나남출판 1996
3 민주식, "한국적 ‘미’의 범주에 관한 고찰" 한국학술진흥재단 1993
4 정병호, "한국무용의 미학" 집문당 2004
5 고경희, "한국무용의 미적 범주로서 숭고미 탐색"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7
6 박은영, "한국 전통 미의식을 적용한 웹 사이트 개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2004
7 강상조, "체육연구방법" 21세기교육사 1996
8 서지연, "진주검무의 춤사위 분석을 통한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9 최승호, "조지훈, ‘멋’의 미학과 생명사상" 58 : 1996
10 박성호, "전통춤 연구의 새로운 관점을 위한 試論 -전근대 음악적 사고를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55 (55): 107-128, 2008
11 하선규, "자연과 상상력의 자유로움: 반성적 판단력의 현대적 의의에 대한 시론(II)" 한국미학예술학회 24 : 5-47, 2006
12 조요한, "예술철학" 미술문화 2003
13 채서일,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비엔엠북스 2005
14 피천득, "맛과 멋, 멋과 한국인의 삶" 나남출판 1997
15 허정선, "리처드 슈스터만의 '몸 미학(somaesthetics)'에서의 '살아있는 아름다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5
16 김영천, "과연 어떤 학교가 열린학교인가: 교육과정, 수업평가에서의 구성요건들" 한국열린교육학회 6 (6): 1998
17 양인영, "고성오광대의 기본무 무보 및 미의식 고찰"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4
18 송문숙, "강선영류 태평무를 대상으로 한 춤사위 실기 평가도구 개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6
19 정선희, "「처용무」와 「봉산탈춤」에 나타난 한국의 사상과 미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0 Goetz, J. P., "The constitution of socie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21 Krasnow, D. H., "Imagery and conditioning practices for dancer" 29 : 43-64, 1997
22 Chatfield, S. J., "Correlational analysis of aesthetic competency, skill acquisition and physiologic capabilities of modern dancers" 1990
23 Waglow, I. F., "An experiment in social dance testing" 24 : 97-101, 1953
24 Ashton, D., "A gross motor rhythm test" 24 : 253-260, 1953
25 박은영, "<춘앵전>의 시대별 변용과 심미의식" 대한무용학회 53 (53): 55-7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