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姜世晃의 <淸供圖>와 文房淸玩 = Kang Sehwang’s Cheonggong-do and the Cultural Meaning of “Pure Enjoyment of Scholars’ Accoutremen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Cheonggong-do (Utensils and Antiquities ) by Kang Sehwang, and items featured in it to understand how scholars’daily items were used as means of visual self-expression by this literati painter. An important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a painting showing the everyday space filled with scholars’objects comes to represent the artist’s socio-cultural identity, as a mirror of himself.
      Brushes, ink stones, books, ruyi scepters , and bonsai plants appearing in Kang Sehwang’s Cheonggong-do are objects that are commonly found in a scholar-official’s study,but they are also cherished collectibles providing visual pleasure. Kang Sehwang was a connoisseur of these types of items and had a discerning taste for them. Owning these items and drawing pleasure from contemplating them was an integral part of literati culture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by extension, a direct vehicle for expressing one’s cultural and refined taste.
      ‘ Muhangyeongnu’written in a corner of Cheongong-do is the name of Kang Sehwang’s study where he read books, wrote poems, and painted pictures. By inscribing the name of the location on the painting, Kang Sehwang evokes the actual study where he is physically located, and the garden outside it; a gesture indicative of a common tendencyamong members of Joseon’s literati class of his time, in which the everyday space of a scholar-gentleman is as such a source of aesthetic enjoyment. Kang Sehwang shared the interest in gardens with his contemporaries. He was keenly interested in arranging his garden in an original manner and he reproduced it in paintings. His Jisangpyeon-do [Bai Juyi’s (772 -84 6) Poem“, On the Pond”], depicting a sophisticated garden decorated with oddly-shaped rocks, a pond and a miniature mountain made of rock piles, is reminiscent of garden scenes popularly painted by southern China-based literati painters of the Ming dynasty. The garden culture of late-Ming literati represented for Kang Sehwang an ideal lifestyle; a lifestyle affording a learned man a refined environment in which he may devote his life to his studies and art, indulging in the joys of friendship.
      Kang Sehwang’s contemporaries cultivated a similar lifestyle and represented it in their paintings as well. Paintings like Sipu-do (Ten Friends) by Seo Jiksu or Danwon-do (The Sandalwood Garden) by Kim Hongdo, although very different in their style, share the same self-perception of a scholar-gentleman as the one that can be glimpsed in Kang Sehwang’s Cheonggong-do. They both chose an elegant image of a scholar-gentleman enjoying literature and rare and beautiful objects, set against the backdrop of a garden and a study, as their own self-image. These paintings, therefore, attest to the important role played by personal items and the everyday environment in the shaping of self-perception among members of the literati class. Meanwhile, painting, insofar as it provides a vehicle for exteriorizing such self-perception in a visible form, was an effective medium for these people. Kang Sehwang’s Cheonggong-do , treating the theme of a scholar’s studio items in a minimalistic fashion, using only ink and in line drawing based on calligraphic brush strokes,indeed gives a sense of what a refined and elegant literati lifestyle Kang Sehwang had and what an exceptional literati painter he was.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Cheonggong-do (Utensils and Antiquities ) by Kang Sehwang, and items featured in it to understand how scholars’daily items were used as means of visual self-expression by this literati painter. An important goal of this study is ...

