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열려진 영화론’으로 본 장선우의 <꽃잎> = Jang Sunwoo’s A Petal in the View of ’Opened Film 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0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re of A Petal is not to reveal the historical fact of 5.18 but to stimulate sense of guilt and feeling of debt of the survivors. This study deals how A Petal make the past tragedy of Kwangju present and arouse the feeling of debt through ’the Opened Film Theory’ Jang Sunwoo has proposed in 1980’s. According to it, preexistent film asks one-sided and subordinate relation between object and audience. By contrast, ’New Cinema’ lets the audience involve in the film relating objects and audience horizontally and aims at changing people and society. For this, firstly in a perspective of narrative, A Petal makes audience involve in reconstructing the girl’s traumatic affair and participate mentally in ’Uri’s journey following the girl’s footsteps; It also uses a documentary film and animation films in the middle; It speaks directly to the audience by the last narration starting from “If you see the girl~”; Director Jang himself appears in the last shot. All these devices are for a cinematic alienation effect to make the fictional event the audiences’ real problem. Secondly, the character ’Jang’ is assigned to ’a humanized camera’ functionizing a POV shot to see the girl’s confession in the cemetery. This makes the audience see the tragedy of Kwangju taking a step backward and identify with character Jang’s attitude to the girl. After the girl’s missing ’Jang’ never forgets her and imitats her last act wandering around the cemetery. This stands for the attitude not to forget and undertake the agony of Kwangju. In addition, this subject of A Petal-sympathy and responsibility of Korean history-is advanced by The Shower adapted by Jang Sunwoo in 1987.
      번역하기

      The core of A Petal is not to reveal the historical fact of 5.18 but to stimulate sense of guilt and feeling of debt of the survivors. This study deals how A Petal make the past tragedy of Kwangju present and arouse the feeling of debt through ’the ...

      The core of A Petal is not to reveal the historical fact of 5.18 but to stimulate sense of guilt and feeling of debt of the survivors. This study deals how A Petal make the past tragedy of Kwangju present and arouse the feeling of debt through ’the Opened Film Theory’ Jang Sunwoo has proposed in 1980’s. According to it, preexistent film asks one-sided and subordinate relation between object and audience. By contrast, ’New Cinema’ lets the audience involve in the film relating objects and audience horizontally and aims at changing people and society. For this, firstly in a perspective of narrative, A Petal makes audience involve in reconstructing the girl’s traumatic affair and participate mentally in ’Uri’s journey following the girl’s footsteps; It also uses a documentary film and animation films in the middle; It speaks directly to the audience by the last narration starting from “If you see the girl~”; Director Jang himself appears in the last shot. All these devices are for a cinematic alienation effect to make the fictional event the audiences’ real problem. Secondly, the character ’Jang’ is assigned to ’a humanized camera’ functionizing a POV shot to see the girl’s confession in the cemetery. This makes the audience see the tragedy of Kwangju taking a step backward and identify with character Jang’s attitude to the girl. After the girl’s missing ’Jang’ never forgets her and imitats her last act wandering around the cemetery. This stands for the attitude not to forget and undertake the agony of Kwangju. In addition, this subject of A Petal-sympathy and responsibility of Korean history-is advanced by The Shower adapted by Jang Sunwoo in 198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효인, "한국의 영화감독 13인" 열린책들 1994

      2 장문일, "한국시나리오 선집" 집문당 1999

      3 김창환, "한국 뉴 웨이브의 정치적 기억"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4 이정하, "한국 뉴 웨이브의 정치적 기억"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5 사이토 아야코, "한국 뉴 웨이브의 정치적 기억"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6 남다은, "한국 뉴 웨이브의 정치적 기억"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7 황미요조, "한국 뉴 웨이브의 정치적 기억"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8 강영안, "타자의 얼굴" 문학과지성사 2005

