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치원교사의 교직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 =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and Factors Influencing Occupational Satisfaction among Preschool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38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and factors influencing occupational satisfaction among preschool teachers. A total of 180 preschool teachers living in the Seoul-Incheon area completed an open-ended and structur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present author(2009).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was composed of 'career-choice motiv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n nursery education' and 'the most rewarding thing in teaching'. To examine occupational satisfaction,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areer-choice motivation as perceived by preschool teachers,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liking children', followed by 'wanting to be a teacher'. Second, as for the most important thing in nursery education, teachers under 5 years of career listed 'attention and love for preschoolers', followed by 'upright nature education' and 'faithful basic education'. Teachers over 5 years of career listed 'upright nature education', followed by 'attention and love for preschoolers' and 'quality of teachers'. Third, the most rewarding thing in teaching was 'children's change'. Fourth, teachers over 5 years of career and teachers who have higher level of education were more likely to satisfy educational environment. Fifth, educational environment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vel of education, the number of class, career experience and salary, bu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facilities' type and working hours. Sixth, factors influencing occupational satisfaction were 'working hours' and 'posi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and factors influencing occupational satisfaction among preschool teachers. A total of 180 preschool teachers living in the Seoul-Incheon area completed an open-ended and 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and factors influencing occupational satisfaction among preschool teachers. A total of 180 preschool teachers living in the Seoul-Incheon area completed an open-ended and structur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present author(2009).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was composed of 'career-choice motiv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n nursery education' and 'the most rewarding thing in teaching'. To examine occupational satisfaction,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areer-choice motivation as perceived by preschool teachers, the most frequent response was 'liking children', followed by 'wanting to be a teacher'. Second, as for the most important thing in nursery education, teachers under 5 years of career listed 'attention and love for preschoolers', followed by 'upright nature education' and 'faithful basic education'. Teachers over 5 years of career listed 'upright nature education', followed by 'attention and love for preschoolers' and 'quality of teachers'. Third, the most rewarding thing in teaching was 'children's change'. Fourth, teachers over 5 years of career and teachers who have higher level of education were more likely to satisfy educational environment. Fifth, educational environment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vel of education, the number of class, career experience and salary, bu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facilities' type and working hours. Sixth, factors influencing occupational satisfaction were 'working hours' and 'posi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의 주된 목적은 유치원교사의 교직에 대한 인식을 질적 분석으로 확인하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경인지역의 유치원 교사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자유반응형 3문항과 직무만족도관련 16문항을 연구자(2009)가 직접 제작하였다. 연구내용은 교직인식으로 교직선택동기, 유아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 교사로서의 보람으로 구성되었고, Likert 5점 척도의 직무만족도는 직업만족과 교육환경만족을 하위변인으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후 관련 변인별 차이검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직업 선택 동기로는 ‘아이들이 좋아서’와 ‘교사가 되고 싶어서’ 가 가장 많은 반응을 보였다. 둘째, 유아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5년 미만의 교사는 ‘유아에 대한 관심과 사랑’, ‘올바른 인성교육’, ‘기초교육에 충실’로 응답한 반면 5년 이상의 경력이 있는 교사는 ‘올바른 인성교육’, ‘유아에 대한 관심과 사랑’, ‘교사의 자질’의 순으로 응답해 경력별로 다른 반응을 보였다. 셋째, 교사로서의 보람에 대한 응답은 ‘아이들의 변화’가 과반수를 넘게 반응하였다. 넷째, 근무경력별 차이에서는 5년 이상의 교사들의 교육환경에 만족도가 높았고, 학력이 높을수록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다섯째, 교육환경 만족도와 학력, 학급수, 근무경력, 월급은 정적인 관계가 있었으나, 시설유형, 근무시간과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여섯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직업만족에서는 직위, 교육환경만족에서는 근무시간, 월급, 학급수였으며, 직무만족도 전체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근무시간과 직위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연구의 주된 목적은 유치원교사의 교직에 대한 인식을 질적 분석으로 확인하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경인지역의 유치원 교사 180명을 대상으로 ...

      연구의 주된 목적은 유치원교사의 교직에 대한 인식을 질적 분석으로 확인하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경인지역의 유치원 교사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자유반응형 3문항과 직무만족도관련 16문항을 연구자(2009)가 직접 제작하였다. 연구내용은 교직인식으로 교직선택동기, 유아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 교사로서의 보람으로 구성되었고, Likert 5점 척도의 직무만족도는 직업만족과 교육환경만족을 하위변인으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후 관련 변인별 차이검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직업 선택 동기로는 ‘아이들이 좋아서’와 ‘교사가 되고 싶어서’ 가 가장 많은 반응을 보였다. 둘째, 유아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5년 미만의 교사는 ‘유아에 대한 관심과 사랑’, ‘올바른 인성교육’, ‘기초교육에 충실’로 응답한 반면 5년 이상의 경력이 있는 교사는 ‘올바른 인성교육’, ‘유아에 대한 관심과 사랑’, ‘교사의 자질’의 순으로 응답해 경력별로 다른 반응을 보였다. 셋째, 교사로서의 보람에 대한 응답은 ‘아이들의 변화’가 과반수를 넘게 반응하였다. 넷째, 근무경력별 차이에서는 5년 이상의 교사들의 교육환경에 만족도가 높았고, 학력이 높을수록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다섯째, 교육환경 만족도와 학력, 학급수, 근무경력, 월급은 정적인 관계가 있었으나, 시설유형, 근무시간과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여섯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직업만족에서는 직위, 교육환경만족에서는 근무시간, 월급, 학급수였으며, 직무만족도 전체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근무시간과 직위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은주, "특수교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237-257, 2009

      2 추헌, "조직행동론" 형설출판사 1993

      3 서지영, "유치원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4 이정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8 : 115-132, 2005

      5 고미경, "유치원 교사의 근무 여건과 전문성 향상 요구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51-284, 2006

      6 윤건호, "유아교육교사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비교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123-146, 2003

      7 문채련,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 14 (14): 387-399, 2005

      8 이연승,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7 (7): 10-260, 2003

      9 최미숙, "유아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전문성 인식에 따른 교사행동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95-215, 2005

      10 박영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및 창의적 인성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275-298, 2009

      1 조은주, "특수교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237-257, 2009

      2 추헌, "조직행동론" 형설출판사 1993

      3 서지영, "유치원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4 이정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8 : 115-132, 2005

      5 고미경, "유치원 교사의 근무 여건과 전문성 향상 요구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51-284, 2006

      6 윤건호, "유아교육교사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비교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123-146, 2003

      7 문채련,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 14 (14): 387-399, 2005

      8 이연승,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연구: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7 (7): 10-260, 2003

      9 최미숙, "유아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전문성 인식에 따른 교사행동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95-215, 2005

      10 박영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및 창의적 인성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275-298, 2009

      11 박영신, "사회적 지원과 교사효능감이 직무성취도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 교사에 대한 단기 종단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491-520, 2009

      12 서영숙, "보육정보센터; 보육정책과 보육현장을 이어주는 허브" 2009

      13 변미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6 (36): 95-117, 2004

      14 이성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1-50, 2007

      15 최남규, "교직선택의 동기와 교사자질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3

      16 김주경, "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교직만족도와의 관계"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7 Osborn, R. N., "Organization theory" John Wiley & Sons, Inc. 1980

      18 Jorde Bloom, P., "Factor influencing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nt" 3 (3): 107-122, 1988

      19 윤종건, "21세기 학교조직의 경영론" 원미사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2 1.92 2.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1.93 2.336 0.8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