      This paper examines Cheonggong-do (Utensils and Antiquities ) by Kang Sehwang, and items featured in it to understand how scholars’daily items were used as means of visual self-expression by this literati painter. An important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a painting showing the everyday space filled with scholars’objects comes to represent the artist’s socio-cultural identity, as a mirror of himself.
      Brushes, ink stones, books, ruyi scepters , and bonsai plants appearing in Kang Sehwang’s Cheonggong-do are objects that are commonly found in a scholar-official’s study,but they are also cherished collectibles providing visual pleasure. Kang Sehwang was a connoisseur of these types of items and had a discerning taste for them. Owning these items and drawing pleasure from contemplating them was an integral part of literati culture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by extension, a direct vehicle for expressing one’s cultural and refined taste.
      ‘ Muhangyeongnu’written in a corner of Cheongong-do is the name of Kang Sehwang’s study where he read books, wrote poems, and painted pictures. By inscribing the name of the location on the painting, Kang Sehwang evokes the actual study where he is physically located, and the garden outside it; a gesture indicative of a common tendencyamong members of Joseon’s literati class of his time, in which the everyday space of a scholar-gentleman is as such a source of aesthetic enjoyment. Kang Sehwang shared the interest in gardens with his contemporaries. He was keenly interested in arranging his garden in an original manner and he reproduced it in paintings. His Jisangpyeon-do [Bai Juyi’s (772 -84 6) Poem“, On the Pond”], depicting a sophisticated garden decorated with oddly-shaped rocks, a pond and a miniature mountain made of rock piles, is reminiscent of garden scenes popularly painted by southern China-based literati painters of the Ming dynasty. The garden culture of late-Ming literati represented for Kang Sehwang an ideal lifestyle; a lifestyle affording a learned man a refined environment in which he may devote his life to his studies and art, indulging in the joys of friendship.
      Kang Sehwang’s contemporaries cultivated a similar lifestyle and represented it in their paintings as well. Paintings like Sipu-do (Ten Friends) by Seo Jiksu or Danwon-do (The Sandalwood Garden) by Kim Hongdo, although very different in their style, share the same self-perception of a scholar-gentleman as the one that can be glimpsed in Kang Sehwang’s Cheonggong-do. They both chose an elegant image of a scholar-gentleman enjoying literature and rare and beautiful objects, set against the backdrop of a garden and a study, as their own self-image. These paintings, therefore, attest to the important role played by personal items and the everyday environment in the shaping of self-perception among members of the literati class. Meanwhile, painting, insofar as it provides a vehicle for exteriorizing such self-perception in a visible form, was an effective medium for these people. Kang Sehwang’s Cheonggong-do , treating the theme of a scholar’s studio items in a minimalistic fashion, using only ink and in line drawing based on calligraphic brush strokes,indeed gives a sense of what a refined and elegant literati lifestyle Kang Sehwang had and what an exceptional literati painter he w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강세황의 <청공도>에 그려진 기물 및 畵題를 분석하여 문방기물의 그림을 통해 그가 어떻게 문인적자기인식을 드러냈는가를 분석한다. 아울러 기물의 완상취미를 향유하는 일상적 공간을 재현한 그림이 어떤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그의 정체성을 구현하며 주인공의 자기표상으로서 기능하는가에 대하여 살펴본다. 대상 작품의 회화적 의미뿐 아니라 그림에 나타나는 기물과 그 감평 및 회화제작 행위가 가지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분석하는 이 연구는 조선문인의 완상문화에 물질문화적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이기도 하다.
      강세황의 <청공도>에 그려진 붓, 벼루, 서적, 여의, 분재 등은 문인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기물인 동시에수집과 감상의 대상으로서 향유되었던 물건들이다. 강세황은 이러한 문방 기물 각각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을 올바른 방식으로 향유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는 기물의 소유와 완상이 문인 고유의 문화로서 자신의 문화적 소양과 수준을 표출하는 직접적 표식이 되었기 때문이다.
      <청공도>에 적힌 무한경루라는 당호는 실제 강세황이 기거하며 문예활동에 열중하던 공간이었다. 화면에장소를 적어 넣어 그의 정원과 서재를 환기시키는 방식에는 문인의 일상생활 공간 또한 완상과 향유의 대상으로서 여겨졌던 당시의 문화적 분위기가 나타난다. 강세황의 정원문화에 대한 관심은 그가 지속적으로 자신이소유한 정원을 독특한 형태로 꾸미거나 다시 이를 그림으로 재현하는 행위로 나타났다. 괴석, 연못, 가산으로세련되게 꾸민 정원을 그린 <지상편도>의 정원묘사에는 명대 강남문인들 사이에 유행하던 정원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이 그림에서는 강세황과 안산 문인들이 정원과 서재를 세련된 기물로 꾸미고 그 안에서 벗과 더불어문예활동에 몰두하였던 명말 문인들의 정원문화를 그들이 실현하고픈 인생의 모델로 삼았음을 읽을 수 있다.
      강세황과 동시대 문사들에게서 문방의 완상취미를 즐기는 아취 있는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동시에 이를다시 그림으로 재현한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서직수의 <십우도> 및 김홍도의 <단원도>는 표현방식은 다르지만<청공도>에 표출된 문인적 자기인식을 공유하는 그림이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로서 정원과 서재를 배경으로 문예와 기물의 완상을 즐기는 우아한 문인의 모습을 선택하였다. 이작품들은 문인들이 소장한 기물, 그들이 영위하는 일상생활이 그들의 정체성 형성과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증명한다. 아울러 그들의 자기인식을 가시적으로 구성하고 외부로 표출하기 위한 매체로서 회화가 효과적으로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문방기물이라는 소재를 수묵의 서예적 필선만으로 담담하게 표현한 <청공도>는문인화가 강세황이 소유한 기물뿐 아니라 그가 남다른 품격과 아취를 갖춘 문인적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인물이라는 화가의 메세지를 명백하게 전달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강세황의 <청공도>에 그려진 기물 및 畵題를 분석하여 문방기물의 그림을 통해 그가 어떻게 문인적자기인식을 드러냈는가를 분석한다. 아울러 기물의 완상취미를 향유하는 ...