      9 김수남, "좋은 감독’의 패배주의인가? ‘나쁜 감독’의 선정주의인가? 아니면 ‘열린영화’의 모험주의인가?: 장선우의 <나쁜 영화>" 13 : 1997

      10 정성일, "제도와 싸우다 망가져버린 장선우의 비극" 160 : 1999

      1 이효인, "한국의 영화감독 13인" 열린책들 1994

      2 장문일, "한국시나리오 선집" 집문당 1999

      3 김창환, "한국 뉴 웨이브의 정치적 기억"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4 이정하, "한국 뉴 웨이브의 정치적 기억"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5 사이토 아야코, "한국 뉴 웨이브의 정치적 기억"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6 남다은, "한국 뉴 웨이브의 정치적 기억"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7 황미요조, "한국 뉴 웨이브의 정치적 기억"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8 강영안, "타자의 얼굴" 문학과지성사 2005

      9 김수남, "좋은 감독’의 패배주의인가? ‘나쁜 감독’의 선정주의인가? 아니면 ‘열린영화’의 모험주의인가?: 장선우의 <나쁜 영화>" 13 : 1997

      10 정성일, "제도와 싸우다 망가져버린 장선우의 비극" 160 : 1999

      11 최윤,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문학과지성사

      12 김수남, "장선우의 열린 시대정신 탐구" 1 : 2003

      13 장희철, "장선우 감독의 <거짓말>에 나타난 금기에 대한 악의 저항성" 부산대학교 2018

      14 조미현, "장선우 감독 인터뷰"

      15 박인철, "자유의 현상학적 이념 : 아렌트와 레비나스의 자유 개념 비교를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71) : 219-242, 2005

      16 김명준, "영화운동의 역사" 서울출판미디어 2002

      17 이정하, "영화와 글쓰기" 부키 1997

      18 "영화사전" propaganda

      19 이효인, "영화미학과 비평입문" 한양대학교 출판부 1999

      20 서정남, "영화 서사학" 생각의나무 2004

      21 이효인, "순수-민족-누이’를 열망하는 서로 다른 고백 또는 콤플렉스" 26 : 2000

      22 이채원, "소설과 영화의 표현양식 연구: 소설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와 영화 <꽃잎>을 중심으로" 문학과영상학회 8 (8): 223-246, 2007

      23 김효정, "소설과 영화의 서술 양상 연구: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와 <꽃잎>을 중심으로" 27 : 2010

      24 장선우, "새로운 영화를 위하여" 학민사 1983

      25 장선우, "새로운 영화를 위하여" 학민사 1983

      26 장선우, "민중영화의 모색" (봄) : 1985

      27 장선우, "문학과 예술의 실천논리" 실천문학사 1983

      28 프로이트, "무의식에 관하여" 열린책들 1997

      29 김종대, "독일 희곡 이론사" 문학과지성사 1986

      30 윤철호, "끝없는 변신, <꽃잎>의 감독 장선우"

      31 김영진, "관객에게 넘긴 또하나의 숙제" (45) : 1996

      32 조선희, "관객발언 <꽃잎>"

      33 배장수, "‘꽃잎’은 5월 광주의 ‘씻김굿’"

      34 Kim, Kyung Hyun, "The Remasculinization of Korean Cinema" Duke UP 2004

      35 조보라미, "MBC 베스트셀러극장 <소나기> 각색 연구: 한국사의 아픔에 대한 애도와 치유"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41 : 125-156, 2018

      36 이덕화,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와 영화 <꽃잎>의 비교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35) : 209-232, 2008

      37 황혜진, "<꽃잎>의 맥락, 역사적 사건의 대중문화적 수용" 14 : 1998

      38 이수현, "<꽃잎>에 나타난 영상미학과 각색의 원리" 문학과영상학회 10 (10): 167-190, 2009

      39 김용언, "90년대 최고의 ‘문제적 감독’을 돌아보다" (770) :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Literature And Film -> The Korean Association Of Literature and Film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7 0.17 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6 0.491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