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순환정비사업에 대한 사업단계별 효과 분석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ircular Re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152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순환정비사업을 사업단계별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사업구상단계에서는 지자체, 공공기관, 주민대표회의와의 협의체제가 구축되었고 이는 높아지는 공공부문의 참여와 균형 있는 조정자로서 역할 요구에 부합하는 것으로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 사업계획단계에서는 순환용 주택 확보로 선대책 후개발의 실현이 가능해졌으며 주민들과 많은 면접접촉을 필요로 하는 특성상 사업내용에 대한 다양하고 객관적인 정보가 제공되고 있었다.
      사업시행단계에서는, 이주수요 분산으로 인해 주변지역의 부동산시장이 안정화되어 정비사업 인근 지역에 임대수요 수용이 용이하게 되었다. 또 낮은 주거비 부담으로도 입주할 수 있는 순환용 주택 공급으로 인해 정비사업기간 동안 안정
      적으로 임시 거주하거나 새로운 주거지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었다.
      마지막으로 사업완료단계에서는 순환정비사업이 원주민 재정착률 제고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순환용 주택의 입주민들은 전반적으로 순환정비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른 정책적 함의를 찾아보면, 순환용 주택의 공급을 위한 공공부문의 역할 제고가 필요하며 민간부문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각종 정책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를 정착시켜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순환정비사업을 사업단계별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사업구상단계에서는 지자체, 공공기관, 주민대표회의와의 협의체제가 ...

      순환정비사업을 사업단계별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사업구상단계에서는 지자체, 공공기관, 주민대표회의와의 협의체제가 구축되었고 이는 높아지는 공공부문의 참여와 균형 있는 조정자로서 역할 요구에 부합하는 것으로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 사업계획단계에서는 순환용 주택 확보로 선대책 후개발의 실현이 가능해졌으며 주민들과 많은 면접접촉을 필요로 하는 특성상 사업내용에 대한 다양하고 객관적인 정보가 제공되고 있었다.
      사업시행단계에서는, 이주수요 분산으로 인해 주변지역의 부동산시장이 안정화되어 정비사업 인근 지역에 임대수요 수용이 용이하게 되었다. 또 낮은 주거비 부담으로도 입주할 수 있는 순환용 주택 공급으로 인해 정비사업기간 동안 안정
      적으로 임시 거주하거나 새로운 주거지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었다.
      마지막으로 사업완료단계에서는 순환정비사업이 원주민 재정착률 제고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순환용 주택의 입주민들은 전반적으로 순환정비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른 정책적 함의를 찾아보면, 순환용 주택의 공급을 위한 공공부문의 역할 제고가 필요하며 민간부문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각종 정책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를 정착시켜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Circular Redevelopment and come up with the political implication on institutionalization of the Circular Redevelopment. The effectiveness of the Circular Redevelopment has been examined by redevelopment stages: the conception stage, planning stage, operation stage, and completion s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onception stage, it posits that the collaboration systems among local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 and residents have been built up. In the planning stage, “the first planning after development” has been realized by providing residents with the temporary public housing on the
      preferential basis. In the operation stage, the rents of housings near redevelopment district were stable. Redevelopment expenditure was reduced while redevelopment periods were not shortened. But redevelopment expenditure in case studies was not included construction cost of temporary public hou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public to invest on the construction of temporary public housing. In the completion stage, the resettlement rate of residents in redevelopment district have risen up. And the residents in the temporary public housing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 Circular Redevelopment.
      Based upon the findings, the Circular Redevelopment is an effective way to resettle the residents of redevelopment district.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Circular Redevelopment and come up with the political implication on institutionalization of the Circular Redevelopment. The effectiveness of the Circular Redevelopment has been examined by redevelopm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Circular Redevelopment and come up with the political implication on institutionalization of the Circular Redevelopment. The effectiveness of the Circular Redevelopment has been examined by redevelopment stages: the conception stage, planning stage, operation stage, and completion s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onception stage, it posits that the collaboration systems among local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 and residents have been built up. In the planning stage, “the first planning after development” has been realized by providing residents with the temporary public housing on the
      preferential basis. In the operation stage, the rents of housings near redevelopment district were stable. Redevelopment expenditure was reduced while redevelopment periods were not shortened. But redevelopment expenditure in case studies was not included construction cost of temporary public hou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public to invest on the construction of temporary public housing. In the completion stage, the resettlement rate of residents in redevelopment district have risen up. And the residents in the temporary public housing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 Circular Redevelopment.
      Based upon the findings, the Circular Redevelopment is an effective way to resettle the residents of redevelopment distri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순환정비사업의 이해
      • 3. 순환정비사업의 효과분석
      • 4. 결론
      • Abstract
      • 1. 머리말
      • 2. 순환정비사업의 이해
      • 3. 순환정비사업의 효과분석
      • 4. 결론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호, "현지개량사업 활성화를 위한 일본 노후주거지 정비수법 분석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09-124, 2007

      2 김명섭, "주택재개발사업의 개선방안: 서울시 성북구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2008

      3 강우원, "재정비촉진사업에 있어 원주민 재정착을 위한 계획적 정비방안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3 (13): 65-87, 2007