      본 논문은 강세황의 <청공도>에 그려진 기물 및 畵題를 분석하여 문방기물의 그림을 통해 그가 어떻게 문인적자기인식을 드러냈는가를 분석한다. 아울러 기물의 완상취미를 향유하는 일상적 공간을 재현한 그림이 어떤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그의 정체성을 구현하며 주인공의 자기표상으로서 기능하는가에 대하여 살펴본다. 대상 작품의 회화적 의미뿐 아니라 그림에 나타나는 기물과 그 감평 및 회화제작 행위가 가지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분석하는 이 연구는 조선문인의 완상문화에 물질문화적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이기도 하다.
      강세황의 <청공도>에 그려진 붓, 벼루, 서적, 여의, 분재 등은 문인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기물인 동시에수집과 감상의 대상으로서 향유되었던 물건들이다. 강세황은 이러한 문방 기물 각각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을 올바른 방식으로 향유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는 기물의 소유와 완상이 문인 고유의 문화로서 자신의 문화적 소양과 수준을 표출하는 직접적 표식이 되었기 때문이다.
      <청공도>에 적힌 무한경루라는 당호는 실제 강세황이 기거하며 문예활동에 열중하던 공간이었다. 화면에장소를 적어 넣어 그의 정원과 서재를 환기시키는 방식에는 문인의 일상생활 공간 또한 완상과 향유의 대상으로서 여겨졌던 당시의 문화적 분위기가 나타난다. 강세황의 정원문화에 대한 관심은 그가 지속적으로 자신이소유한 정원을 독특한 형태로 꾸미거나 다시 이를 그림으로 재현하는 행위로 나타났다. 괴석, 연못, 가산으로세련되게 꾸민 정원을 그린 <지상편도>의 정원묘사에는 명대 강남문인들 사이에 유행하던 정원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이 그림에서는 강세황과 안산 문인들이 정원과 서재를 세련된 기물로 꾸미고 그 안에서 벗과 더불어문예활동에 몰두하였던 명말 문인들의 정원문화를 그들이 실현하고픈 인생의 모델로 삼았음을 읽을 수 있다.
      강세황과 동시대 문사들에게서 문방의 완상취미를 즐기는 아취 있는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동시에 이를다시 그림으로 재현한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서직수의 <십우도> 및 김홍도의 <단원도>는 표현방식은 다르지만<청공도>에 표출된 문인적 자기인식을 공유하는 그림이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기 위한 이미지로서 정원과 서재를 배경으로 문예와 기물의 완상을 즐기는 우아한 문인의 모습을 선택하였다. 이작품들은 문인들이 소장한 기물, 그들이 영위하는 일상생활이 그들의 정체성 형성과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증명한다. 아울러 그들의 자기인식을 가시적으로 구성하고 외부로 표출하기 위한 매체로서 회화가 효과적으로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문방기물이라는 소재를 수묵의 서예적 필선만으로 담담하게 표현한 <청공도>는문인화가 강세황이 소유한 기물뿐 아니라 그가 남다른 품격과 아취를 갖춘 문인적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인물이라는 화가의 메세지를 명백하게 전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경호, "한문산문의 내면풍경" 소명 2003

