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불륜 소재 멜로드라마 캐릭터의 신화원형 패턴연구 : 드라마 〈부부의 세계〉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8347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patterns of mythological archetypes of characters in Korean melo dramas about infidelity : Focusing on 〈The world of the married〉

      • 형태사항

        iii, 91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대영
        참고문헌수록

      • UCI식별코드

        I804:11052-000000233760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캐릭터 창조가 숙명과도 같은 배우와 작가에 있어서 보편성을 가진 캐릭터 구축을 돕기 위함으로 신화원형을 대입시켰다. 특히 멜로드라마 속 캐릭터를 중점으로 연구하였는데, 이유는 과거와 현재를 아울러 사회를 가장 친밀하게 반영한 매체가 TV 드라마이기 때문이고, 가장 주를 이루는 장르인 멜로드라마를 선택하였다. 그중에서도 불륜이라는 소재는 멜로드라마의 특징을 잘 드러내며 누가 불륜을 주도하는지와 인물이 가진 사회적 역할에 따라 일정한 신화원형의 패턴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원형의 패턴이 드러날 수 있던 이유는 신화가 오래 전부터 사람들 입을 통해 전해져왔기 때문이다. 신화는 인간의 내면과 본질적인 면모가 잘 드러나 있다. 신화는 이야기마다 이야기를 끌고 가는 중심인물이 있으며, 상황보다는 인물 중심의 플롯으로 구성된다. 볼린은 이런 신들을 유형화시켜 심리에 대입했고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해 멜로드라마 <부부의 세계> 주요 인물에게 신화원형을 접목하였다. <부부의 세계>에서 나타난 인물들에게서 신화원형이 각각 다양하게 나타났고, 실제 신화의 인물 관계가 연관되는 결과도 보였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는 어떤 캐릭터를 창조하고자 할 때, 신화원형을 이용하면 보다 보편적이면서도 타당성이 강한 캐릭터를 만들 수 있기에 설득력 있는 연기와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캐릭터 창조가 숙명과도 같은 배우와 작가에 있어서 보편성을 가진 캐릭터 구축을 돕기 위함으로 신화원형을 대입시켰다. 특히 멜로드라마 속 캐릭터를 중점으로 연구하였는데, ...

      본 연구는 캐릭터 창조가 숙명과도 같은 배우와 작가에 있어서 보편성을 가진 캐릭터 구축을 돕기 위함으로 신화원형을 대입시켰다. 특히 멜로드라마 속 캐릭터를 중점으로 연구하였는데, 이유는 과거와 현재를 아울러 사회를 가장 친밀하게 반영한 매체가 TV 드라마이기 때문이고, 가장 주를 이루는 장르인 멜로드라마를 선택하였다. 그중에서도 불륜이라는 소재는 멜로드라마의 특징을 잘 드러내며 누가 불륜을 주도하는지와 인물이 가진 사회적 역할에 따라 일정한 신화원형의 패턴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원형의 패턴이 드러날 수 있던 이유는 신화가 오래 전부터 사람들 입을 통해 전해져왔기 때문이다. 신화는 인간의 내면과 본질적인 면모가 잘 드러나 있다. 신화는 이야기마다 이야기를 끌고 가는 중심인물이 있으며, 상황보다는 인물 중심의 플롯으로 구성된다. 볼린은 이런 신들을 유형화시켜 심리에 대입했고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해 멜로드라마 <부부의 세계> 주요 인물에게 신화원형을 접목하였다. <부부의 세계>에서 나타난 인물들에게서 신화원형이 각각 다양하게 나타났고, 실제 신화의 인물 관계가 연관되는 결과도 보였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는 어떤 캐릭터를 창조하고자 할 때, 신화원형을 이용하면 보다 보편적이면서도 타당성이 강한 캐릭터를 만들 수 있기에 설득력 있는 연기와 스토리텔링을 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ubstituted a mythical archetype to help with character building for actors and writers whose creation of character is like a destiny.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s in melodramas, the most dominant genre in TV dramas which most closely reflects the past and present society. Among them, infidelity is a subject that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melodrama well with the patterns of certain mythical archetypes depending on who leads the infidelity and the social roles of the characters.
      Such archetypical patterns are shown because myths have been passed down orally by people for a long time, revealing the internal and essential aspects of human beings well. Each story of mythology has a central character who leads the story and is composed of a plot centered on the character rather than the situation. Bolen categorized these myths and substituted them into psychology, which this study used to graft mythological archetypes to the main characters of Korean melodrama <The World of the Married>.
      Each character in the drama showed a variety of mythical archetypes, with a result that they were related to the actual relationship of mythical characters. Therefore, using mythical archetypes can create a more universal and valid character to carry out more convincing acting and storytelling.
      번역하기

      This study substituted a mythical archetype to help with character building for actors and writers whose creation of character is like a destiny.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s in melodramas, the most dominant genre in TV dramas wh...

      This study substituted a mythical archetype to help with character building for actors and writers whose creation of character is like a destiny.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s in melodramas, the most dominant genre in TV dramas which most closely reflects the past and present society. Among them, infidelity is a subject that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melodrama well with the patterns of certain mythical archetypes depending on who leads the infidelity and the social roles of the characters.
      Such archetypical patterns are shown because myths have been passed down orally by people for a long time, revealing the internal and essential aspects of human beings well. Each story of mythology has a central character who leads the story and is composed of a plot centered on the character rather than the situation. Bolen categorized these myths and substituted them into psychology, which this study used to graft mythological archetypes to the main characters of Korean melodrama <The World of the Married>.
      Each character in the drama showed a variety of mythical archetypes, with a result that they were related to the actual relationship of mythical characters. Therefore, using mythical archetypes can create a more universal and valid character to carry out more convincing acting and storytell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가.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나.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 4
      • Ⅱ. 불륜 소재 멜로드라마와 신화원형 패턴 10
      • 가. 불륜 소재 멜로드라마의 개념과 변천 10
      • Ⅰ. 서론 1
      • 가.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나.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 4
      • Ⅱ. 불륜 소재 멜로드라마와 신화원형 패턴 10
      • 가. 불륜 소재 멜로드라마의 개념과 변천 10
      • 나. 불륜 드라마에 투영된 신화원형 패턴 17
      • Ⅲ. 신화원형으로 본 <부부의 세계> 캐릭터 연구 31
      • 가. <부부의 세계> 분석 31
      • 1. <부부의 세계> 장르적 특징과 대중적 인기 31
      • 2. 배경 및 스토리 분석 37
      • (1) 줄거리 37
      • (2) 인물관계 40
      • 나. <부부의 세계> 캐릭터 패턴 변화 양상 43
      • 1. 지선우: 헤라, 메데이아, 데메테르 44
      • (1) 배신당한 아내 헤라 45
      • (2) 복수하는 아내 메데이아 52
      • (3) 부모: 과잉 모성애 데메테르 57
      • 2. 이태오: 제우스, 헤파이스토스, 이아손 61
      • (1) 바람둥이 남편 제우스 61
      • (2) 창조적이며 내성적인 애인 헤파이스토스 67
      • (3) 파멸하는 남편이아손 70
      • 3. 여다경: 아프로디테, 헤라, 데메테르, 메데이아 72
      • (1) 변화의 힘을 가진 창조적인 애인 아프로디테 73
      • (2) 질투심에 휩싸인 아내 헤라 76
      • (3) 딸과의 결속력을 지닌 엄마 데메테르 79
      • (4) 파멸시키는 아내 메데이아 80
      • Ⅳ. 결론 81
      • 참고문헌 84
      • 국문초록 89
      • Abstract 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