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림사지 창건시기 재고 = Reconsiderat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Jeongnimsaji Temple Si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978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was believed that Jeongnimsa temple was built after the capital was moved from Gongju to Buyeo.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built A.D. $625{\pm}20$ by conducting a paleomagnetic analysis on the fireplace, which was recently found at the bottom of ...

      It was believed that Jeongnimsa temple was built after the capital was moved from Gongju to Buyeo.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built A.D. $625{\pm}20$ by conducting a paleomagnetic analysis on the fireplace, which was recently found at the bottom of Jungmunji(middle gate). Consequently, it is assumed that the temple was built in the early 7th century unlike the previous point of view.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if the fireplace at the bottom of Jungmunji was found at the geological stratum representing the Jeongnimsa temple. Moreover, the study examined when the fireplace at the bottom of Jungmunji was constructed on the soil stratum. It is possible that the fireplace was built in the early 7th century as shown in the paleomagnetic analysis. However, when we compared the soil strata of the Jungmunji and the existing five-story stone pagoda, it showed that the ground was prepared differently and they were built over a fairly long period of time. Furthermore, I discovered that there was a wooden pagoda under the five-story stone pagoda by examining the soil strata map. Therefore, previous studies evaluated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buildings of Jeongnimsa temple and concluded that it was built in the early 7th century. It is hard to determine when the temple was built based on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buildings, because it takes a long time to build a temple and auxiliary buildings can be relocated during this long construction period. Rather, we have to admit that there are various arrangement patterns through minor changes in buildings from the one pagoda and one main building(Geumdang) arrang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표, "왕흥사 목탑의 복원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19 (19): 7-30, 2010

      2 국립부여박물관, "부여정림사지" 2015

      3 정자영, "부여 정림사지 가람배치와 편년적 검토" 한국상고사학회 76 (76): 135-162, 2012

      4 박순발, "백제의 도성" 충남대학교출판부 2010

      5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백제사찰연구" 2013

      6 嚴基杓, "백제 석탑의 선후에 대한 고찰 -목조건축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학회 (16) : 29-86, 2001

      7 탁경백, "백제 사비기 불탑의 조형기술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8 성형미, "韓國考古學 編年硏究를 위한 考古地磁氣學의 基本原理 및 適用" 한국고고학회 55 : 5-34, 2005

      9 조원창, "百濟 定林寺址 石塔 下部 軸基部 版築土의 性格" 한국고대사탐구학회 (5) : 125-158, 2010

      10 이병호, "扶餘定林寺址出土塑造像의 製作技法과 奉安場所" 國立中央博物館 (72·73) : 2005

      1 김경표, "왕흥사 목탑의 복원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19 (19): 7-30, 2010

      2 국립부여박물관, "부여정림사지" 2015

      3 정자영, "부여 정림사지 가람배치와 편년적 검토" 한국상고사학회 76 (76): 135-162, 2012

      4 박순발, "백제의 도성" 충남대학교출판부 2010

      5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백제사찰연구" 2013

      6 嚴基杓, "백제 석탑의 선후에 대한 고찰 -목조건축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학회 (16) : 29-86, 2001

      7 탁경백, "백제 사비기 불탑의 조형기술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8 성형미, "韓國考古學 編年硏究를 위한 考古地磁氣學의 基本原理 및 適用" 한국고고학회 55 : 5-34, 2005

      9 조원창, "百濟 定林寺址 石塔 下部 軸基部 版築土의 性格" 한국고대사탐구학회 (5) : 125-158, 2010

      10 이병호, "扶餘定林寺址出土塑造像의 製作技法과 奉安場所" 國立中央博物館 (72·73) : 2005

      11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扶餘定林寺址" 2011

      12 김덕문, "彌勒寺址石塔 平面形式의 時代位置" 국립문화재연구소 (37) : 151-163, 2004

      13 金正基, "彌勒寺址塔과 定林寺址塔-建立時期의 先後에관하여-" 韓國美術史學會 (164) : 1984

      14 국립문화재연구소, "定林寺역사문화적 가치와연구현황" 2008

      15 尹武炳, "定林寺址發掘調査報告書" 忠南大學校博物館·忠淸南道廳 1981

      16 藤澤一夫, "古代史院の構造に見る韓日の關係" アジア文化硏究所 8 (8): 1971

      17 白承忠, "任那復興會議의 전개와 그 성격" 효원사학회 (17) :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7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