      2 안휘준, "한국의 미12: 山水畵 下" 중앙일보사 1985

      3 맹인재, "한국의 미 20: 人物畵" 중앙일보사 1985

      4 姜世晃, "표암 강세황 산문전집" 소명 2008

      5 조혁상, "조선후기 사인의 일본도 인식에 대한 고찰" 우리한문학회 515-544, 2009

      6 장진성, "조선후기 고동서화(古董書畵)수집열기의 성격: 김홍도의 <포의풍류도>와 <사인초상>에 대한 검토" 3 : 154-203, 2004

      7 장진성, "조선후기 士人風俗畵와 餘暇文化" 한국미술연구소 (24) : 261-291, 2007

      8 안대회, "조선의 프로페셔널" 휴머니스트 2007

      9 "조선도자 500년전"

      10 장진성, "조선 후기 미술과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조선 후기 고동서화(古董書畵) 수집 및 감상 현상과 관련하여" 진단학회 108 (108): 107-130, 2009

      1 심경호, "한문산문의 내면풍경" 소명 2003

      2 안휘준, "한국의 미12: 山水畵 下" 중앙일보사 1985

      3 맹인재, "한국의 미 20: 人物畵" 중앙일보사 1985

      4 姜世晃, "표암 강세황 산문전집" 소명 2008

      5 조혁상, "조선후기 사인의 일본도 인식에 대한 고찰" 우리한문학회 515-544, 2009

      6 장진성, "조선후기 고동서화(古董書畵)수집열기의 성격: 김홍도의 <포의풍류도>와 <사인초상>에 대한 검토" 3 : 154-203, 2004

      7 장진성, "조선후기 士人風俗畵와 餘暇文化" 한국미술연구소 (24) : 261-291, 2007

      8 안대회, "조선의 프로페셔널" 휴머니스트 2007

      9 "조선도자 500년전"

      10 장진성, "조선 후기 미술과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조선 후기 고동서화(古董書畵) 수집 및 감상 현상과 관련하여" 진단학회 108 (108): 107-130, 2009

      11 호암미술관 학예연구실, "인물로 보는 한국미술" 호암미술관 1999

      12 오주석, "이인문의 강산무진도" 신구문화사 2006

      13 피터 코리건, "소비의 사회학" 그린 2001

      14 피에르 부르디외,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下" 새물결 2005

      15 그랜트 매크래켄, "문화와 소비: 소비재와 소비행위의 상징적인 성격에 대한 새로운 접근" 문예출판사 1996

      16 유순영, "문헌과 해석" 51 : 111-129, 2010

      17 진준현, "단원 김홍도 연구" 일지사 1999

      18 국립중앙박물관, "능호관 이인상 소나무에 뜻을 담다" 국립중앙박물관 2010

      19 홍선표, "그림에 물은 사대부의 생활과 풍류" 두산동아 2007

      20 한국민족미술연구소, "간송문화 66: 大謙齋"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004

      21 鄭銀淑, "項元 之書 收藏與藝術" 文史哲出版社 1984

      22 王鴻泰, "閒情雅致: 明淸間文人的生活經營與品賞文化" 國立故宮博物院 22 (22): 69-97, 2004

      23 許筠, "閑情錄" 민족문화추진회 4 : 1981

      24 강경훈, "豹菴遺稿의 ‘八物志’ 草藁本에 대하여" 14 : 95-106, 1997

      25 姜世晃, "豹菴遺稿"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26 姜世晃, "豹菴遺稿" 지식산업사 2010

