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난연도료 도포 처리방법에 따른 난연성능 특성 = Fire Retardan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Painting Method for Fire Retardant Pai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716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난연도료"라는 것은 실제 화재시 가연성 재료에 대하여는 착화의 지연과 연소의 확산을 방해하는 작용을 하며, 불연성 재료에 대하여는 열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는 도료를 말한다. 즉 난연도료 자체가 난연성을 지니고 가연성 재료나 불연성 재료에 대하여 열이나 화염으로부터 피 도장물을 일정시간동안 보호하기 위한 도료를 말한다.
      본 논문의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일정한 방화성능 요구조건 하에서 수성 난연도료를 두께별, 처리방법별, 건조방법별로 도포하여 표면시험, 가스유해성시험 통하여 난연성능을 규명하였고, 최신의 방재기술인 ISO 5660-1 (콘칼로리미터법)에 의해 열방출율을 통하여 국내 난연도료의 적정성을 규명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수성 난연도료를 사용하여 두께별, 처리방법별, 건조방법별로 도포하여 표면시험과 가스유해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도포 두께는 각각 최소 0.8 ㎜, 0.1 ㎜이상은 되어야 국내기준을 만족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붓 또는 스프레이 도포한 시험체는 스프레이로 도포한 시험체가 난연성능이 조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내기준에는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포 후 자연건조 또는 강제건조 조건에서의 시험결과는 도포 후 강제건조한 시험체가 난연성능이 조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내기준에는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위의 시험 결과, 국내 건축법에서 요구하는 성능요구조건에는 단지 난열성능이 있는 도료를 도포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시공시 많은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국내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
      2.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수성 난연도료를 이용하여 1 ㎜ 이상 도포하여 국내 건축법에서 요구하는 표면시험과 가스유해성 시험뿐만 아니라, ISO 5660-1 콘칼로리미터법에 의한 열방출율실험을 실시한 결과 모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국내제품은 지속적인 품질향상을 통해 국제적인 난연기준에 부합하게 되었지만, 국내기준은 여전히 기본적인 성능평가 수준에 머물고 있어, 화재시 엄청난 인명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국제적인 추세에 맞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난연도료"라는 것은 실제 화재시 가연성 재료에 대하여는 착화의 지연과 연소의 확산을 방해하는 작용을 하며, 불연성 재료에 대하여는 열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는 도료를 말한다. 즉 난연...

      "난연도료"라는 것은 실제 화재시 가연성 재료에 대하여는 착화의 지연과 연소의 확산을 방해하는 작용을 하며, 불연성 재료에 대하여는 열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는 도료를 말한다. 즉 난연도료 자체가 난연성을 지니고 가연성 재료나 불연성 재료에 대하여 열이나 화염으로부터 피 도장물을 일정시간동안 보호하기 위한 도료를 말한다.
      본 논문의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일정한 방화성능 요구조건 하에서 수성 난연도료를 두께별, 처리방법별, 건조방법별로 도포하여 표면시험, 가스유해성시험 통하여 난연성능을 규명하였고, 최신의 방재기술인 ISO 5660-1 (콘칼로리미터법)에 의해 열방출율을 통하여 국내 난연도료의 적정성을 규명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수성 난연도료를 사용하여 두께별, 처리방법별, 건조방법별로 도포하여 표면시험과 가스유해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도포 두께는 각각 최소 0.8 ㎜, 0.1 ㎜이상은 되어야 국내기준을 만족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붓 또는 스프레이 도포한 시험체는 스프레이로 도포한 시험체가 난연성능이 조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내기준에는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포 후 자연건조 또는 강제건조 조건에서의 시험결과는 도포 후 강제건조한 시험체가 난연성능이 조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내기준에는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위의 시험 결과, 국내 건축법에서 요구하는 성능요구조건에는 단지 난열성능이 있는 도료를 도포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시공시 많은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국내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
      2.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수성 난연도료를 이용하여 1 ㎜ 이상 도포하여 국내 건축법에서 요구하는 표면시험과 가스유해성 시험뿐만 아니라, ISO 5660-1 콘칼로리미터법에 의한 열방출율실험을 실시한 결과 모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국내제품은 지속적인 품질향상을 통해 국제적인 난연기준에 부합하게 되었지만, 국내기준은 여전히 기본적인 성능평가 수준에 머물고 있어, 화재시 엄청난 인명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국제적인 추세에 맞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ire retardant paint is intended to delay ignition and to prevent fire propagation on combustible surface.
      In this study, fire retardant performances in terms of thickness, apply method, dry condition of fire retardant water paint were tested in accordance with surface test, toxic gas test. In addition, IS0 5660-1 cone calorimeter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t least 0.8∽1.0 mm thickness was required to pass surface test, toxic gas test. at the same thickness, sprayed applied and forced dried test samples showed trivial falling-offs in fire retardant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brush applied and naturally dried test samples. But such factors(thickness, apply method, dry condition) a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in domestic fire codes, which are related to fire retardant paint.
      2. As a result of the tests described, when fire retardant water paint is applied more than 1.0 rnm tick on the objects, it meets the performance criteria; surface test, toxic gas test, regulated in domestic fire-code and IS0 5660-1 heat release rate of cone calorimeter. Due to the continuous improvement quality control by manufacturers, domestic products have successfully complied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However, domestic fire codes has been at a standstill so far. Therefore, this study presumed that related domestic fire codes would need to be improved to reach the international level.
      번역하기

      Fire retardant paint is intended to delay ignition and to prevent fire propagation on combustible surface. In this study, fire retardant performances in terms of thickness, apply method, dry condition of fire retardant water paint were tested in acco...

      Fire retardant paint is intended to delay ignition and to prevent fire propagation on combustible surface.
      In this study, fire retardant performances in terms of thickness, apply method, dry condition of fire retardant water paint were tested in accordance with surface test, toxic gas test. In addition, IS0 5660-1 cone calorimeter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t least 0.8∽1.0 mm thickness was required to pass surface test, toxic gas test. at the same thickness, sprayed applied and forced dried test samples showed trivial falling-offs in fire retardant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brush applied and naturally dried test samples. But such factors(thickness, apply method, dry condition) a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in domestic fire codes, which are related to fire retardant paint.
      2. As a result of the tests described, when fire retardant water paint is applied more than 1.0 rnm tick on the objects, it meets the performance criteria; surface test, toxic gas test, regulated in domestic fire-code and IS0 5660-1 heat release rate of cone calorimeter. Due to the continuous improvement quality control by manufacturers, domestic products have successfully complied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However, domestic fire codes has been at a standstill so far. Therefore, this study presumed that related domestic fire codes would need to be improved to reach the international le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 목차 = ⅲ
      • 표목차 = ⅳ
      • 그림목차 = ⅴ
      • 사진목차 = ⅵ
      • 요약 = ⅰ
      • 목차 = ⅲ
      • 표목차 = ⅳ
      • 그림목차 = ⅴ
      • 사진목차 = ⅵ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배경 = 1
      • 1.2 연구목적 = 2
      • 1.3 연구내용 및 방법 = 3
      • 제2장 이론적 고찰 = 4
      • 2.1 난연도료 = 4
      • 2.2 연소독성 = 9
      • 2.3 열방출율 = 12
      • 2.4 목재화재의 특성 = 20
      • 2.5 국내외 내장재의 관련기준 = 32
      • 제3장 시험 및 결과 = 54
      • 3.1 시험체 = 54
      • 3.2 시험방법 = 57
      • 3.3 시험 결과 = 71
      • 제4장 결론 = 88
      • 제5장 참고문헌 = 90
      • Abstract = 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