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余太山, "兩漢魏晋南北朝正史西域傳硏究" 中華書局 2003
2 김영애, "탁실라(Taxila) 박물관의 간다라 불상조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1) : 101-131, 2003
3 구노미키, "중국의 불교미술" 시공사 2001
4 鎌田茂雄, "중국불교사 1 ~ 3" 장승 1996
5 문명대, "실크로드의 문화 및 중국대륙의 문화" 한.언 2007
6 東國大學校 불교문화연구원, "실크로드의 문화 1 ~ 6" 한국언론출판간행회 1993
7 이근직, "신라왕경의 성립과 전개" 15 (15): 2006
8 문명대, "신라미술의 조형사상과 미의식" 열화당 2000
9 문무왕, "신라 왕경 성립에 나타난 사찰건축" 불교사회문화연구원 13 : 2013
10 김복순, "신라 왕경 사찰의 분포와 체계" 27 : 2006
1 余太山, "兩漢魏晋南北朝正史西域傳硏究" 中華書局 2003
2 김영애, "탁실라(Taxila) 박물관의 간다라 불상조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1) : 101-131, 2003
3 구노미키, "중국의 불교미술" 시공사 2001
4 鎌田茂雄, "중국불교사 1 ~ 3" 장승 1996
5 문명대, "실크로드의 문화 및 중국대륙의 문화" 한.언 2007
6 東國大學校 불교문화연구원, "실크로드의 문화 1 ~ 6" 한국언론출판간행회 1993
7 이근직, "신라왕경의 성립과 전개" 15 (15): 2006
8 문명대, "신라미술의 조형사상과 미의식" 열화당 2000
9 문무왕, "신라 왕경 성립에 나타난 사찰건축" 불교사회문화연구원 13 : 2013
10 김복순, "신라 왕경 사찰의 분포와 체계" 27 : 2006
11 신동하, "신라 불국토사상의 전개양상과 역사적 의의" 서울대학교 2000
12 임영애, "스와트(Swat)박물관의 간다라 불상조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1) : 133-165, 2003
13 한지연, "서역의 불교발전과 교류에 관한 연구" 동국대 2007
14 韓枝延, "서역불교교류사" 해조음 2011
15 고영섭, "삼국유사 흥법과 탑상의 성격과 특징"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6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사막남로 ‧ 투르판 지역의 불교유적" 고려대학교 한국사 연구소 2013
17 디트리히 제켈, "불교미술" 예경 2002
18 문명대, "간다라(Gandhara) 불상론(佛像論)"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1) : 7-63, 2003
19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간다라 ‧ 사막북로의 불교유적" 고려대학교 한국사 연구소 2014
20 "釋迦譜(大正新修大藏經 50)"
21 余太山, "西域通史" 中州古籍出版社 1996
22 余太山, "西域文化史" 中國友渲出版社 1995
23 신종원, "新羅初期佛敎史硏究" 민족사 1992
24 김상현, "新羅初傳佛敎의 여러 문제" 일지사 1986
25 申東河, "新羅 骨品制의 形成過程" 서울대 5 : 1979
26 金杜珍, "新羅 眞平王代의 釋迦佛信仰" 국민대 10 : 1988
27 金哲俊, "新羅 上代社會의 Dual Organiztion" 2 : 1953
28 신종원, "安弘과 新羅 佛國土說" 民族社 1992
29 苗普生, "北魏鄯善鎭, 焉耆縣考" 新彊人民出版社 1990
30 高田修, "佛像の起源" 岩波書店 1967
31 上波夫, "中央アジア史" 山川出版社 1988
32 문무왕, "中國 初期石窟에 나타난 法華信仰의 특징" 여래 2013
33 김복순, "三國遺事 興法編과 中高期의 설정" 민족사 2002
34 "三國遺事"
35 李基白, "三國時代 佛敎受容과 그 사회적 의의" 일조각 1986
36 李基白, "三國時代 佛敎傳來와 그 社會的 性格" 6 : 1954
37 "三國史記"
38 이기영, "7,8世紀 신라 및 일본의 불국토 사상" 2 :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