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일 척도형용사의 대조 연구 -「많다(多い)」와 「깊다(深い)」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Japanese Measure Adjectives : Focused on “manhta / ooi” and “kiphta / huka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552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Korean and Japanese measure adjectives, with a focus on the Korean adjectives manhta and kiphta and the Japanese adjectives ooi and hukai, both within the cross-language pair and with other synonymous measure a...

      The present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Korean and Japanese measure adjectives, with a focus on the Korean adjectives manhta and kiphta and the Japanese adjectives ooi and hukai, both within the cross-language pair and with other synonymous measure adjectives.
      The Japanese ooi differs from the other adjectives in terms of its qualitative property since it is not usually employed as a degree modifier in combination with gradable nouns, and, even when used jointly with gradable nouns, it largely retains its numerical sense.
      However, unlike ooi, the Korean manhta is widely used as a degree marker – it can not only denote a numerical sense but also often replaces other measure adjectives such as khuta and nophta.
      The Japanese collocations noun(postposition)+ooi and ookuno+noun chiefly correspond with the Korean manhta and manhun, respectively. However, the Korean collocations noun (postposition)+manhta and manhun+noun correspond not with the Japanese ooi but with other Japanese measure adjectives such as ookii or takai.
      The above Korean usages mostly allow the use of the other measure adjectives used as degree markers such as khuta and nophta.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the Japanese hukai usually translates not as its Korean direct equivalent kiphta, but as manht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정도명사와 결합하여 정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형용사 중, 한국어 「많다」와 「깊다」, 일본어 「多 い」와 「深い」를 중심으로 다른 척도형용사와의 유의 관계 및 한・일...

      본고에서는 정도명사와 결합하여 정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형용사 중, 한국어 「많다」와 「깊다」, 일본어 「多 い」와 「深い」를 중심으로 다른 척도형용사와의 유의 관계 및 한・일 대응 관계를 대조 고찰하였다. 한국어 「많다」 는 일본어 「多い」와 달리, 수량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크다」,「높다」등 다른 척도형용사와 교체될 수 있는, 정도의크기를 나타내는 의미용법이 활발한 점을 통해 일본어 「많다」와 달리 정도성을 나타내는 데에 다용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어 「名詞+多い」,「多くの+名詞」 용례는 대부분 한국어 「명사+많다」,「많은+명사」에 대응되지만, 정도성의 의미가 강한 「명사+많다」,「많은+명사」는 대부분 일본어의 「名詞+多い」, 「多くの +名詞」에 대응되지 않고, 「大きい/大きな」,「高い」등 다른 척도형용사 연어 형식에 대응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경우 한국어에서도 「크다」,「높다」 등과 같은 대표적 척도형용사와 교체할 수 있는 경우도 많았지만, 한국어 「많다/많은」이 「深い」에 대응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점은 「깊다」와 「深い」 용례에 대한 대응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와의 대조를 통해서 한국어 「많다」는 「크다」「높다」 등 다른 척도형용사와 같이 정도성을 나타내는 데에 다용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철우, "형용사 논항 의미부류 표준화를 위한 기초 연구 - '크다, 작다, 많다, 적다'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8) : 123-153, 2004

      2 정하준, "한일번역에서의 ‘多い, 大きい, 高い, 強い’ 연구 - 신문기사 번역을 중심으로 -"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61-83, 2015

      3 유주영, "한일 정도 형용사 ‘높다’와 ‘高い’의 다의성 대조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15

      4 유은성, "한국어와 일본어의 「명사(조사)+형용사」형연어에 관한 대조연구" 한국일어일문학회 97 (97): 123-143, 2016

      5 김진수, "한․중 공간형용사 ‘높다’와 ‘高’의 의미 대조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87) : 35-63, 2013

      6 胥陽, "한·중 양극적 맞섬말의 다의 구조 연구 : 척도 형용사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7 "표준국어대사전"

      8 김준기, "척도 형용사의 다의성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67) : 119-142, 2004

      9 강경완, "연어패턴추출에 의한 유의형용사의 구별-「大きい·強い·深い」의 한정용법을 중심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92 (92): 3-21, 2015

      10 강현화, "연어 관계를 이용한 어휘교육 방안 -유표적 척도 형용사 부류의 코퍼스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4 (4): 45-60, 2008

