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클래스핏 트레이닝이 아동의 체력과 전전두엽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lassfit Training on Physical Fitness and Prefrontal Executive Function in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311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12-week Class-fit training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and prefrontal executive fun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ovide base data needed to use Class-fit training as physical fitness and prefrontal execu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of students.
      Method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36 sixth-grade students at 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and allocated 18 students each for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ach group was measured for physical fitness and prefrontal executive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Class-fit training was implemented for 40 minutes of 3 times each week for 12 weeks.
      Result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scle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power showed interaction effects in the group and time. Second, raw color-word score showed interaction effects in the group and time. Word raw score, color raw sco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ing, particularly the post score of exercise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s In conclusion, 12-week Class-fit training had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physical fitness and prefrontal execution function. Class-fit training will make a contribution to the exercise program to help improve physical fitness and cognitive function.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12-week Class-fit training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and prefrontal executive fun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ovide base data needed to use Class-fit trai...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12-week Class-fit training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and prefrontal executive fun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ovide base data needed to use Class-fit training as physical fitness and prefrontal execu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of students.
      Method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36 sixth-grade students at 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and allocated 18 students each for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ach group was measured for physical fitness and prefrontal executive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Class-fit training was implemented for 40 minutes of 3 times each week for 12 weeks.
      Result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uscle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power showed interaction effects in the group and time. Second, raw color-word score showed interaction effects in the group and time. Word raw score, color raw sco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ing, particularly the post score of exercise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s In conclusion, 12-week Class-fit training had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physical fitness and prefrontal execution function. Class-fit training will make a contribution to the exercise program to help improve physical fitness and cognitive fun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클래스핏 트레이닝(주 3회 40분씩, 총 12주간)의 참여가 아동의 체력과 전전두엽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규명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체력 및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으로 클래스핏 트레이닝을 활용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방법 실험 참여자는 자발적 참여 의하를 밝힌 초등학교 6학년 2학급을 편의 표집(운동집단 18명, 비교집단 18명)한 후 연구의 목적, 절차, 예상효과를 설명하고 학부모의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은 후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운동 전과 후의 체력과 전전두엽 실행기능을측정하였다. 측정 자료는 SPSS 2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력은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모든 하위 변인에서 집단과 측정시기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전전두엽 실행기능은 하위 변인 중 색상-단어 점수 변인에서 집단과 측정시기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단어 점수와 색상 점수 변인은 측정시기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고, 특히 운동집단의 사후 결과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12주간의 클래스핏 트레이닝은 초등학생의 체력과 전전두엽 실행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클래스핏 트레이닝이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체력 및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에서는 클래스핏 트레이닝(주 3회 40분씩, 총 12주간)의 참여가 아동의 체력과 전전두엽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규명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체력 및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

      목적 본 연구에서는 클래스핏 트레이닝(주 3회 40분씩, 총 12주간)의 참여가 아동의 체력과 전전두엽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규명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체력 및 실행기능 향상 프로그램으로 클래스핏 트레이닝을 활용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방법 실험 참여자는 자발적 참여 의하를 밝힌 초등학교 6학년 2학급을 편의 표집(운동집단 18명, 비교집단 18명)한 후 연구의 목적, 절차, 예상효과를 설명하고 학부모의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은 후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운동 전과 후의 체력과 전전두엽 실행기능을측정하였다. 측정 자료는 SPSS 21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력은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모든 하위 변인에서 집단과 측정시기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전전두엽 실행기능은 하위 변인 중 색상-단어 점수 변인에서 집단과 측정시기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단어 점수와 색상 점수 변인은 측정시기에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고, 특히 운동집단의 사후 결과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12주간의 클래스핏 트레이닝은 초등학생의 체력과 전전두엽 실행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클래스핏 트레이닝이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체력 및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민섭, "한국판 아동용 스트룹 색상-단어 검사의 표준화 연구" 2006 (2006): 628-629, 2006

      2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학생건강체력평가매뉴얼"

