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심리학 기반 핵심역량 교육과정 재구성이 초등학생의 Crucial Cs와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아들러 심리학의 핵심역량인 Crucial Cs(관계, 능력,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심리학 기반 핵심역량 교육과정 재구성이 초등학생의 Crucial Cs와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아들러 심리학의 핵심역량인 Crucial Cs(관계, 능력, ...
이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심리학 기반 핵심역량 교육과정 재구성이 초등학생의 Crucial Cs와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아들러 심리학의 핵심역량인 Crucial Cs(관계, 능력, 중요, 용기)로 3~6학년 교육과정(교과 및 창의적 체험 활동)을 재구성하였다. 사회적 관심의 특성인 자기 수용, 타인 존중, 상호 협력 및 공헌 세 영역으로 구분하고, 학년별 교육과정 분석 및 관련 내용 추출을 통해 프로젝트 교육활동을 구안하였다. 영역별로 10~12차시, 총 137차시(3학년 34차시, 4학년 33차시, 5학년 34차시, 6학년 36차시)로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은 S시 소재 S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 한 학급씩 총 네 학급 104명(3학년 24명, 4학년 26명, 5학년 27명, 6학년 27명)이며, 실험집단만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의 양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Crucial Cs 척도(Cice, 2018), 사회적 관심 척도(김영아, 2018)로 사전, 사후검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전-사후 종속(대응) 표본 t 검정을 하였다. 또한, 질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초기 기억 검사(Clark, 2002), 동적 가족화 검사(Burns & Kaufman, 1970) 및 소감문을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아들러 심리학 기반 핵심역량 교육과정 재구성은 초등학생의 Crucial Cs와 사회적 관심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몇몇 학생들의 초기 기억, 동적 가족화 및 소감문에서 유의미한 질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 아들러 심리학 기반 Crucial Cs 핵심역량을 교육과정에 적용함으로써 학생의 인성교육 및 건강한 성장 발달에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lerian Core Competency Curriculum Reconstruction on the Crucial Cs and Social Interes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urriculum (subjects and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for gr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lerian Core Competency Curriculum Reconstruction on the Crucial Cs and Social Interes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urriculum (subjects and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for grades 3-6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Crucial Cs (Connect, Capable, Count, Courage), the Core Competencies of Adlerian Psychology. The project's educational activities were designed by analyzing the curriculum for each grade and extracting relevant content, which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self-acceptance, respect for others, and mutual cooperation and contribution,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social interest. For each area, the program consisted of 10-12 lessons, for a total of 137 lessons (34 for 3rd grade, 33 for 4th grade, 34 for 5th grade, and 36 for 6th grade). Subjects were 104 students (24 students in 3rd grade, 26 students in 4th grade, 27 students in 5th grade, and 27 students in 6th grade) in four classes, one class for each grade from 3rd to 6th grade at S Elementary School in S City, and on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signed.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Crucial Cs scale (Cice, 2018), Social Interest scale (Kim, 2018). For quantitative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 pre-post dependent (paired) samples t-test. In addition, the Early Recollections (Clark, 2002), KFD (Burns & Kaufman, 1970), and reflective writing were used to analyze qualitative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dlerian Core Competency Curriculum Reconstruc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rucial Cs and Social Interes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qualitative changes in some students' Early Recollections, KFD, and reflective writing.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application of Adlerian Crucial Cs Core Competency in the curriculum is effective for character education and healthy growth development of stud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옥, "회복적 생활교육에 대한 아들러 심리학의 관점과 교육적 시사점"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2 박영무, "현장연구 보고서의 문제점" 10 : 17-31, 2000
3 이용숙, "현장 연구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고찰" 5 (5): 83-114, 2002
4 이승호, "혁신학교 정책집행과정 특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5 Nelson, J., "학급긍정훈육법: 친절하고 단호한 교사의 비법" 에듀니티 2013
6 이윤소, "포스트모던 사유를 통한 역량교육에 대한 고찰"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4 (4): 25-42, 2019
7 정제영, "포스트 코로나, 에듀테크와 미래 교육의 방향"
8 오재호,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1-25, 2020
9 조영철 ; 장진아 ; 이상원,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유·초연계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지속가능한 생태환경과 미래기술’ 주제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소 39 (39): 29-53, 2023
1 이혜옥, "회복적 생활교육에 대한 아들러 심리학의 관점과 교육적 시사점"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2 박영무, "현장연구 보고서의 문제점" 10 : 17-31, 2000
3 이용숙, "현장 연구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고찰" 5 (5): 83-114, 2002
4 이승호, "혁신학교 정책집행과정 특징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5 Nelson, J., "학급긍정훈육법: 친절하고 단호한 교사의 비법" 에듀니티 2013
6 이윤소, "포스트모던 사유를 통한 역량교육에 대한 고찰"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4 (4): 25-42, 2019
