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발달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78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compared to students with non multi-cultural backgrounds across three areas: academic-occupational exploration,career planning, and career develop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compared to students with non multi-cultural backgrounds across three areas: academic-occupational exploration,career planning, and career development. It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r similarities of career development among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71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112 students from non multi-cultural families enrolled in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developm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especially lower in academic-occupational exploration and career planning areas than those with non multi-cultural background. Second, when only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compared to one another, regarding career development, there were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ir family economic conditions, residential area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Third, all nine sub-areas under the three main dimensions of career development were mostly highly correlated.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work-society relationship was very low.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personal relationship and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of career planning was so low. This result may prove that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not supported enough for their career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schools need to provide more practical and special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them after reflecting upon their diverse family cultural backgrounds and personal differences. Government should be mindful in establishing new educational policies for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such as retraining teachers and providing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in schools based on multi-cultural perspectives and concep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양한 개인적 가정적 특성을 지닌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진로발달이 일반학생들과는 다를 것이며 다문화가정 학생 집단 내에서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 학생들의 ...

      본 연구는 다양한 개인적 가정적 특성을 지닌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진로발달이 일반학생들과는 다를 것이며 다문화가정 학생 집단 내에서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 학생들의 진로발달 정도를 주요 세 영역 (자아인식, 학업․직업탐색, 진로계획)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5, 6학년에 재학하는 다문화가정 학생 71명과 일반학생 112명의 설문을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진로발달 세 영역 모두에서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발달 정도가 일반학생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업․직업탐색과 진로계획영역의 하위영역 모두에서 집단 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아인식영역에서 다문화가정 학생은 자신의 장점과 특성에 대한 인지정도가 낮았다. 둘째, 다문화가정 학생 집단 내에서 그 차이를 비교한 결과, 가정유형별, 생활수준별, 거주지역별, 학생의 학업성취도별, 한국어능력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발달은 하위 9개 영역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진로정보이해와 활용은 의사결정 그리고 진로계획과정과 높은 상관을 보임으로 이들을 위한 진로교육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인관계는 일과 자신․사회와의 관계 그리고 진로계획과정과 낮은 상관을 보였다. 이는 다문화가정 학생이 주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 두 영역에 대한 지원을 거의 받지 못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진로교육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 밝혀냈다. 앞으로 이들을 위한 진로교육은 다문화적 관점을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사연수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정책과 제도적 뒷받침 마련이 필수적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인숙, "현실요법을 적용한 진로상담이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 이재분, "한국 내 국제결혼가정 청소년재학 현황 및 문제" 무지개청소년센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3 교육과학기술부,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성취기준"

      4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5 이종범,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지표 개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59-72, 2005

      6 김재호, "초등학생의 가족체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 19 (19): 119-137, 2006

      7 이영대, "초등학생에 대한 진로요구도조사와 진로지도 방향" 13 : 187-201, 2001

      8 이종범, "초등학생 진로발달 요인구조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1-14, 2005

      9 정철영,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7 (17): 1-30, 2011

      10 "일자리 進路교육의 중요성, 문화일보. 칼럼"

      1 최인숙, "현실요법을 적용한 진로상담이 다문화가정 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 이재분, "한국 내 국제결혼가정 청소년재학 현황 및 문제" 무지개청소년센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3 교육과학기술부,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성취기준"

      4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5 이종범,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지표 개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59-72, 2005

      6 김재호, "초등학생의 가족체계와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의 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 19 (19): 119-137, 2006

      7 이영대, "초등학생에 대한 진로요구도조사와 진로지도 방향" 13 : 187-201, 2001

      8 이종범, "초등학생 진로발달 요인구조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1-14, 2005

      9 정철영,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7 (17): 1-30, 2011

      10 "일자리 進路교육의 중요성, 문화일보. 칼럼"

      11 박샤론, "여성 결혼이민자 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12 양계민, "미래한국사회다문화역량강화를 위한 아동․청소년 중장기 정책방안 연구 I: 다문화가정 청소년의역량개발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13 통계청, "다문화인구동태통계"

      14 전경숙, "다문화교육 정책방안 연구" 경기도 교육청,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08

      15 김유경, "다문화가족의 변화전망과 정책과제-미래 한국가족의 변화와 정책과제(4)" 45-62, 2011

      16 조붕환,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진로발달"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9 (9): 235-250, 2010

      17 박윤경,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생활 실태에 대한 조사 연구 : 집단 간 차이와 집단 내 다양성"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41-71, 2009

      18 조붕환,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습흥미와 진로발달" 한국진로교육학회 24 (24): 219-245, 2011

      19 남부현, "다문화가정 청소년에학업성취도 격차비교 연구" 287-321, 2011

      20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가정 자녀현황" 2011

      21 조영달, "다문화가정 자녀의학교급별 교육지원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0

      22 이다해, "다문화가정 자녀의 삶과 발달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3 김혜민, "다문화가정 자녀의 가족건강성과 사회적지지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

      24 송혜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수학 학습 성취도 실태 조사 : 초등학교 4, 5, 6학년을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25 "다문화가정 아이들이 학교를 떠나고 있다-10명 중 4명 고등학교 포기, 주간조선스페셜리포트 [2151호]"

      26 김효영,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부모애착, 자아개념 및 진로성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7 이순형, "다문화가정 부모자녀 통합 한글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결과보고서" 서울대학교 다문화생활교육센터 2008

      28 모경환, "다문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사례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31-53, 2010

      29 김지영, "남․여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진로발달 간 관계" 8 (8): 27-45, 2011

      30 최윤희,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30 (30): 743-762, 2011

      31 설동훈, "국제결혼 이주 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05

      32 김완기, "경기지역 다문화가정 학생과 부모를 위한 교육지원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3 전경숙, "경기도 다문화가정 청소년 생활실태와 지원 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0

      34 Brown, D., "The role of work and cultural values in occupational choice, satisfaction, and success: A Theoretical statement" 80 (80): 48-56, 2002

      35 Taajamo, M., "Immigrant Students’ Transitional Challenges in Vocational Education" 2010

      36 Jackson, M. A., "Hidden resources and barriers in career learning assessment with adolescents vulnerable to discrimination" 51 (51): 56-77, 2006

      37 Ma, P. W.,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decision status of Chinese American youths" 53 : 337-347, 2005

      38 Bennette, C. I.,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6th ed. )" Pearson Allyn & Bacon 2007

      39 Herr, E. L.,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rough the lifespan: Systematic approach(6th ed)" Allyn & Bacon 2004

      40 행정안전부, "2012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조사 결과" 2012

      41 교육과학기술부, "2010년도 다문화가정학생 교육지원 계획" 2010

      42 보건복지부,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 결과 보도자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6 2.86 2.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1 2.47 3.62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