      3 김완주, "크로스핏이 대사증후군 30대 남성의 신체조성, 혈압 및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4 강민성 ; 김경래 ; 안민지 ; 류현승, "크로스핏 트레이닝이 초등학생 건강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7 (27): 527-542, 2016

      5 유동훈 ; 허유섭, "크로스핏 트레이닝이 여자 아동의 체력, 혈중지질 및 골대사 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28 (28): 122-130, 2019

      6 노은초, "크로스핏 트레이닝이 무용전공자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혈중지질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7 박재정, "체력향상프로그램의 실천과 이를 경험한 학생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381-407, 2014

      8 박세윤 ; 윤대현, "청소년의 유산소 운동이 스트룹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8 (28): 17-26, 2017

      9 박재홍 ; 김성환, "청소년기 뇌 발달과 인지, 행동 특성"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7 (17): 11-20, 2011

      10 김윤희, "중학생들의 체육 수업 선호 이유 분석" 6 (6): 93-110, 1999

      1 신민섭, "한국판 아동용 스트룹 색상-단어 검사의 표준화 연구" 2006 (2006): 628-629, 2006

      2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학생건강체력평가매뉴얼"

      3 김완주, "크로스핏이 대사증후군 30대 남성의 신체조성, 혈압 및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5

      4 강민성 ; 김경래 ; 안민지 ; 류현승, "크로스핏 트레이닝이 초등학생 건강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7 (27): 527-542, 2016

      5 유동훈 ; 허유섭, "크로스핏 트레이닝이 여자 아동의 체력, 혈중지질 및 골대사 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28 (28): 122-130, 2019

      6 노은초, "크로스핏 트레이닝이 무용전공자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혈중지질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7 박재정, "체력향상프로그램의 실천과 이를 경험한 학생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381-407, 2014

      8 박세윤 ; 윤대현, "청소년의 유산소 운동이 스트룹 과제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8 (28): 17-26, 2017

      9 박재홍 ; 김성환, "청소년기 뇌 발달과 인지, 행동 특성"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7 (17): 11-20, 2011

      10 김윤희, "중학생들의 체육 수업 선호 이유 분석" 6 (6): 93-110, 1999

      11 김경태, "저항성운동과 칼슘섭취 수준이 비만초등학생의 신체조성, 체력, 당대사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4 (24): 415-427, 2013

      12 Banich, M. T., "인지 신경과학" 박학사 2014

      13 변재철 ; 김동원, "음악줄넘기 운동이 초등학교 아동들의 골밀도, 건강체력, 정적 평형성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학회 16 (16): 75-83, 2018

      14 정혜연 ; 최재원, "유산소운동이 ADHD 아동의 실행기능 및 뇌파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5 (25): 13-28, 2014

      15 이하영, "위스콘신카드분류검사 수행수준에 따른 ADHD 아동의 실행 기능과 인성 특성의 차이"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16 우민정, "심폐체력이 전두엽의 집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ERP를 통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8 (48): 167-177, 2009

      17 국립중앙의료원, "신체활동 가이드라인"

      18 Edmund, S. H., "신경⋅정신의학의 뇌과학" 군자출판사 2013

      19 신민섭,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 전문가지침서" 인싸이트 2007

      20 이선경, "복합운동이 ADHD 환아의 체력, 신경전달물질, 뇌파 및 전두엽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21 안상균, "뉴로피드백 훈련이 초등학생의 주의력과 학업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5525-5530, 2011

      22 공영숙 ; 임지영, "국내 실행기능연구의 동향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61-75, 2011

      23 이기복, "과외체육활동 참여 중학생의 체육수업 선호종목 및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4 Buck, S. M., "The relation of aerobic fitness to stroop task performance in preadolescent children" 40 (40): 166-172, 2008

      25 Etnier, J. L.,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executive function : A brief commentary on definitions, measurement issues, and the current state of the literature" 31 (31): 469-483, 2009