      1 박철우, "형용사 논항 의미부류 표준화를 위한 기초 연구 - '크다, 작다, 많다, 적다'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8) : 123-153, 2004

      2 정하준, "한일번역에서의 ‘多い, 大きい, 高い, 強い’ 연구 - 신문기사 번역을 중심으로 -"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61-83, 2015

      3 유주영, "한일 정도 형용사 ‘높다’와 ‘高い’의 다의성 대조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15

      4 유은성, "한국어와 일본어의 「명사(조사)+형용사」형연어에 관한 대조연구" 한국일어일문학회 97 (97): 123-143, 2016

      5 김진수, "한․중 공간형용사 ‘높다’와 ‘高’의 의미 대조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87) : 35-63, 2013

      6 胥陽, "한·중 양극적 맞섬말의 다의 구조 연구 : 척도 형용사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7 "표준국어대사전"

      8 김준기, "척도 형용사의 다의성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67) : 119-142, 2004

      9 강경완, "연어패턴추출에 의한 유의형용사의 구별-「大きい·強い·深い」의 한정용법을 중심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92 (92): 3-21, 2015

      10 강현화, "연어 관계를 이용한 어휘교육 방안 -유표적 척도 형용사 부류의 코퍼스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4 (4): 45-60, 2008

      11 세대학교,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2005

      12 민중서림편집국, "민중엣센스 국어사전 전면개정판" 민중서림 2001

      13 "다음 일본어사전(뉴에이스 일한/한일사전)"

      14 "네이버 일본어사전(민중엣센스 일한/한일사전) "

      15 김억조, "국어 차원 형용사의 의미 대립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16 "국립국어원 언어정보나눔터 말뭉치"

      17 박선영, "공간 차원 형용사의 대립 관계 연구: ‘깊다/얕다’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회 23 : 57-76, 2007

      18 服部匡, "程度的な側面を持つ名詞とそれを量る形容詞類との共起関係 - 通史的研究-" 日本言語学会 (140) : 89-116, 2011

      19 秋元美晴, "程度名詞と形容詞の連語性" 日本語教育学会 (102) : 20-29, 1999

      20 大阪外国語大学朝鮮語研究室, "朝鮮語大辞典" 角川書店 1985

      21 高恩淑, "時 · 空間性 形容詞構文에 관한 考察 -韓國語와의 對照를 中心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55 (55): 1-18, 2005

      22 砂川有里子, "日本語教育のためのコーパス言語学" ひつじ書房 211-, 2012

      23 生天目知美, "数値が大きいことを表す「高い」「大きい」の類義用法 -BCCWJを資料としたコーパス分析" (32) : 49-68, 2013

      24 国立国語研究所, "形容詞の意味・用法の記述的研究" 秀英出版 329-332, 1972

      25 新村出編, "広辞苑第四版" 岩波書店 1991

      26 金田一春彦, "学研国語大辞典" 学習研究社 1988

      27 西内沙恵, "多義的次元形容詞の構造とその導入に関する一考察 -現代日本語形容詞「高い」への観察から" 立教日本語教育実践学会 (3) : 148-156, 2016

      28 服部匡, "名詞と尺度形容詞類の共起頻度の推移-国会会議録のデータから-" (12) : 1-11, 2012

      29 黒崎亜美, "中上級日本語学習者による形容語彙の算出-" 日本語教育学会 (141) : 46-56, 2009

      30 "デジタル大辞泉"

      31 今井忍, "なぜ「多い学生」「少ない本」と言えないのか -<存在>という意味成分に基づく再検討-" 大阪大学日本語日本文化教育センター (38) : 53-79, 2012

      32 服部匡, "「可能性が高い/大きい/強い」に使い分けはあるか" 64 : 43-51, 2013

      33 정하준, "‘강하다, 높다, 많다, 크다’의 일본어 번역례 연구 - 신문기사 번역을 중심으로 -" 한국일본어문학회 1 (1): 197-216, 2015

      34 민영란, "{높다/낮다}와 {高/低}의 다의 구조 비교·대조 연구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응관계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31) : 371-402, 2010

      35 "KOTONOHA(現代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5 0.84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