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arranges a process that Hwang Yun-Suk learned the western studies and the characters, the books, and a viewpoint which he associated. He took a trip to Seoul to apply for the state-run examination. He met many people on the road...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41355
2008
-
?齋亂藁 ; 西行日曆 ; 서학 ; 점성술 ; 천문 ; 역법 ; 과학 ; 기하학 ; Hwang Yun-Suk ; western studies ; Astronomy ; Joseon Dynasty
810
KCI등재
학술저널
101-129(29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rranges a process that Hwang Yun-Suk learned the western studies and the characters, the books, and a viewpoint which he associated. He took a trip to Seoul to apply for the state-run examination. He met many people on the road...
This paper arranges a process that Hwang Yun-Suk learned the western studies and the characters, the books, and a viewpoint which he associated. He took a trip to Seoul to apply for the state-run examination. He met many people on the road. The people he met included not only famous men but also lowly persons. He studied Astronomy of the West very hard.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was that he would respond to the national demand. Secondly, he would overcome the discrimination about local people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Thirdly, he wanted to get an official position by studying Astronomy.<BR> Hwang Yun-Suk is estimated as a scholar who accepted the western studies in open and rational attitude. But he believed the science of China and Astrology too much. This is the limitation which he had.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황윤석(1729~1791)의 문집 『?齋亂藁』 중 「서행일력」을 통해 그가 서양 학문을 접하는 과정과 공부한 내용, 그리고 특징 등을 살펴본 것이다. 「서행일력」은 황윤석이 ...
본 논문은 황윤석(1729~1791)의 문집 『?齋亂藁』 중 「서행일력」을 통해 그가 서양 학문을 접하는 과정과 공부한 내용, 그리고 특징 등을 살펴본 것이다. 「서행일력」은 황윤석이 과거시험과 관직생활을 위해 전라도 흥덕에서 한양에 출입하면서 일어난 일들을 일기 형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여기에는 황윤석의 서학을 가늠해볼 수 있는 내용들이 고스란히 남아있다.<BR> 본 논문은 「서행일력」에 담긴 다양한 내용 중 서학과 관련한 내용들을 가려 뽑아서 황윤석이 만났던 인물, 서적, 그의 서학에 대한 관점 등을 정리했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BR> 첫째, 황윤석은 서학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람이면, 서울의 이른바 경화세족으로부터 아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람들과 교유했다.<BR> 둘째, 이런 교유를 통해 그는 서학에 관한 견문을 넓히어 마침내 一國에서 博學之士으로 명성을 날릴 수 있었다.<BR> 본고는 황윤석의 교유와 서학에 대한 각별한 연구의 목적이 단순히 박학에 있었던 것이 아니라, 몇 가지 의도된 목적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잠정 정리했다. 곧 그는 서학, 그 중에서도 서양과학을 공부하여 재향 사족으로서의 신분적 한계를 극복하고, 아울러 당시 역법 분야에 인재를 필요로 했던 국가적 요구에 응하려고 했다.<BR> 한편 본 논문은 황윤석의 서학 인식에 대한 몇 가지 특징을 정리해보았다. 그는 곧 서양의 과학은 수용한 반면, 종교는 부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서양 각국의 지리적 정보와 사정에 대해서는 소개와 수용의 경계에 머무는 자세를 보였다. 또 그는 서학 이론의 중국 내재설과 마술적 점성술을 믿었다.<BR> 황윤석은 개방적이고 합리적 자세로 서양학문을 수용한 학자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서학 이론의 중국 내재설과 마술적 점성술에 대한 믿음은 그가 가진 한계로 볼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낙진, "황윤석의 동서양 자연학의 종합" 43 : 2002
2 천기철, "직방외기" 일조각 2005
3 송일기, "중국본 서학서의 한국 전래에 관한 문헌적 고찰?" 15 : 1998
4 금장태, "조선후기 儒敎와 西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5 강신항, "조선지식인의 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6 정성희, "이재 황윤석의 천문?역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7 정성희, "이재 황윤석의 천문?역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8 허남진, "이재 황윤석의 서양과학 수용과 전통학문의 변용" 16 (16): 2003
9 하성래, "이재 황윤석의 서양 과학사상 수용―담헌 홍대용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1 : 1983
10 정성희, "이재 황윤석의 과학사상, 청계사학"
1 김낙진, "황윤석의 동서양 자연학의 종합" 43 : 2002
2 천기철, "직방외기" 일조각 2005
3 송일기, "중국본 서학서의 한국 전래에 관한 문헌적 고찰?" 15 : 1998
4 금장태, "조선후기 儒敎와 西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5 강신항, "조선지식인의 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6 정성희, "이재 황윤석의 천문?역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7 정성희, "이재 황윤석의 천문?역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8 허남진, "이재 황윤석의 서양과학 수용과 전통학문의 변용" 16 (16): 2003
9 하성래, "이재 황윤석의 서양 과학사상 수용―담헌 홍대용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1 : 1983
10 정성희, "이재 황윤석의 과학사상, 청계사학"
11 정성희, "이재 황윤석의 과학사상, 청계사학"
12 이형성, "이재 황윤석의 ‘數’에 기초한 실학사상 일고" 9 : 2000
13 최삼룡, "이재 황윤석: 영?정 시대의 호남실학" 민음사 1994
14 유재영, "春岡隨錄" 이회문화사 1992
15 理藪新, "(上?下)" 亞細亞文化社 영인본 1975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 | 1.236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