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입학전형과 대학생의 대학 생활 및 대학ㆍ전공 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 Relationship among College Admission System, College Students’ College Life and Satisfaction on College Major,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65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 교육고용패널조사의 중3 코호트 중에서 4차 년도(2007년 조사, 당시 고3), 5차 년도(2008년 조사, 당시 대1), 6차 년도(2009년 조사, 당시 대2), 7차 년도(2010년 조사, 당시 대3), 8차 년...

      이 연구는 한국 교육고용패널조사의 중3 코호트 중에서 4차 년도(2007년 조사, 당시 고3), 5차 년도(2008년 조사, 당시 대1), 6차 년도(2009년 조사, 당시 대2), 7차 년도(2010년 조사, 당시 대3), 8차 년도(2011년 조사, 당시 대4), 9차 년도(2012년 조사, 당시 대졸), 10차 년도(2013년 조사, 당시 대졸) 추적 결과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부 중심전형 대 수능중심전형에 초점을 주어 대입전형 방식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첫째, 학생부중심전 형 학생이 수능중심전형 학생보다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학생부를 통해 선발된 학생들이 1학년 학업성취도에서는 떨어지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적이 더 향상되었다. 둘째, 학생부중심전형의 전형 요소인 학생부 교과와 학생부 비교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대비변수가 유의한 값을 갖지 않는데 이는 학생부 교과와 학생부 비교과 전형 요소를 통해 선발된 학생들의 2, 3, 4학년 누적 평균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없게 나타나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성적 이외 의 요소를 중심으로 선발된 학생부 비교과 전형 요소 선발 학생들의 대학교 학업성취도가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를 불식시키는 결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학생부중심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이 수능중심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학점 관리를 더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며, 학생부 비교과 자료를 대입전형에 활용할 경우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조사 자료의 보완을 통해 심층적인 분석을 해 볼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college admiss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school records and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by apply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ata of the 4th y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college admiss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school records and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by apply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ata of the 4th year (2007, 3rd grade in high school), the 5th year (2008, freshman in college), the 6th year (2009, sophomore), the 7the year (2010, junior), the 8th year (2011, senior), the 9th year (2012, graduator),and the 10th year (2013, graduator) among cohorts in 3rd grade in middle school based on the research of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 students of school records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s than those of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They gradually increased their academic performance except the first year in college. Second, no significant values are observed in the contrast variables that indicate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selected by curriculum records and students by non-curriculum sinc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ccumulated academic achievements in sophomore, junior, and senior students. Therefore,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selected by non-curriculum records have the same academic achievements.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academic performance, the attitudes and motivation for their major studies should be reinforced. Especially, it is verifi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studies increases the academic performance for the students selected by their academic records and the class attitude is the key for the students selected by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선행연구 분석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 Ⅱ. 선행연구 분석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윤미, "전문대학 입학사정과제의 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 : 노동시장에서의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2 서울신문, "입학사정관제가 부른 ‘로봇 영재’의 죽음"

      3 이광현,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생들의 대학생활 분석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4 유현실, "입학사정관전형 학생의 추수 관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2013

      5 양인준,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 종단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14

      6 윤성이,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 성과연구" 경희대학교 2013

      7 전경애,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의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08-517, 2012

      8 우정민, "입학 전형요소와 학업성취도 관계 분석을 통한 대학입학사정관제도 실효성 고찰" 2012 (2012): 153-179, 2012

      9 전자매일신문, "부작용 많은 입학사정관제 빨리 보완해야"

      10 지은림, "대학전형의 다양화를 위한 전형자료들의 예측 타당도 분석" 14 (14): 155-172, 2001

      1 최윤미, "전문대학 입학사정과제의 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 : 노동시장에서의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2 서울신문, "입학사정관제가 부른 ‘로봇 영재’의 죽음"

      3 이광현,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생들의 대학생활 분석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3

      4 유현실, "입학사정관전형 학생의 추수 관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2013

      5 양인준,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 종단연구" 서울시립대학교 2014

      6 윤성이,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 성과연구" 경희대학교 2013

      7 전경애,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의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08-517, 2012

      8 우정민, "입학 전형요소와 학업성취도 관계 분석을 통한 대학입학사정관제도 실효성 고찰" 2012 (2012): 153-179, 2012

      9 전자매일신문, "부작용 많은 입학사정관제 빨리 보완해야"

      10 지은림, "대학전형의 다양화를 위한 전형자료들의 예측 타당도 분석" 14 (14): 155-172, 2001

      11 김지하, "대학입학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교육성과 차이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1 (41): 209-230, 2010

      12 박성수, "대학입학 전형요소와 대학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4 (34): 27-56, 2007

      13 신정철,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그 영향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287-313, 2008

      14 신정철,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관한 연구" 직업능력개발원 2007

      15 조범진,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관련요인들의 관계분석" 2012

      16 김현철, "대학생의 학업성취(Ⅱ)에 대한 새로운 예측변수의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32 (32): 247-274, 2005

      17 김현철, "대학생의 학업성취(Ⅰ): 대입 전형요소와 학습동기의 예측력 비교" 한국교육학회 42 (42): 343-378, 2004

      18 최정윤,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대학의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199-222, 2009

      19 고장완, "대학생의 학습 및 비학습 경험이 인지적⋅정의적 성과와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69-194, 2011

      20 오정현, "대학 입학전형별 학업성취도 연구" 한국통계학회 23 (23): 987-996, 2010

      21 이두현, "대학 입학유형별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22 이수정, "대입제도의 변화가 사교육비 지출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 (20): 121-141, 2011

      23 채창균, "대입정책의 변화가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기술부 2009

      24 송일근, "대입전형요소와 대학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25 이수정, "대입전형에서 학생부 내신 반영 강화 정책과 고교생의 사교육비 지출간의 관련성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17): 125-150, 2014

      26 김안나, "대입 전형유형별 학업성취도의 차이와 그 의미" 한국교육사회학회 19 (19): 91-106, 2009

      27 김위정, "대입 입학사정관 전형 지원 계획이 사교육비 지출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85-117, 2013

      28 김지하, "내신성적과 수학능력시험성적이 대학진학 및 대학성취도 선행지표에 주는 영향력 비교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585-609, 2007

      29 이경희, "고교성적, 수능성적, 대학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고찰 :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10): 313-342, 2010

      30 김미숙, "고교-대학연계를 위한 대입전형연구(V)-대입 전형 요소와 대학수학능력의 관계" 한국교육개발원 2008

      31 김신영, "5·31 이후 교육평가 정책의 변화와 발전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32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7학년도 대학입학 시행계획 주요사항"

      33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

      34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6학년도 대학입학 시행계획 주요사항"

      35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5학년도 수시모집 모집요강 주요사항"

      36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5학년도 대학입학 시행계획 주요사항"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