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중·고 교실에서 영화 사용에 관한 연구: 등급과 연령의 불일치를 중심으로 = Screening films in the classroom: Focusing on classification and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20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청소년관람불가영화(이하 청불영화)와 등급/연령 불일치 영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단순하게 이러한 영화를 관람하는 것으로부터 아동·청소년을 지켜야 ...

      이 연구는 청소년관람불가영화(이하 청불영화)와 등급/연령 불일치 영화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단순하게 이러한 영화를 관람하는 것으로부터 아동·청소년을 지켜야 한다는 보호주의 관점은 결코 아니다. 사실, 일선 고등학교 현장에서 사용되는 영화 교과서에서 청불영화를 언급하거나 분석하는 내용도 있고, 이런 과정에서 교사나 학생이 등급에 대한 인식 없이 무분별하게 청불영화나 등급/연령 불일치 영화를 접하게 된다. 이런 상황은 학교현장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누구도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지 않다. 교육이라는 핑계로 청불영화와 등급/연령 불일치 영화의 교실 상영이나 소개가 모두 법적인 테두리를 뛰어넘을 수는 없을 것이다. 과연 이들 영화는 교육영화로 활용될 수 있냐는 깊은 의구심을 가지고 본 연구를 시작한다.
      청불영화나 등급/연령 불일치 영화의 학교 상영은 생각보다 어려운 문제가 아닐 수 있다. 교사가 사전에 학부의 동의를 얻는 방법이다. 하지만 실제 학교에서 이러한 복잡한 과정을 무릅쓰고 진행할 교사는 많지 않을 것이다. 현재 초·중등학교에서 교실 밖 현장체험학습을 할 때, 사전에 반드시 학부모의 동의를 요구한다. 그리고 기타 학부모의 동의가 필요한 경우 수시로 가정통신문을 통해 동의받고 있다. 영화 수업에서도 이러한 학부모의 동의 과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학교 대부분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결론적으로, 학교현장에서 청불영화와 등급/연령 불일치 영화의 무분별한 상영과 소개를 줄이고, 더욱 제도화된 환경에서 교육영화로 이들 영화의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본 연구가 지향하는 점은 청불영화와 등급/연령 불일치 영화의 교육적 활용을 제한하려는 의도보다는 불가피하게 사용된 이들 영화의 교육적 활용에 있어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데 있다. 청불영화와 등급/연령 불일치 영화에 관련된 논의는 앞으로 충분히 더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looks at methods in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R-rated films and rate/age discrepancy films. It is by no means a protectionist view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should be protected from simply watching such movies. Besides, film textbo...

      This study looks at methods in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R-rated films and rate/age discrepancy films. It is by no means a protectionist view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should be protected from simply watching such movies. Besides, film textbooks used in high school classroom deal with R-rated films, and teachers and students encounter R-rated films or rate/age-discrepancy films indiscriminately without recognition of rate classification. This situation is repeated at schools, and no one is concerned about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Under the pretext of education, both R-rated films and rate/age discrepancy films will not go beyond the legal boundaries. We begin our study with deep doubts about whether these films can be used as educational films in the classrooms.
      School screenings of R-rated or age-discrepancy films may not be as difficult as we might think. It is only way to get permission from parents in advance. However, there will not be many teachers who will go through these complicated courses. Currentl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require parents' permission in advance when conducting field trips outside the classroom. Also, if permission from parents is required, they are frequently agreed through home correspondence. This process of consent from parents is absolutely necessary in film classes. However, most schools in South Korea do not have specific guidelines for this.
      In conclusion, we should reduce the reckless screening and introduction of R-rated and age-discrepancy films at schools and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these films as educational films in a more institutionalized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prepare a refined system for the educational use of these films inevitably used rather than the intention to limit the educational use of R-rated films and rate/age discrepancy films. It is needed to discuss on these films sufficiently in the near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태웅, "청소년의 영화관람 실태에 관한 연구 : 서울 강남, 강북소재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1

      2 "청소년 보호법"

      3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4 성정헌, "영화 등급제와 청소년 보호 및 교육 문제에 관한 고찰"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2006

      5 "영상물등급위원회"

      6 현승훈, "영상물 관람 등급 분류에 따른 수용자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 청소년 관람규제 등급의 영상물을 중심으로 -" 영상미디어센터 (22) : 413-447, 2015

      7 "연합뉴스"

      8 이아람찬, "교육영화란 무엇인가 : 교육영화의 개념과 수용" 영상미디어센터 (22) : 527-549, 2015

      9 "SFGATE"

      10 "Netmums"

      1 유태웅, "청소년의 영화관람 실태에 관한 연구 : 서울 강남, 강북소재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1

      2 "청소년 보호법"

      3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4 성정헌, "영화 등급제와 청소년 보호 및 교육 문제에 관한 고찰" 중부대학교 인문산업대학원 2006

      5 "영상물등급위원회"

      6 현승훈, "영상물 관람 등급 분류에 따른 수용자 인식유형에 관한 연구 - 청소년 관람규제 등급의 영상물을 중심으로 -" 영상미디어센터 (22) : 413-447, 2015

      7 "연합뉴스"

      8 이아람찬, "교육영화란 무엇인가 : 교육영화의 개념과 수용" 영상미디어센터 (22) : 527-549, 2015

      9 "SFGATE"

      10 "Netmums"

      11 "NY Times"

      12 "LA Times"

      13 "IMDB"

      14 BFI, "Film Literacy" South Bank 2015

      15 Fossey, Richard, "Current Issues in School Leadership" Routledge 2005

      16 양정순, "'청소년 관람불가'영화에 관한 사회적 논의와 청소년의 수용태도"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1 1.115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