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읽기, 쓰기와 인지처리능력 연구 = A study on reading and writing and congnitive processing from multicultural in element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414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liter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identify cognitive-linguistic predictors that can affect their literacy. First, the higher-grade students showed better cognitive-linguistic variables in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Second, it has been noted that the predictor variable of reading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was homeostasis in visual form, which is a sub-variable of visual perception. This implies that detained characteristic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ading prerequisit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recognise features and clues about the details than reading familiar words. Furthermore, learning consonants and vowels should come first rather than studying letters at the first stages of learning Korea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liter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identify cognitive-linguistic predictors that can affect their literacy. First, the higher-grade students showed better cognitive-linguistic variables 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liter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identify cognitive-linguistic predictors that can affect their literacy. First, the higher-grade students showed better cognitive-linguistic variables in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Second, it has been noted that the predictor variable of reading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was homeostasis in visual form, which is a sub-variable of visual perception. This implies that detained characteristic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ading prerequisit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recognise features and clues about the details than reading familiar words. Furthermore, learning consonants and vowels should come first rather than studying letters at the first stages of learning Kore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식성을 알아보고 문식성에 영향을 주는 인지-언어적 변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초등 저학년 46명, 초등 고학년 39명, 전체 85명이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 거주기간은 4~16년이고, 국적은 필리핀, 일본,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우즈베키스탄, 스리랑카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쓰기, 인지-언어적 변인들은 학년이 높을수록 수행능력이 높았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예언변인이 시지각 하위변인인 시각형태항상성으로 나타난 것은 읽기의 선행조건에서 세부특징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는 친숙한 단어보다는 세부특징에 대한 단서를 잘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글을 처음 배우는 단계에서 통글자 위주의 지도보다는 자음과 모음의 특징을 인식시키는 훈련이 먼저 필요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식성을 알아보고 문식성에 영향을 주는 인지-언어적 변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초등 저학년 46명, 초등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식성을 알아보고 문식성에 영향을 주는 인지-언어적 변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초등 저학년 46명, 초등 고학년 39명, 전체 85명이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 거주기간은 4~16년이고, 국적은 필리핀, 일본,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우즈베키스탄, 스리랑카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쓰기, 인지-언어적 변인들은 학년이 높을수록 수행능력이 높았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예언변인이 시지각 하위변인인 시각형태항상성으로 나타난 것은 읽기의 선행조건에서 세부특징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는 친숙한 단어보다는 세부특징에 대한 단서를 잘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글을 처음 배우는 단계에서 통글자 위주의 지도보다는 자음과 모음의 특징을 인식시키는 훈련이 먼저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순길, "학습부진아동의 문식성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27-51, 2012

      2 김복희, "특수교사의 다문화 이해도와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4 (4): 293-302, 2014

      3 박순길, "취학전 다문화가정, 농촌, 도시 아동의 문식성 및 인지 언어적 발달 비교" 한국언어치료학회 23 (23): 33-46, 2014

      4 박순길, "읽기부진아동의 문식성 예언변인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2 (12): 155-180, 2013

      5 김명희, "읽기 학습 부진아와 우수아의 음운 처리 능력 및 지각 능력 비교"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유영대, "읽기 부진아의 음운 처리 능력 및 시지각 능력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7 조증열, "도시와 농촌 아동의 인지 언어적 기술과 문식성 · 수학 능력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57-381, 2012

      8 Cho, J. R., "The Korean test of specific learning difficulties in reading and writing" Guidance 2015

      9 Gardner, M. F., "Test of Visual-Perceptual Skills(non-motor)-Revised Manual" Academic Therapy Publication 1996

      10 Lee, K. O., "Phonological rules in oral reading of Korea" 8 (8): 1-23, 1996

      1 박순길, "학습부진아동의 문식성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27-51, 2012

      2 김복희, "특수교사의 다문화 이해도와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4 (4): 293-302, 2014

      3 박순길, "취학전 다문화가정, 농촌, 도시 아동의 문식성 및 인지 언어적 발달 비교" 한국언어치료학회 23 (23): 33-46, 2014

      4 박순길, "읽기부진아동의 문식성 예언변인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2 (12): 155-180, 2013

      5 김명희, "읽기 학습 부진아와 우수아의 음운 처리 능력 및 지각 능력 비교"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유영대, "읽기 부진아의 음운 처리 능력 및 시지각 능력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7 조증열, "도시와 농촌 아동의 인지 언어적 기술과 문식성 · 수학 능력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57-381, 2012

      8 Cho, J. R., "The Korean test of specific learning difficulties in reading and writing" Guidance 2015

      9 Gardner, M. F., "Test of Visual-Perceptual Skills(non-motor)-Revised Manual" Academic Therapy Publication 1996

      10 Lee, K. O., "Phonological rules in oral reading of Korea" 8 (8): 1-23, 1996

      11 Cho, J. R., "Phonological Awareness and Morphological Awareness:Differential Associations to Regular and Irregular Word Recognition in Early Hangul Readers" 21 (21): 255-274, 2008

      1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13 Kwak, K. J., "K-WISC-3"

      14 Jeong, "Freedom from dual-discrimination" 18 (18): 31-72, 2008

      15 McBride-Chang, C., "Changing models across cultures: Associations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morphological structure awareness to vocabulary and word recognition in second graders from Beijing, Hong Kong, and United States" 92 (92): 140-160, 2005

      16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foreign population"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03

      17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0 Plan for education supports of multicultural children"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