      26 Golden, C. J., "Stroop Color and Word Test, Children’s version for Ages 5-14: A manual for clinical and experimental uses" Stoelting Co 2003

      27 Aguiar, A. S., "Short bouts of mild-intensity physical exercise improve spatial learning and memory in aging rats : Involvement of hippocampal plasticity via AKT, CREB and BDNF signaling" 132 : 560-567, 2011

      28 van Praag, H., "Running increases cell proliferation and neurogenesis in the adult mouse dentate gyrus" 2 (2): 266-270, 1999

      29 Yusuke Moriguchi, "Prefrontal cortex and executive function in young children: a review of NIRS studies" Frontiers Media SA 7 : 867-, 2013

      30 Cattuzzo, M. T., "Motor competence and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in youth : A systematic review" 19 (19): 123-132, 2014

      31 최지영 ; 김경래, "HIIT 프로그램의 적용이 남자 중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전전두엽 실행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237-1254, 2018

      32 장징이 ; 김창영 ; 이민기 ; 안민지, "HIIT 프로그램 적용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구성과 체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15-434, 2018

      33 Colcombe, S., "Fitness effects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older adults : A meta-analytic study" 14 : 125-130, 2003

      34 Cotman, C. W., "Exercise builds brain health : Key roles of growth factor cascades and inflammation" 30 (30): 464-472, 2007

      35 Hillman, C. H., "Exercise and Cognitive Function" John Wiley & Sons 161-178, 2009

      36 Blakemore, S. J., "Development of the adolescent brain : Implications for executive function and social cognition" 47 (47): 296-312, 2006

      37 Michael, M. S., "Crossfit-based high-intensity power training improves maximal aerobic fitness and body composition" 27 (27): 3159-3172, 2013

      38 이금성, "CrossFit Training이 중년여성의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9 Kraft, E., "Cognitive function, physical activity, and aging : Possible biological links and implications for multimodal interventions" 19 (19): 248-263, 2012

      40 Colcombe, S., "Cardiovascular fitness, cortical plasticity, and aging" 101 : 3316-3321, 2004

      41 Voss, M. W., "Bridging animal and human models of exerciseinduced brain plasticity" 17 (17): 525-544, 2013

      42 Kerstin, K., "Brain Development During Adolescence Neuroscientific Insights Into This Developmental Period" 110 (110): 425-431, 2013

      43 Hillman, C. H., "Be smart, exercise your heart : Exercise effects on brain and cognition" 9 (9): 58-65, 2008

      44 McGrath, L. J., "Associations of Objectively Measured Built-Environment Attributes with Youth Moderate-Vigorous Physical Activity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45 (45): 841-865, 2015

      45 Kramer, A. F., "Ageing, Fitness and Neurocognitive Function" 400 : 418-419, 1999

      46 Colcombe, S., "Aerobic exercise training increases brain volume in aging humans" 61 (61): 1166-1170, 2006

      47 Sebastian Ludyga, "Acute effects of moderate aerobic exercise on specific aspects of executive function in different age and fitness groups: A meta‐analysis" Wiley 53 (53): 1611-1626, 2016

      48 Bherer, L., "A review of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on cognitive and brain functions in older adults" 2013 : 1-9, 2013

      49 손현지 ; 김수연 ; 장창현, "8주간 크로스핏 트레이닝 방법이 30대 남자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리듬운동학회 12 (12): 37-45, 2019

      50 김지연 ; 심영제, "8주간 음악줄넘기 운동이 맞벌이와 편부모 가정 초등학생의 건강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4 (54): 379-387, 2015

      51 교육부, "2018년도 학생 건강검사 표본통계 발표"

      52 질병관리본부,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및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발표회"

      53 문화체육관광부, "2018 국민생활체육참여실태조사" 2019

      54 이승준, "12주간의 크로스핏 트레이닝이 성인남성의 건강관련 체력과 기능적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8

      55 한태경 ; 이형록, "10주간의 줄넘기 운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초체력, 혈중 지질 및 운동 습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6 (16): 93-102,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