      4 대한주택공사, "순환정비사업 성과분석 및 확대방안 수립 연구" 2009

      5 대한주택공사, "순환정비사업 성과분석 내부자료"

      6 장성근, "순환재개발의 전개특성에 관한 연구-신림1구역과 신림2-1구역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7

      7 윤일성, "순환재개발을 위하여-주택개발의 문제점과 대안" 12 : 1997

      8 안내영, "순환재개발방식의 효과 분석 및 임대주택과의 연계방안" 서울대학교 2003

      9 도난영, "순환재개발방식에 의한 공공임대 선택 요인 및 주거만족도 분석-신림1구역 세입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2

      10 대한주택공사, "순환재개발기법 및 영구임대주택과의 연계방안 연구" 1990

      1 이창호, "현지개량사업 활성화를 위한 일본 노후주거지 정비수법 분석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09-124, 2007

      2 김명섭, "주택재개발사업의 개선방안: 서울시 성북구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2008

      3 강우원, "재정비촉진사업에 있어 원주민 재정착을 위한 계획적 정비방안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3 (13): 65-87, 2007

      4 대한주택공사, "순환정비사업 성과분석 및 확대방안 수립 연구" 2009

      5 대한주택공사, "순환정비사업 성과분석 내부자료"

      6 장성근, "순환재개발의 전개특성에 관한 연구-신림1구역과 신림2-1구역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7

      7 윤일성, "순환재개발을 위하여-주택개발의 문제점과 대안" 12 : 1997

      8 안내영, "순환재개발방식의 효과 분석 및 임대주택과의 연계방안" 서울대학교 2003

      9 도난영, "순환재개발방식에 의한 공공임대 선택 요인 및 주거만족도 분석-신림1구역 세입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2

      10 대한주택공사, "순환재개발기법 및 영구임대주택과의 연계방안 연구" 1990

      11 최막중, "순환재개발 공공임대주택 재정착 및 이주 세입가구의 특성과 주거만족도 비교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6-6, 2006

      12 임창호, "순환개발방식에 의한 불량주택정비사업의 효과 분석" 28 (28): 1993

      13 이상준, "성남시 기성시가지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2007

      14 서울시 주거환경개선정책 자문위원회, "서울시 주거환경개선정책 종합점검 및 보완발전방안"

      15 홍경구, "서울시 재개발 임대주택 입주자의 주택서비스규모와 편익분석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125-136, 2003

      16 송영섭, "불량주택재개발사업에있어서순환재개발방식의재정착효과" 34 (34): 1999

      17 박재욱, "바람직한 로컬 거버넌스를 위한 단체장과 NGO 간 관계 맺기. In 미래 지방 자치단체들을 위한 시장군수학" 비앤엠북스 2009

      18 김흥순,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이주 및 보상대책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21-34, 2010

      19 이세규, "뉴타운 입주자의 거주후 만족도 및 지역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 은평뉴타운을 중심으로 -" 한국도시행정학회 22 (22): 81-105, 2009

      20 박필, "공익사업에 따른 생활보상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부동산연구원 20 (20): 47-67, 2010

      21 Bourne, L. S, "the Myth and Reality of Gentrification: A Commentry on Emerging Urban Form" 30 : 183-189, 1993

      22 Atkinson, Rowland, "the Hidden Costs of Gentrification: Displacement in central London" 15 : 307-326, 2000

      23 Clark, Eric, "The Order and Simplicity of Gentrification - A Poloitical Challenge. In Gentrification in a Global Context: the new urban colonialism" Routledge 256-264, 2005

      24 Smith, N, "The New Urban Frontier: Gentrification and the Revanchist City" Routledge 1996

      25 Ley, D, "The Middle Class and the Remaking of Central Cit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26 Beauregard, Robert A, "The Chaos and Complexity of Gentrification. in Gentrification of the City" Allen and Unwin 35-55, 1986

      27 Lee, B, "Social Differentials in Metropolitan Residential Displacement. In Gentrification. Displacement and Neighborhood Revitaliz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40-169, 1984

      28 Butler, Tim, "Social Capital. Gentrification and Neighborhood Changes in London: A Comparision of Three South London Neighbourhoods" 38 (38): 2145-2162, 2001

      29 Schill, M. H, "Revitalizing America’s Cities: Neighborhood reinvestment and displacement" Suny Press 1983

      30 Sumka, H. J, "Neighbourhood Revitalization and Displacement: A review of the Evidence" 45 : 480-487, 1979

      31 Cahill, Caitlin, "Negotiation Grit and Glamour: Young Women of Color and the Gentrification of the Lower East Side" 19 (19): 202-231, 2006

      32 Atkinson, Rowland, "Introduction: Misunderstood Savoiur or Venegeful Wrecker? The Many Meanings and Problems of Gentrification" 40 (40): 2343-2350, 2003

      33 Levy, Diane K, "In the Face of Gentrification:Case studies of Local Efforts to mitigate Displacement" The Urban Institute 2006

      34 Freeman, Lance, "Gentrification and Displacement: New York City in the 1990’s" 70 (70): 39-52, 2004

      35 Marcuse, P, "Abandonment. Gentrification and Displacement: The Linkages in New York City. in Gentrification of city" Unwin Hyman 153-177,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6 1.32 1.495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