      27 정은진, "豹菴 姜世晃의 美意識과 詩文創作" 성균관대학교대학원 2004

      28 예술의 전당, "豹菴 姜世晃: 푸른 솔은 늙지 않는다" 예술의 전당 2003

      29 변영섭, "豹菴 姜世晃 書畵硏究" 일지사 1988

      30 申緯, "警修堂全藁" 民族文化推進會 291 : 2002

      31 王鴻泰, "美感空間的經營: 明淸間的城市園林與文人文化, In 東亞近代思想與社會: 李永熾敎授六秩華誕祝壽論文集" 月旦出版社 127-186, 1999

      32 金相肅, "窩詩文筆跡" 고려대학교 도서관

      33 김동준, "海巖 柳慶種의 詩文學 硏究" 서울대학교 2003

      34 李裕元, "林下筆記, In 임하필기 7" 민족문화추진회 1999

      35 黃晶淵, "朝鮮時代 書畵收藏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36 王鴻泰, "明淸間士人的閒隱理念與生活情境的經營" 國立故宮博物院 24 (24): 1-44, 2006

      37 金文京, "明代萬曆年間の山人の活動" 東洋史硏究會 61 (61): 87-107, 2002

      38 鈴木正, "明代山人考, In 淸水博士追悼記念明代史論叢" 旿晟社 357-388, 1962

      39 張德建, "明代山人文學硏究" 湖南人民出版社 2005

      40 井上充幸, "明代の文人李日華の趣味生活: 味水軒日記を中心に" 東洋史硏究會 59 (59): 1-28, 2000

      41 中田勇次郞, "文房淸玩" 二玄社 1971

      42 陸友, "文房四譜" 世界書局 1985

      43 國立故宮博物院編輯委員會, "故宮書畵圖錄 22" 國立故宮博物院 1989

      44 王世貞, "州四部稿" 上海古籍出版社 1993

      45 조규희, "家園眺望圖와 조선후기 借景에 대한 인식" 한국미술사학회 257 (257): 105-139, 2008

      46 諸橋轍次, "大漢和辭典 卷7" 大修館書店 1984

      47 謝興堯, "堪隱齋隨筆" 遼寧敎育出版社 1995

      48 計成, "園冶" 예경 1993

      49 劉九庵, "吳門 家之別號圖及鑒別 例" 紫禁城出版社 49 : 54-61, 1990

      50 성균관대학교박물관, "博物館圖錄" 성균관대학교박물관 1983

      51 胡日從, "十竹齋箋譜 初集" 版畵叢刊會 1934

      52 徐直修, "十友軒集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3 中國古代書畵鑑定組, "中國繪 全集 13 明" 文物出版社·浙江人民美術出版社

      54 中國建築藝術全集編輯委員會, "中國建築藝術全集 18" 中國建築工業出版社

      55 姜, "三當齋遺稿" 연세대학교 도서관

      56 Evelyn S. Rawski, "The Three Emperors, 1662-1795" Royal Academy of Arts 2005

      57 Peter Corrigan, "The Sociology of Consumption" Sage Publications 2006

      58 Chu-Tsing Li, "The Chinese Scholar's Studio: Artistic Life in the Late Ming Period" Thames and Hudson 1987

      59 Wen C. Fong, "Possessing The Past: Treasures from the National Palace Museum"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96

      60 Jan Stuart, "Ming Dynasty Garderns Reconstructed in Words and Images" 10 (10): 162-172, 1990

      61 Claig Clunas, "Fruitful Site: Garden Culture in Ming Dynasty China" Duke University Press 1996

      62 Claig Clunas, "Elegant Debts: The Social Art of Wen Zhengming 1470-1559"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4

      63 Grant David McCracken, "Culture and Consump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1988

      64 Chu-tsing Li, "Artists and Patrons: Some Social and Economic Aspects of Chinese Painting"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89

      65 안대회, "18·19세기의 주거문화와 상상의 정원― 조선 후기 산문가의 記文을 중심으로 ―" 진단학회 (97) : 111-138,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04 1.59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