7 정제영, "포스트 코로나, 에듀테크와 미래 교육의 방향"
8 오재호, "코로나19가 앞당긴 미래, 교육하는 시대에서 학습하는 시대로" 1-25, 2020
9 조영철 ; 장진아 ; 이상원,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유·초연계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지속가능한 생태환경과 미래기술’ 주제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소 39 (39): 29-53, 2023
10 김영아, "청소년용 사회적 관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8
11 김지소 ; 이상원, "진로교육과 연계된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초등교육연구소 38 (38): 75-97, 2022
12 이영애, "유아기 자녀의 부모를 위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1 (1): 31-56, 2009
13 이주연 ; 이근호 ; 이병천 ; 가은아, "역량기반 학교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특징 분석: 교육과정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20): 1-30, 2017
14 이지영 ; 은혁기, "아들러(Adler) 개인심리학에 기반한 초등학교 4학년 교육과정 내용분석: 공동체 감각 향상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1 (21): 115-140, 2022
15 이정민,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에 중점을 둔 학급 운영 단일 사례 연구: 소규모학교에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16 유리향,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핵심역량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관심과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8 (18): 417-434, 2019
17 강지영 ; 유리향,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소 38 (38): 123-142, 2022
18 유리향, "아들러 심리학에 기반한 격려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만족도,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21 (21): 419-430, 2021
19 Clark, A. J., "아들러 심리학에 기반을 둔 초기회상: 상담 이론 및 실제" 학지사 2017
20 이미옥, "아동용 한국판 동적가족화 평가기준 개발" 한국미술치료학회 19 (19): 1355-1376, 2012
21 이원희, "미래사회와 학교교육과정의 과제 : 역량 개발과 다문화 공동체 형성" 37 (37): 1-19, 2016
22 남상덕,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어촌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해양환경인식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소 38 (38): 111-134, 2022
23 정한별 ; 문성환, "로봇 활용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소 39 (39): 1-22, 2023
24 정현희, "동적가족화에 의한 일반아동과 임상아동 판별" 한국미술치료학회 20 (20): 675-687, 2013
25 김봉환, "뉴 노멀 시대의 진로교육의 방향" 1 : 19-42, 2022
26 유리향, "교사를 위한 아들러 심리학" 학지사 2018
27 오익수, "공동체 의식함양을 통한 인성교육"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505-520, 2016
28 곽현경,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소속감과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9 노안영, "개인심리학적 상담: 아들러 상담" 학지사 2021
30 Dinkmeyer, D., "The skill of encouragement" CRC Press LLC 1996
31 Yang, J., "The psychology of courage: An Adlerian handbook for healthy social living" Routledge 2010
32 Ansbacher, H. L., "The concept of social interest" 24 (24): 28-46, 1991
33 Power, R. L., "The Key to Psychotherapy: Understand the Self-Created Individual" Adlerian Psychology Associates 2012
34 Adler, A., "Superiority and social interest"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64
35 Lew, A., "Responsibility in the classroom: A teacher’s guide to understanding and motivation students" Connexions Press 1998
36 Dreikurs, R., "Psychodynamics,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Alfred Adler Institute 1967
37 Kottman, T., "Partners in Play: An Adlerian Approach to Play Therapy"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016
38 Dreikurs, R., "Maintaining sanity in the classroom:Classroom management techniques" Accelerated Development 1998
39 Rasmussen, P. R., "Life Tasks and Psychological Muscle" 76 (76): 308-327, 2020
40 Sperry, L., "Learning and practicing Adlerian therapy" Cognella Academic Publishing 2018
41 Burns, R. C., "Kinetic Family Drawings(K-F-D): An Introduction to Understanding Children Through Kinetic Drawing" Brunner/Mazel 1970
42 Mosak, H. H., "Early recollections: Interpretative method and application" Brunner-Routledge 2006
43 Dreikurs, R., "Discipline without tears: How to reduce conflict and establish cooperation in the classroom" Wiley 2004
44 Bettner, B. L., "Creativity and Crucial Cs at the virtual 2020 ICASSI"
45 Cice, J. A., "Cice Crucial Cs Assessment (CCCA): Design,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ity establishment for an assessment of the Crucial Cs" Marywood University 2018
46 Sweeney, T. J., "Adleria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 practitioner’s approach" Routledge 2009
47 Carlson, J. D., "Adlerian Therapy: Theory and Practice"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2006
48 정현동 ; 오익수, "Adler 이론에 근거한 공동체 의식 함양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5 (15): 23-34, 2016
49 윤재원 ; 강영신, "Adler 상담이론을 바탕으로 한 청소년 사회적 관심 향상 집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99-125, 2017
50 임종헌 ; 유경훈 ; 김병찬,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4 (44): 5-32, 2017
51 김대식, "4차 산업혁명 시대 초등교육의 정체성과 역할" 한국교육사상학회 31 (31): 23-45, 2017
52 서울특별시교육청, "2022 서울인성교육 시행계획" 서울특별시교육청 2022
53 이찬승, "2015 개정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심각한 문제 있다!"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54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초등학교"
저경력 초등교사들의 과학 학습 지도 상황은 어떠하고, 무엇을 어려워하는가?-과학 학습 지도를 위한 지원 방안 모색-
데이터기반교수의 적용 가능성 탐색: 의사결정 및 교수 변경 단계를 중심으로
NTACT 질적 지표에 기반한경계선 지능 아동 중재 단일대상연구 분석
존 듀이 관점에서 포스트코로나시대 음악교육의 가치와 역할: 『민주주의와 교육』과 『경험으로서의 예술』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