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한 탁영금 지도방안 = A Teaching Method for Takyeonggeum Using Storytell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01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classical scholars regarded music as a tool for expressing the ideals and philosophy of life, not a simple means of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This music culture appeared most prominently in the chosun Dynasty, and its representative example was Takyeonggeum which directly was made and played by Takyeong Kim, Ilson.
      Takyeonggeum, the oldest existing Geomungo, is designated and preserved as the National Treasure No. 957. The way of life and spiritual values pursued by Kim, Ilson can be verified through the Takyeong Anthology and Geummyeong which has been engraved on the instrument. If these historical and cultural materials can be reconfigured and taught in the form of a story by using the storytell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they can be efficiently utilized in educating the role and value of music which was cherished by our ancestor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 understanding of the spiritual values inherent in the music of Korean classical scholars by utilizing the storytell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integrated contemplation through interdisciplinary study. This author expects to continue more studies for vitalizing Korean music education through academic sharing in a variety of areas related to Korean music.
      번역하기

      Korean classical scholars regarded music as a tool for expressing the ideals and philosophy of life, not a simple means of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This music culture appeared most prominently in the chosun Dynasty, and its representative example...

      Korean classical scholars regarded music as a tool for expressing the ideals and philosophy of life, not a simple means of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This music culture appeared most prominently in the chosun Dynasty, and its representative example was Takyeonggeum which directly was made and played by Takyeong Kim, Ilson.
      Takyeonggeum, the oldest existing Geomungo, is designated and preserved as the National Treasure No. 957. The way of life and spiritual values pursued by Kim, Ilson can be verified through the Takyeong Anthology and Geummyeong which has been engraved on the instrument. If these historical and cultural materials can be reconfigured and taught in the form of a story by using the storytell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they can be efficiently utilized in educating the role and value of music which was cherished by our ancestor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 understanding of the spiritual values inherent in the music of Korean classical scholars by utilizing the storytell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integrated contemplation through interdisciplinary study. This author expects to continue more studies for vitalizing Korean music education through academic sharing in a variety of areas related to Korean mus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조상들에게 음악은 연주와 감상을 위한 단순한 수단이 아닌 삶의 철학과 이상을 표출하는 존재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선비들의 음악 문화는 조선시대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탁영 김일손이 직접 제작하여 연주한 탁영금(濯纓琴)이다.
      탁영금은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거문고로 보물 제957호에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는데 김일손이 추구했던 정신적 가치와 삶의 모습은 악기에 새겨진 금명(琴銘)과 탁영문집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이러한 역사․문화적 소재는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이야기 형태로 재구성한 후 지도한다면 조상들이 생각했던 음악의 역할과 가치를 교육하는 데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양한 학문과의 연계를 통한 통합적 고찰을 토대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음악에 내재된 선비들의 정신적 가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는 데 목적이 있다. 국악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의 학문적 공유를 통해 국악교육이 활성화 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우리 조상들에게 음악은 연주와 감상을 위한 단순한 수단이 아닌 삶의 철학과 이상을 표출하는 존재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선비들의 음악 문화는 조선시대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

      우리 조상들에게 음악은 연주와 감상을 위한 단순한 수단이 아닌 삶의 철학과 이상을 표출하는 존재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선비들의 음악 문화는 조선시대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탁영 김일손이 직접 제작하여 연주한 탁영금(濯纓琴)이다.
      탁영금은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거문고로 보물 제957호에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는데 김일손이 추구했던 정신적 가치와 삶의 모습은 악기에 새겨진 금명(琴銘)과 탁영문집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이러한 역사․문화적 소재는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이야기 형태로 재구성한 후 지도한다면 조상들이 생각했던 음악의 역할과 가치를 교육하는 데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다양한 학문과의 연계를 통한 통합적 고찰을 토대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음악에 내재된 선비들의 정신적 가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는 데 목적이 있다. 국악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의 학문적 공유를 통해 국악교육이 활성화 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세곤, "호남정신의 뿌리를 찾아서" 온새미로 2008

      2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 실록" 웅진닷컴 2004

      3 백유선, "한국사 콘서트" 두리미디어 2008

      4 이성미, "한국 회화사 용어집" 다할미디어 2003

      5 조민희, "풍속화 감상 지도에서 스토리텔링 활용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5

      6 "포항시 북구청 문화재 정보:탁영금 후면의 금명(琴銘)" http://bukgu.ipohang.org/bukgu/welfare/tour/cultural_property/?mode=read&idx=12

      7 자계서원 탁영선생 문집 간행소, "탁영선생문집" 뿌리출판사 1995

      8 견일영, "탁영금" 그루 2012

      9 강유경, "조선시대 ‘琴銘’의 도가미학적 고찰" 한국동양예술학회 (18) : 33-66, 2012

      10 허경진, "악인열전" 한길사 2005

      1 김세곤, "호남정신의 뿌리를 찾아서" 온새미로 2008

      2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 실록" 웅진닷컴 2004

      3 백유선, "한국사 콘서트" 두리미디어 2008

      4 이성미, "한국 회화사 용어집" 다할미디어 2003

      5 조민희, "풍속화 감상 지도에서 스토리텔링 활용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5

      6 "포항시 북구청 문화재 정보:탁영금 후면의 금명(琴銘)" http://bukgu.ipohang.org/bukgu/welfare/tour/cultural_property/?mode=read&idx=12

      7 자계서원 탁영선생 문집 간행소, "탁영선생문집" 뿌리출판사 1995

      8 견일영, "탁영금" 그루 2012

      9 강유경, "조선시대 ‘琴銘’의 도가미학적 고찰" 한국동양예술학회 (18) : 33-66, 2012

      10 허경진, "악인열전" 한길사 2005

      11 소준섭, "십팔사략" 미래사 2004

      12 김민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민요 교육 방법 연구-상여소리를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8 (8): 5-36, 2014

      13 송정란, "스토리 텔링의 의미와 실제" 문학아카데미 2006

      14 "문화재청홈페이지: 탁영금에 대한 설명"

      15 김민하, "농업노동요의 교재곡 선정 및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16 "네이버지식백과:독서당계회도"

      17 "네이버지식백과: 지음"

      18 "네이버지식백과: 순임금"

      19 박주, "김일손의 생애와 무오사화" 조선사 연구회 12 : 2003

      20 장사훈, "국악대사전" 세광음악출판사 1984

      21 "국립문화재 연구소 소장자료: 장사훈 거문고 정악 음원 및 음반사진"

      22 "국립대구박물관 전시실"

      23 "국립국악박물관 선비음악실"

      24 강정화, "거문고에 새긴 외금내고, 청도 탁영 김일손 종가" 예문서원 2015

      25 김선한, "거문고 正樂" 한국연정국악원 2005

      26 변형석, "西溪 李德胤의 [玄琴東文類記] 初探 XIII"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9 (9): 2015

      27 조동영, "濯纓 金馹孫의 詩文學 小考" 한국고전연구학회 (25) : 123-148, 2012

      28 조항덕, "濯纓 金馹孫과 道東書院" 한국한문고전학회 24 (24): 103-142, 2012

      29 국립국악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 "20주년 특별전시 ‘국악, 박물관에 깃들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88 1.394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